인간과 교육)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과 교육)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 및 연구 목적
2. 본론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1) 주체적·자기형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2) 사회적·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3) 규범적·합리적 존재로서의 인간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3. 결론

참고문헌

주제 2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이해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사회가 내려준 규범에 의한 처벌보다 스스로 느끼는 양심의 가책을 더욱 고통스럽게 생각하는 편이다.
이러한 콜버그의 이론의 의의는 도덕철학과 도덕 심리학의 종합적인 관점에서 도덕 발달과 도덕교육을 논의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콜버그는 도덕에 대한 합리적 재구성이 경험적인 영역에서 부분적이나마 검증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경험적 검증이 전체적인 것이 아니라 부분적인 것인 이유는 콜버그가 경험적 진리와 규범적 옮음에 대한 주장을 혼동하고 있다는 하버마스의 비판을 수용해 6단계에 대해선 주장을 철회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3수준 6단계의 발달을 경험적으로 증명한 콜버그의 이론적 장점은 그대로 남는다. 이 이론에 의해 도덕 판단과 추론의 심리적 메커니즘과 인지구조가 밝혀졌고, 도덕성 발달의 심리적 과정과 경로를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도덕교육의 확실한 과학적 기반이 마련되었고, 어떤 도덕성을 어떤 인간에게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라는 도덕교육의 난제를 해결할 길이 되기도 한다.
3. 결론
콜버그의 이론을 피아제의 영향을 받은 구조주의로 해석하는 시도는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듀이의 진보주의 영향을 받은 상호작용주의로 해석하는 것도 익숙하다. 이경원(1995), 도덕교육전공, “콜버그의 인지적 도덕성 발달이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hlberg\'s Congnitive Moral Development Theory” 15p
콜버그 이론체계는 가치상대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맥락에서 구안 된 것이라는 점이며, 이로 인해 형식주의자로도 해석이 될 수 있다. 콜버그의 이론 구조는 늘 인간은 도덕성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에 빠짐없이 적용된다. 도덕성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형편이라 이러한 쟁점에 콜버그 이론의 위상은 전체적인 맥락에서 그의 이론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경원(1995), 도덕교육전공, “콜버그의 인지적 도덕성 발달이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hlberg\'s Congnitive Moral Development Theory” 16p
콜버그는 인간을 수동적이면서 피동적 대상으로 파악하여 무지 상태로 단정짓지 않았다. 인간만이 가지는 자신의 생각이나 뜻에 따라 행동하는 성질을 강조했다. 이러한 인간관에 의거해 콜버그는 발달이론의 하위단계가 상위단계와의 상호작용에서 상위로 이동하려는 경향성이 있다는 것을 도출해 내기도 하였다. 다시 말해 인간 삶의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갖는 교육의 본질을 실현하기 위한 원동력은 우리의 관계에서 올바른 행동을 실행하게 하고 바람직한 삶을 지속하게 하는 도덕성이다. 도덕성 발달과 관련하여 도덕교육이론에 관한 연구들의 중심에는 콜버그의 발달이론이 자리하고 있을 만큼 중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도덕성 발달에 관한 도덕윤리교육에서 학습자들이 과연 모두가 동일한 도덕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고려가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선 조금 더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고미숙(2002), 경상대학교, “인간교육을 위한 서사적 대화모형 연구” vol. no.16.
한상진(2012), 총신대학교, “루터의 인간이해에 대한 철학적 사고” vol. 64.
김철(2009), 경기대학교, “Buber와 Bollnow의 인간관과 교육관 - 실존적 만남으로서의 교육을 중심으로” vol.23, no.3.
김민성(2017), 조선대학교,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특성에 기반한 인성교육의 원리” 26권 4호.
박만준(2014), 동의대학교, “우리는 왜 도덕적인 존재가 되었는가?” vol. no.74.
이경원(1995), 도덕교육전공, “콜버그의 인지적 도덕성 발달이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hlberg\'s Congnitive Moral Development Theory” Vol.5.
송선영(2020), 경상대학교, “도덕성 발달에 관한 윤리교육이론 연구 동향과 과제” vol. no.55.
Dashsodnom Altantuya(2018), 강남대학교, “지리적 환경에 따른 몽골청소년 도덕발달 수준의 차이 :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 중심으로” 52권 52호.
김상돈(2020), 경성대학교, “도덕과교육은 어떤 도덕성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 vol. no.55.
인간과교육. 조화태, 김계현, 전용오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3년 07월 25일
  • 가격4,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01.19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5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