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열린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작하는 말

2. 미국의 `열린교육` 운동 I: 작은 그림

3. 미국의 `열린교육` 운동 II: 큰 그림

4. 맺는 말

본문내용

을 소위 열린교육의 테두리에 포함하는 쓰레기통식 접근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런 저런 내용의 물음들이 끝임 없이 제기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열린교육을 만병통치적인 교육적 처방으로 과신하여 모든 부문, 모든 방법에 적용함으로써 다른 대안적 접근 방법에 가치를 두는 교사들에게 오히려 피해적 자기 인식을 야기시키는 오류를 범하고 있을 수도 있다.
10여년의 역사성을 갖는 우리의 열린교육 운동을 대상화시켜 차분하게 공과를 논의하고 새로운 교육적 노력으로 승화시키는 작업을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본다. 그저 앞만 보고 달려 온 지금까지의 모습에 대한 본질적이고 냉철한 자기 평가 작업과 향후 개선 방향에 관한 체계적 궁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짧은 식견에도 불구하고 이곳 저곳의 열린교육 시범 학교들을 다녀 보면서 수많은 긍정적 모습들 속에서도 안타까움을 갖게 하는 경우들이 적지 않았다. 교실의 구조나 꾸밈이 과도하리 만큼 똑같고, 참관하는 교사들은 교실 벽의 장식이나 교구를 사진 찍는데 더 관심이 많아 보인다. 전문가 학습 집단과 같은 협동 학습 방법이 사용되지만 "모습에 비해 학습에 조준한 본질적인 학습자간 상호 작용은 기계적이고 피상적인 경우가 자주 눈에 들어온다. 열림의 모습은 있지만 열림의 내용, 열림의 능력, 열림의 본질이 아직은 시작의 수준에 있다고 하면 대안 제시나 격려에 인색한 대학 선생의 지나친 객담이 될까?
교육에 완성의 수준은 없다. 다만 지금보다는 나은 모습이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우리는 노력하는 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작금의 열린교육 운동 및 현장 선생님들의 땀과 노력은 큰 가치를 부여받아 마땅하다. 그러면서도 지속적인 자기 성찰 및 반성적 평가는 절대 필요한 발전 조건이 될 수밖에 없다.
<참 고 문 헌>
한형식 (1997). 열린교육과 Open Education은 國籍이 다르다. 열린교육학회 소식지, 11, 사단법인 한국열린교육협의회, 2-3.
Bestor, A. E. (1953). Educational wastelands: The retreat from learning in our public school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Bradley, A. (1999). Open to innovation. Education Week, April 21.
Featherstone, J. (1967). The new republic.
Holt, J. (1964). How children fail. Pitman.
Howe Ⅱ, H. (1972). Openness: The new kick in education. Ford Foundation Reprint. L. A. H. Smith (1997)에서 재인용.
Kozol, J. (1967). Death at an early age: The destruction of the hearts and minds of Negro children in the Boston public schools. Houghton Mifflin.
Illich, I. (1970). Deschooling society. Harper & Row, Colophon Books.
National Commission on Excellence in Education (1983). A nation at risk: The imperative for educational reform.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Olson, L. (1999). Tugging at tradition. Education Week, April 21.
Silberman, C. E. (1970). Crisis in the classroom.
Smith, L. A. H. (1997). "Open education" revisited: Promise and problems in American educational reform (1967-1976). Teachers College Record, 99(2), 371-415.
Stephens, L. S. (1974). A teacher's guide to the open classroom. Holt, Rinehart & Winston. L. A. H. Smith (1997)에서 재인용.
US Department of Education (1991). America 2000: An educational strategy. US Department of Education.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1.30
  • 저작시기20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