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중문화의 교육적 의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l. 머리말

2. 대중문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3. 90년대의 신세대 문화

4. 대중문화에 나타난 교육과 학교의 이미지

5. 대중문화의 교육적 의미

6. 맺음말

본문내용

다고 한다(『주간조선』, 97. 10. 1).
기업이 경영의 시사점을 배우기 위해 서태지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계도 교육을 위해 대중문화가 갖는 교육적 의미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정부도 대중문화의 가치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 정부는 그 동안 대중문화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해 왔다.
대중문화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대중문화의 상업적 가치에 있다. '할리우드 영화'로 상징되는 미국의 대중문화는 전략적 수출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미국의 대중문화는 전 세계에 수출되어 막대한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 미국의 대중문화는 돈만 벌어다 줄뿐 아니라 미국적 가치관과 행동양식을 전 세계에 전파시키는 역할도 한다. 미국의 대중문화가 이처럼 우월성을 갖는 이유 중의 하나는 국가의 강력한 지원에 있다. 대중문화 상품의 시장 경쟁력은 대체적으로 투자하는 자본의 크기와 정비례한다. 국력이 강하고 자국 시장이 큰 나라는 문화상품 제작에 훨씬 더 많은 돈을 들일 수 있기 때문에 그렇지 못한 나라의 대중문화 상품을 얼마든지 압도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최근 일본문화의 개방 결정은 우리 대중문화를 더욱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만화.애니메이션 등 일본의 대중문화가 세계적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일본문화 수입을 계기로 정부는 문화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대중문화의 국내 경쟁력은 물론 국제 경쟁력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명석.김진성(1997), 『서태지와 아이들 그리고 아무도 없는가?!』, 프리미엄북스.
강주안(1998), "한국 교육현실 이럴 수가...EBS <감성세대> 외국PD들 품평", 『중앙 일보』, 98년 7월 24일, 33면.
강준만(1996), 『대중문화의 겉과 속』, 한샘출판사.
강준만(1998), 『우리 대중문화 길찾기』, 개마고원.
강현두.원용진.전규찬(1998), 『현대 대중문화의 탄생』, 서울대학교출판부.
김갑식(1998), "서태지 이번엔 '나의 앨범 해설' 시비", 『동아일보』, 98년 7월 18일, 15면.
김동균(1996), "대입전쟁 탈락 고졸 30만명 갈 곳이 없다", 『중앙일보』, 96년 2월 5일, 23면.
김명환(1998), "석방된 '혁명자 시인' 박노해씨 인터뷰", 『조선일보』, 98년 9월 5일, 19면.
김문(1997), "청소년보호법 모르면 큰 코 다친다", 『뉴스피플』, 97년 7월 18일.
김성태(1997), "서태지와 '아이들'", 『또 하나의 문화』 13호, 77-85.
김세원(1998), "불 고교생 50만명 시위 교원노조 동참 선언", 『동아일보』, 98년 10월 17일, 9면.
김영신(1997), "가출이요? 그거 '필수과목' 아녜요?", 『NEWS+』, 97년 4월 3일.
김윤덕(1998), "라이브클럽/ '불법' 굴레벗고 '합법' 자유선언", 『경향신문』, 98년 9월 18일, 26면.
김창남(1995), 『대중문화와 문화실천』, 한울아카데미.
김창남(1998),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미메시스(1993), 『신세대: 네 멋대로 해라』, 현실문화연구.
박신연(1994), "가수들/ 삭발.꽁지머리 배꼽티.남성치마/ TV서 사라진다", 『경향신문』, 94년 10월 14일, 29면.
박정훈(1998), "서울대서 '서태지' 가르친다...인문학에 대중문화 강좌 개설", 『동아일보』, 98년 4월 16일, 18면.
성우제(1998), "교실이 있는 한 서태지는 영원하다", 『시사저널』, 98년 7월 23일.
신연숙(1996), "대중음악 바로 보기", 『한겨레신문』, 96년 5월 4일, 5면.
양영유(1998), "허리 휜 학생 급증", 『중앙일보』, 98년 5월 4일, 18면.
오대영(1998), "2002년 대입 수능 비중 대폭 축소", 『중앙일보』, 98년 10월 20일, 1면.
원용진(1996),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원용진(1998), "대중문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박정호 엮음, 『지식의 세계 2』, 동녘, 17-39.
원지연(1997), "10대가 본 10대 문화", 『한겨레신문』, 97년 8월 12일, 11면.
이기수(1998), "하이틴 디스크/ '허리가 아파 공부 못하겠어요'", 『국민일보』, 98년 5월 30일, 29면.
이성복(1997), "'나쁜 영화'는 나쁜 영화인가", 『주간조선』, 97년 8월 6일.
이영미(1995), 『서태지와 꽃다지』, 한울.
이지연(1997), "삐삐 속에 내가 있나요∼ 나는 그대의 진실한...", 『또 하나의 문화』 13호, 116-125.
이효영.서동인(1998), 『힙-합 파라다이스』, 꾼.
임석규(1998), "전라고교의 '꽉 닫힌 교육'", 『한겨레21』, 98년 10월 1일.
장세정(1998), "중고생 3명 중 1명 자살충동 경험", 『중앙일보』, 98년 5월 23일, 25면.
정근원(1998), "영상 시대, 영상 문화, 영상 세대", 박정호 엮음, 『지식의 세계 2』, 동녘, 129-151.
정문수(1996), "PC통신 또 다른 얼굴-제3의 언론", 『뉴스피플』, 96년 2월 2일.
주은우(1994), "90년대 한국의 신세대와 소비문화", 『경제와 사회』 제21호, 70-91.
한명진(1997), "안경학생 원인은 학교 조명", 『한겨레21』, 97년 4월 17일.
허남주(1996), "'서태지 난리' 댄스 음악 힙합 패션으로 10대 지배", 『뉴스피플』, 96년 2월 2일.
허원순(1997), "'서태지 음반' 최고 히트상품", 『경향신문』, 97년 8월 21일, 8면.
허의도(1998), "일본영화 연내 국내 상영...정부 시장개방 스케줄 발표", 『중앙일보』, 98년 10월 21일, 1면.
홍석준(1997), "경제리더는 서태지 신화를 배워라", 『주간조선』, 97년 10월 1일.
Storey, J.(1993), An Introductory Guide to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박 모 옮김 (1994),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04.08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