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의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상고시대

2. 삼한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5. 구한말시대

본문내용

기 소리나 나무꾼 소리에서 파생되는 가창민요로 발달 한 듯 하 다. 그러나 '밀양 아리랑','구조아리랑','신조아리랑','긴아리랑' 등은 그것 이 배재된 지역외에는 기층문화로 관련이 없을 것 같다.
조선말기에 이런 것들이 서울로 전해져서 '구조아리랑'이 되었고 이'구 조 아리랑'에서 서울의 '긴아리랑','아롱타령' 전라도의 '진도아리랑' 등 이 나왔으리라 추측된다.
그후 나운규가 '아리랑'이라는 영화를 만들고나서 신민요 '아리랑'이수 없이 많이 생겼다.
한편 황해도 지방에서는 '긴난봉가'에서 '자진나봉가'가 생기고 또 '개 성난봉가 '사설난봉가','병신난봉가','사리원 난봉가'등이 나와 일제 유 행했었다.
소의 '천안 삼거리'라고 불리는 충청도의 '홍타령'등도 이와 같은 통속 민요에 속한다.그 후 대중가요 라는 것이 유행 하면서 부터 '청춘가' 나 '희망가' 와같이 가요화된 민요가 일반에 널리 불리워 졌다
그러나 이토록 풍성했던 민요의 역사를 일제 강점기를 계기로 서서히 사양길로 접어들기시작했다.그리하여 오늘날의 민요는 본래의 자리를 찾지못한채 이리저리 부유하는 신세가 되어버렸다.
민요가 이처럼 과거의 노래가 되어 버린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사회 경제 체제의 변화로 인한 생활양식의 변화 와 대중매체에 의한 대중가요의 양산 외래음악의 도입으로 인한 미(美) 의식의 변화와 문화적 사대주의 그리고 서양음악 중심의 음악 교육 ,제도 등 쇄퇴의 요 인을 들자면 수없이 많다.
이러한 여러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우리의 문화적 현실 을 과거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6.24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