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음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범패의 뜻

2. 제의 종류

3. 범패의 종류
가. 안채비 소리
나. 홋소리
다. 짓소리
라. 화청·회심곡

4.작법

본문내용

燈偈 허덜품, 홋소리 중의 허덜품 등, 모두 4종이 있는데, 단정례 허덜품은 단정례나 一切恭敬의 앞에 전주로 불리우고, 보례 허덜품은 보례를 비롯하여 여러 곡에 간주처럼 쓰이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허덜품이고, 등게 허덜품은 등게 앞에 전주로 불리는 허덜품이지만 현재는 아는 이가 없어 멸절되어 버렸고, 홋소리의 허덜품은 鐘聲이나 唱魂의 서두에 전주로 불린다.
라. 和請ㆍ回心曲
和請과 回心曲은 불교의 布敎의 한 방편으로서 大衆이 잘 알아 들을 수 있는 民俗的 음악에다 그 敎理를 쉽게 이해시키고 신봉케 하는 사설을 얹어서 부르는 음악이다.
和請은 汎唄僧들이 齋의 끝에 부르는 소리로서 태징을 반주악기로 하며, 西道소리조(山念佛調)로 엇모리 장단에 맡추어 소리한다.
祝願和請도 역시 和請의 일종이지만 사설이 「功德 功德 上來所修佛功德ㆍㆍㆍㆍㆍ」의 한문사설로 그 첫 머리가 고정되어 있고,6拍이 한 장단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엇모리로 된 和請과 다르다. 京畿소리인 平調로 되어 있다.
回心曲은 흔히 和請이나 告祠念佛과 混同하기도 하는데, 엄밀히 말하자면 平念佛 중 德談部分을 뺀 父母恩重經을 따로 떼어서 回心曲 또는 悔心曲이라 부른다. 그 音樂內容은 平調 또는 東部民謠旋法으로 부른다.
3. 作 法
▶범패와 불교무용
부처님을 찬탄하는 音聲供養(음성공양)과 수행자의 법무(法舞)를 통한 무(舞)공양인 범패와 불교무용에 대해 살펴보면 作法 또는 着服이란 佛敎舞踊을 말하는 것인데 靈山齋 중 食堂作法 속에 그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나, 기타의 재에도 繞 (요잡)이라 하여 곡목과 곡목 사이에 빈번히 사용된다.
작법은 나비춤, 바라춤, 法鼓춤, 타주무의 4종이 있는데, 나비춤은 그 쓰이는 용도에 따라 ① 道場揭作法(도량게작법) ② 茶揭(다게)작법 ③ 四方搖身(사방요신)작법 ④ 頂禮(정례)작법 ⑤ 香花揭(향화게)작법 ⑥ 運心揭(운심게)작법 ⑦ 地獄苦(지옥고)작법 ⑧ 自歸依佛(자귀의불)작법 ⑨ 慢多羅(만다라)작법 ⑩ 起經(기경)작법 ⑪ 三歸依(삼귀의)작법 ⑫ 牧丹讚(모란찬)작법 ⑬九遠劫中(구원겁중)작법 ⑭ 五供養(오공양)작법 ⑮ 他柱(타주) 등 15가지로 나누어 진다.
바라춤에는 ① 千手(천수)바라 ② 鳴(명)바라 ③ 사다라니 바라 ④ 灌慾揭(관욕게)바라 ⑤ 막바라(보통바라) ⑥ 來臨揭(내림게) 바라 등 6가지가 있다. 法鼓춤에는 ①법고춤과 ②홍구춤이 있다.
〔참고문헌〕
ㅇ 韓萬榮 著 : 韓國佛敎音樂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1984)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7.04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