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실학 사상, 철학 사상, 목민심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애와 저서

2. 다산(茶山)의 과학 사상
①. 다산(茶山)의 박학 정신(博學精神)
②. 다산(茶山)의 기예론(技藝論)
③. 다산(茶山)의 고공기(考工記)

3. 정약용의 철학 사상
①. 자연관
② 변증법
③ 인식론
④ 지와 행의 문제
⑤ 윤리도덕적 견해
⑥ 종교, 미신에 대한 견해

4. 정약용의 실학사상

5. 문학 사상

본문내용

기막힌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어제는 농사꾼이었던 굶주린 백성들은 빌어먹기 위하여 가나한 집에도 부잣집에도 들르지만, 가난한 집에서는 가난한 살림살이에 대한 하소연을 듣고, 부잣집에서는 모르는 척 돌아앉는 비인간적 대우를 겪게 된다. 그들은 너무도 기막힌 처지여서 식구가 많은 탓도 해보고, 혼자 지내는 홀어머니나 홀아버지를 걱정하며, 벌레나마 배불리 먹는 새나 물이나마 실껏 마시는 고기마저 부러워하기도 한다. 유랑민들의 이렇듯 눈물겹고 절박한 처지와 쓰라린 심정은 당시 사회가 얼마나 원망스럽고 악랄한 사회인가를 보여 준다.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은 3장에서 더욱 깊이 있게 드러난다. 여기서 시인은 굶주린 인민과 달리 봉건 통치자들이 부와 사치로 나날을 보내면서 백성 생활에는 아랑곳없이 비인간적 해위를 자행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아직 봉건 유교 사상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앙 관리들을 백성의 '부모', 지방 관리들을 백성의 '형'에 비유하면서 부모나 형과 같은 통치자들이 백성을 구제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겠느냐고 걱정하는 데 머물며 통치자들이 경제만 잘 다스리면 백성의 곤란한 생활을 해결할 수 있다고 보는 한계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에 대한 시적 일반화의 폭과 깊이, 강한 비판 정신 등으로 이 시는 사실주의 시가의 대표적 작품으로 꼽힌다.
정약용은 「다북쑥」「벼모 뽑기」「메밀」「보리죽」「승냥이와 이리」「버린 나이」등 여섯 편의 시로 묶은 「농촌의 이모저모」에서도 당시 무고한 농민들의 비참한 처지를 보여 주면서, "가죽마저 벗겨가고 뼈마저 갉아 내는" 봉건 통치자들의 죄행을 폭로하고 있다.
그의 시들 가운데는 조세 제도의 가혹성과 통치자들의 악독한 수탈 행위에 비판을 가한 작품도 적지 않다. 이 가운데 한 대목은 "봄에는 좀먹는 쌀 한말을 맡기고 가을에는 옥백미 두말을 팔아도 모자란다네"라고 한탄하였다.
정약용의 작품은 현실을 비판하는 것뿐만 아니라 불합리한 현실을 바로잡아 보려는 정신이 힘있게 반영된 점이 특징이다. 시 「여름날에」에서 시인은 당시 토지 제도·군포 제도·환자 제도·관리 등용 제도의 불합리함과 그것들이 빚어내는 폐해를 신랄하게 폭로하고, 이러한 어질지 못한 법이 어떻게 고쳐져야 할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약용은 자기 작품들에서 봉건 사회 자체를 부정하지는 못하였다. 그가 구상한 이상적인 정치는 유교적인 '왕도 정치'였다. 따라서 이와 어긋나게 행동하는 악질 관료나 중간 착취자들은 비판받지만, 봉건 제도 자체는 부정되지 않는다. 그의 시들은 이와 같은 제한성을 가지고는 있었지만, 부패한 봉건 사회의 현실을 여러모로 폭로하고 나라의 부강과 백성의 구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봉건 시대 말기의 사실주의 문학이 발전하는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목민심서』
정약용은 500여권의 책을 서술한가운데 1/3이 행정의 문제를 다루었다. 목민심서는 근본적으로 지역주민과 지방정부가 평등하다는 민관을 가지고 목민 평등사상으로 봉공과 애민을 강조하였다.
1. 목민심서의 정신
목민의 개효순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서 공· 맹시대에 이르러 구체화되었던 것을 정약용이 이를 목자라는 개념으로 확충하여 발전 시켰다. 정약용은 목자를 민이 선출한 존재로 이해하여 민의 존재를 새롭게 정치적 주체로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맹자의 '왕도사상'을 근대적으로 발전시켰다. 목민심서는 목자와 민이 대등하다는 견해에 입각하여 애민· 위민 사상을 도출하였으며 목자의 민에 대한 사랑을 목민혜로서 정의하였다. 목자는 手技(수기)하여야만 奉公(봉공)할 수 있을 것이요 수기에는 청념이 근간이 된다. 애민정신은 목자가 솔선 수범하는 敎化(교화)로 이루어진다. 당시의 제도였던 이호예병형공의 모든 기틀은 위민적 운용으로 이루어져야하며 목자는 부단히 제도의 모순을 개선하고 현실을 개혁해야한다. 목자는 이러한 徑輪(경륜)의식을 기초로 하여 백성을 돌봄으로써 백성들로부터 존경받는 치자가 되도록 하여야한다. 이러한 목민 정신은 시대와 상황은 다르더라도 치인의 윤리로서 발전되어야한다.
2. 목민심서는 12강 6목으로 이루어져있다.
부임육조,율기육조,봉공육조,애민육조,이전육조,호전육조,예전육조,병전육조,형전육조,공정육조,진황육조,해관육조인 12강으로 나누어져 있다.
참고 문헌
실학파의 철학사상 주칠성 예문서원
다산을 찾아서 고승제 중앙M&B
한국의 실학사상 유형원 外 삼성출판사
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 정성철 한마당
실학의 철학 한국사상연구회. 예문서원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8.06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