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비판적 학문으로서의 기독교교육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구성-비판적 기독교교수학의 이론
2.1 2차 세계대전 이전의 기독교교육학 논쟁의 결과들
2.2 기독교교육학의 핵심으로서 기독교교수학
2.3 자신의 실천의 주체로서의 기독교교사
2.4 고유한 학문으로서의 기독교교수학의 학문성을 위한 조건
2.5 구성-비판적 기독교교수학의 주개념으로서의 형성교육개념
2.5.1 형성교육개념의 7가지 윤리적, 교수학적 관련성들
2.6 자기책임적, 성찰적 주체성의 구축을 위한 신앙이해
2.7 구성-비판적 기독교교수학의 주체지향
2.8 구성-비판적 기독교교수학의 이념비판적 과제

본문내용

-비판적 이론에 대한 요약발표를 마친다.
III. 미래적 기독교교육학을 위한 이론적 제안
필자가 위에서 설명한 구성-비판적 이론은 다양한 구상들 중의 하나로서 소개되었다. 이는 구성-비판적 이론에 의한 기독교교육학과 기독교교수학의 접근방향이 결국은 학문의 정체성을 위한 담론적 성격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기독교교육이 현재까지 이론과 실제의 장에서 수행한 실천의 열매는 다양한 형태로 결실이 맺어져 가고 있다. 무엇보다도 교회와 학교에서의 실천은 기독교교육의 역사에 비하여 기대이상의 관심과 결과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기독교교육의 선구자들의 공로라 할 수 있다. 한국의 기독교교육의 역사에서 이러한 선구자들을 기독교교육의 제 1세대라고 한다면, 현재 기독교교육의 이론과 실천의 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기독교교육학자들은 1.5 혹은 제 2세대라고 명명해도 큰 무리는 없다는 생각을 한다. 세대간의 특징을 들라면 우선 제 1세대가 신학의 기본적 전제하에서 기독교교육의 신학화를 주창하면서 방법론적으로 일반교육을 도입하였다면, 1.5 혹은 2세대는 신학의 지배하에서 일반교육의 독자성을 인정하면서 기독교교육의 독자적 정체성을 추구할려고 하는 추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은 현재 기독교교육학자의 개인의 입장에 의해서만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긍정적인 면도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의 기독교교육이 서로 공유하면서 자신의 특징을 드러내어 토론할 수 있는 공통적인 이론의 부재임을 드러낸다. 이는 기독교교육이 아직은 하나의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발전되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독교교육이 "기독교교육학"으로서 발전하기 위하여서는 한국의 기독교교육학자들 중심으로 기독교교육학을 위한 이론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점에서 필자는 미래의 기독교교육학의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한 몇가지 이론적 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하나님말씀으로서의 성경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근거와 이해는 무엇인가? 성경 내에서의 교육이라는 단어위주의 기독교교육인가? 아니면 인간에게 자기를 계시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교육"인가? 아니면 하나님의 의도대로 인간을 교육하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교육"인가? 어떠한 관점하에서 성경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접근이 요청되는가?
2) 가정과 교회, 학교와 사회교육의 연계를 위한 커리큘럼은 가능한가? 평생교육이라는 틀안에서 교육공동체라는 개념을 갖고서 기독교교육의 모든 현장에 대한 통일적인 관점이 가능한가?
3)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방법 그리고 대상영역에 따른 질문과 관련하여 해석학(Hermeneutik)과 경험중심(Empirie) 그리고 비판이론(Kritische Theorie) 중에서 기독교교육학을 위한 인식방법은 어떠한 틀이 핵심적으로 사용되어야만 하는가? 기독교교육학에서 세가지의 인식방법의 융합모델(Hermeneutisch-Empirisch-kritische Theorie)은 가능한가? 혹은 각자의 입장에서 상대방에 대한 비판적인 틀을 유지하는게 더욱더 적당한가? 혹은 자체의 틀을 유지한채 비판적인 요소을 인정하면서 인식하는게 효과적인가? (Kritische Hermeneutik, Kritische Empirie und (Re-)Kritische Theorie)
4) 기독교교육학의 이론형성을 위한 고려는 신학중심의 "규범적-연역적 방법"과 현실중심의 "경험적-귀납적 방법" 중에서 어느 과정에 우선권이 있는가? 혹은 "규범적-귀납적 방법"이 유효할 수 있는가?
5) 기독교교육학과 인접학문의 관계성은 어떻게 규정되어야만 하는가? 신학, 교육학 그리고 인문과학과의 관계성은 어떠한 관계성인가? 기독교교육학은 단지 신학의 방법론으로만 이해되어져야만 하는가?(Hilfswissenschaft) 혹은 동일한 학문적 과제를 지닌 연결학문으로서 인정되어야만 하는가? (Verbundwissenschaft) 철학, 심리학 그리고 사회과학은 기독교교육학에 어느 정도의 기여를 할 수 있는가?
6) 제안 5번과의 연계선상에서 기독교교육과 신학 그리고 일반교육학과의 중재관계는 어떠한 관계로 설정되어야 하는가? 자급자족형(Autarkie-), 지배형(Dominanz-), 수렴형(Konvergenz-), 이주형모델(Exodusmodell)
7) 기독교교육학의 주표상(Leitvorstellung)에 따른 주범주(Leitkategorie)는 무엇인가? 교육인가?(Erziehung), 사회화인가?(Sozialization), 형성(도야)교육인가?(Bildung)
8) 신앙의 교수성(Lehrbarkeit des Glaubens)은 가능한가? 신앙의 학습성(Lernbarkeit des Glaubens)은 가능한가? 자기반성적, 자기비판적, 자기성찰적 신앙의 형태에 따른 기독교교육학적 접근은 어떻게 가능한가?
9) 기독교교육의 관점이 시간의 틀 안에서 과거, 현재, 미래 중 어디에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인가?
10) 소위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혹은 Postmodernit t), 다원주의(Pluralismus 혹은 Pluralit t) 그리고 종교 혹은 문화간의 대화(ein interreligi ses, interkulturelles Gespr ch)라는 논의에 대하여 기독교교육학은 어떠한 입장인가?
위에서 제기한 미래의 기독교교육학의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한 몇가지 이론적 제안들 이외에도 더 많은 실제적인 제안들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필자의 의도는 현재의 한국의 기독교교육학이 시간적 밀레니움(Millenium)과 20세기의 말, 그리고 21세기의 도래에 직면하여 새로운 정립과 시작이 필요함을 생각하면서, 여기에 제시된 이론과 제언들이 한국의 기독교교육학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소망한다. 귀한 시간을 할애하신 선배 교수님들과 동료들 그리고 모든 기독교교육의 현장에서 겸손히 섬기시는 모든분들에게 감사하면서 이 글을 맺는다.
HWP Document File V3.00
--------------------------------------------------------------------------------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9.27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