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평화추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영구 평화론의 배경
(1) 근세 이후의 사회ㆍ정치적 배경
(2) 영구평화론의 생성

3. 계몽시대의 영구평화론들
(1) 17세기의 평화론자들
(2) 루소의 영구평화론
(3) 칸트의 영구 평화론
(4) 제한전쟁론

4. 유럽교회의 평화운동
(1) 서유럽 교회의 평화운동
(2) 동유럽 교회의 평화운동

5. 미국 교회의 평화운동

6. 한국교회의 평화운동과 과제

7. 맺는 말

본문내용

초한 평화운동과 축을 같이 하면서 서구교회의 반전 반핵 평화운동을 주체적으로 수용한 평화운동을 모두 평화운동이라고 규정하고자 한다.
우리는 한국교회의 평화운동의 이같은 입장을 한국교회협위회가 발표한 "평화통일 선언"과 "민족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 기독교회 선언"에서 분명하게 발견할 수있다. 이제 한국교회의 평화운동의 입장을 살펴보기로 하자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은 "우리 한국교회는 그리스도인들 모두가 평화를 위하여 일하는 사도로 부르심을 받았음을 믿으며, 같은 피를 나눈 한겨레가 남북으로 갈라져 서로 대립하고 있는 오늘의 이 현실을 극복하여 통일과 평화를 이루는 일이 한국교회에 내리는 하나님의 명령이며 우리가 감당해야할 선교적 사명임을 믿는다"고 전제하면서, "정의와 평화를 위한 한국교회의 선교적 전통"에서 정의에 기초한 평화운동의 입장을 말하고 있다. 또한 "민족분단의 현실"에서는 민족적 적대감과 계층적 갈등의 구조를 극복해야 할 구조로 언급함으로써 사회구조 변혁으로서의 평화운동을 말하고 있다. 특히 "남북한 긴장완화를 위해 평화협정을 요구하고, 핵무기는 결쿄 사용되어서는 안되며, 한반도에 배치되었거나 한반도를 겨냥하는 모든 핵무기는 철거되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서 서구교회의 평화운동을 포함하고 잇다.
우리는 이같은 선언의 내용을 검토해 볼때. 한국교회의 평화운동이 그저 선언적 성격에 머물고 있지 않음을 역사에서 보게 된다.
특히 1980년대 학생운동과 재야운동의 질적 전환과 더불어 한국교회 역시도 상당한 체질 전환이 이루어졌음을 보게된다. 그러나 우리는 진보와 보수의 극단적인 대립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보게된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교회의 평화운동은 평화와 통일을 위한 연대운동을 지속하는 과제 등을 평화운동의 과제로 삼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교회의 평화운동은 맹용길 교수가 지적한 바 있는 평화교회는 성경이 가르치는 평화의 주제를 실천하고 또 실천하려는 교회를 지칭하며, 핵에 관한한 절대평화론을 제창하는데,. 우리는 평화교회를 통해 모든 불의와 억압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한국교회의 평화운동은 한나님의 형상의 세 가지 관계-하나님 앞에서 피조물로서의 관계,이웃과 평등 속에서 협력해야할 관계, 자연을 위임받은 공존자로서의 관계를 횔복하고자 하는 운동이요, 운동의 과정 속에서 이미 세 관계를 바르게 경험하는 운동이 되어야 함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7. 맺는 말
계몽시대에 평화를 지키고 만들려는 노력이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즉 영구 평화론과 제한 전쟁론이다. 이들 두 입장은 , 예컨데 전쟁에 대한 입장만 보더라도 그 관점들의 상이성 때문에 거의 배타적이다. 영구평화론자들은 군주의 경솔한 변덕으로 전쟁이일어나 많은 국민의 목숨이 없어진다고 본 반면, 정당전쟁 옹호자들은 군주들이 심각한 위험을 무릅쓰고 나라의 중대한 이해관계를 위해 전쟁을 한다고 주장한다.
정당전쟁론자들은 역사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대응하면서, 이땅의 악한 세력을 응징하고 정의를 최대한 세운다는 논리를 세운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정당전쟁론은, 시대에 따라 변하는 전갱 양상에서 이제는 새로운 제한 전쟁론을 만들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약자들의 이유있는 항변까지도 억압하려는 논리를 지닐 수있는 것이다.
영구평화론은 보편적인 인류공동체 건설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강한 도덕성을 가진다. 이러한 전통은 새로운 공동체를 향해 전향적으로 역사를 대응해 나간다. 전쟁이나 폭력은 그 자체가 악이라고 하여 거부하는 태도를 갖는다. 역사에 대하여 낙관적이고 때로는 이상주의적이기도 하다. 기독교적 입장에서 보면 죄의 문제를 소홀히 하거나 간과하고, 또한 지나친 인간주의적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양자의 주장과 경향성을 반성해 보면, 어느 일방이 타방을 능가하는 진리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없다. 결국 현실적이고 이상적인것. 비관적이고 낙관적인 것, 보수적이고 전진적인 것 등 상반되는 것 같은 두가지 모습들이 깊은 대화 속에서 양자적 결합의 상승작용을 함으로써 인류의 염원인 평화가 만들어지고 확장되어갈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두 전통은 끊임없이 대화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세계 철학사(하) 림석진역, 분도 출판사,1978
평화의 개념 대한 기독교서회,1980
기독교와 사회이념 이삼열, 한국신학연구소 1986, 279쪽
제3세계의 평화운동과 평화교육 노정선,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편
현대교회의 평화운동 김용복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편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0.0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2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