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신의 윤리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김교신의 생애와 사상의 배경

3. 김교신의 윤리사상의 틀
가. 윤리적 주지
나. 윤리의 규범

4. 김교신의 윤리사상의 영역

5. 맺는 말

본문내용

에 의하면 영구 불멸할 조선 건국의 열쇠는 조선의 지리적 물질적 잠재력보다는 그 조선의 백성에게 있었다. 그 백성들의 문제는 빈곤이었고 그것은 그들의 나태와 불성실에 기인하나 바 큼으로 이제는 새로운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갱생의 소망을 하나님에게서 찾자는 것이 김교신의 기본 입장이었다. 그의 기독교적 신앙은 조선반도와 함께 항상 세계인류의 운명에 대한 기여와 봉사를 의식토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성서전체가 '평화'를 주장한다고 주장하며 "이권을 주장하여 투쟁함은 인간의 일이요 또 악마의 소행이다. 자기를 희생하며 화목을 도모함은 하나님의 심성이다."라며 계급주의적 투쟁에 의한, 또한 무력항쟁에 의한 조선건설에는 분명한 반대의사를 표하였다.
바. 사회
김교신은 혼탁한 사회를 정화하고 사회에서 사는 방향을 바르게 지적하였다. 그는 성경을 공부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았으며 처음부터 성경이 가르치는 행위의 방향과 내용을 한국 사회에 적용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이행하려는 태도를 분명하게 나타냈다.
) 맹용길, 한국기독교 윤리사상(1), 김교신님의 윤리사상, P.265.
김교신은 사회에 대해 생각할 때 철저하게 하나님의 말씀을 생각하고 그리스도의 행위를 본받으면서 사회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해석하고 대응하려 했다. 우리는 이러한 태도를 하나님 중심적 또는 그리스도 중심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5. 맺는 말
거스탑슨(Gustafson)은 사회윤리로서 갖추어야할 최소한의 4가지 기본적 요소를 사회분석, 신학적 확신, 도덕적 원칙, 그리스도안에서의 기독인다운 삶으로 제시한 바 있다. 그의 이러한 제안을 표준으로 김교신의 윤리사상을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교신에게 주어진 최선의 선택은 '성서'를 '조선'에 주는 것이었다. 그는 그 '성서'로써 '조선의 갱생'을 도모하였던 것이다. '성서'를 김교신에게는 '맥락'(context)자체였던 '조선'에 적용시키는 근본원리로 삼았다는 점에서 그의 윤리주지는 '무교회신앙'이었다는 것이었다. 또한 윤리적 주지로서의 '무교회신앙'은 가장 기본적인 것을 하나님으로 믿고, 그 이상적인 삶을 배타적인 민족주의에 입각한 독립국가도 아니요, 이념투쟁에 입각한 계급주의 국가도 아닌 오로지 성서의 신앙 즉 무교회신앙위에 선 '영구 불멸할 조선'에 두고 있다. 김교신의 '주지'로서의 '무교회 신앙'이 시사하는 것 중 가장 특색 있는 것은 기독교윤리적 도덕적 행위자(moralagent)로서의 '조선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사상배경에서 우리가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전통사상에 대한 뿌리깊은 애착이었다. 그것은 아마도 그의 전통 있는 가문의 배경과 우찌무라 간조의 무교회사상에서 유래한 서양의 물질주의적 사상에 대한 극심한 반감에 기인한바 클 것이다. 또한 당시의 서양선교사들의 문화 우월주의적 선교자세에 대한 반발 분위기도 작용하였을 것이다.
) 민경배, 한국 기독교회사 (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1979) PP.342∼348.
그러나 김교신의 '조선인', 즉 '도덕적 행위자'는 결코 배타적이거나, 일률적으로 투쟁적이거나, 무력으로 새로운 조선을 기획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그 '조선인'이 원하는 사회와 세계는 서로가 서로의 '자유'를 보장하며 이로부터 성서가 가르치는 '올바른'삶을 함께 땀을 흘리며 이루어 감으로써 모두가 '평화'롭게 살 수 있는 사회이자 세계였다. 그러나 주지로서의 '무교회신앙'을 통합적 주지로서 규정하는 것에는 한계성도 있다. 무엇보다도 통합적 주지의 특색인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언급을 김교신에게서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반-교리적이며 유교적인 신앙 즉 무교회신앙은 그에게 효도의 대상으로서의 아버지 하나님을 깊게 뿌리박아 놓았음으로 그의 신론을 일종의 성부 중심의 양태론으로 이끌고 간 느낌이 든다. 그리고 김교신의 윤리사상이 현실적인 윤리행위에의 참여에 적극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겠으나 그것의 사회 윤리적 측면에서의 한계성은 오늘의 한국 기독교의 생존의 기본 주지의 모형으로서의 무교회신앙을 논하는 데에 결정적 한계성을 가진다. 김교신의 윤리사상은 보다 확실한 신학적 일관성과 사회의 구조적 분석에 대한 보다 심각한 관심으로서 보완된 후에라야 민족주의와 제반 이데올로기들의 새로운 도전에 의하여 '생존'의 위기를 맞고있는 한국의 기독교가 민족적 기독교로서 '민족'과 '기독교'를 모두 살릴 수 있는 역할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사려된다.
아멘.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0.1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