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선거와 인터넷 : 낙선운동 낙천운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연구문제

II. 선거운동과 인터넷: 정당, 후보자, 시민단체의 선거관련 활동과 인터넷
1. 정당 선거운동에 접합된 인터넷
2. 총선 후보자들의 선거운동에 접합된 인터넷
3. 총선연대의 낙천·낙선운동에 접합된 인터넷

III. 맺는 말

본문내용

러한 작업은 인터넷을 통하지 않고는 수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고, 시민단체에게는 부담이 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총선연대 관계자가 밝힌 것처럼 단순히 유권자들과의 의사교환이나 의견수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선거에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는 이슈들을 계속해서 생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대중을 조직화하는데 인터넷을 충분히 활용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총선연대와 같은 시민운동 단체들은 선거과정에서 네트를 행위 공간으로 활용하고 이에 기반한 효능감을 증대시켜 나갈 때 인터넷의 진정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한국 선거과정에서 개별 선거참여 주체들에 의해 활용되는 인터넷의 효과성을 논의하기 이전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들이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정당들간의(주요정당과 소수 정당) 인터넷 활용의 차이가 정당의 구조(의사결정방식, 자원, 지도력 등)와 주된 선거운동 방식과 더불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인터넷 활용은 정당들의 다양한 구조적 조건들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선거에 활용되는 인터넷의 내용과 방식이 상이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많다. 둘째, 선거 후보자들의 인터넷 활용에 있어서는 정보통신 기술 보급의 지역별 편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선거에서 개별 후보자들이 지역구에 기반한 선거운동에 인터넷을 활용할 경우 지역구 내의 인프라 구축 여부와 지역구 주민의 인터넷 활용 정도가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정당, 개별 후보자, 그리고 시민단체들이 선거과정에서 인터넷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네티즌이 얼마만큼 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유권자인가를 구분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네티즌들은 과연 얼마만큼 선거 참여적인가 그리고 이들은 얼마만큼 정당, 후보자 그리고 시민단체들이 선거과정에서 마련하는 웹 상의 프로그램이나 참여공간에 반응적인가를 분석하는 것 역시 차후에 선거운동과정에서 인터넷이 어떠한 효과를 갖고 있는가를 논의하는 데 있어 중요할 것이다.
▣ 참고문헌 ▣
1. 국내문헌
강상현a,1999, "전자민주주의와 시민참여: 사이버스페이스의 참여 민주적 공간화를 위하여", 크리스찬아카데미 편저, 『시민이 열어가는 지식정보사회』, 서울: 대화출판사.
______b,1996, 『정보통신 혁명과 한국 사회: 뉴미디어 패러독스』, 서울: 한나래.
라도삼, 2000, "16대 총선에 나타난 네트워크 활용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정기 학술대회 발표 논문.
박동진, 2000, "16대 총선에 있어 정보테크놀로지의 활용" 한국정보사회학회 창립 1주년 총회 및 기념 세미나, 한국의 e-politics:현재와 미래.
유석진, "정보화로 인한 정치과정의 변화와 우리의 과제", 지식정보사회의 철학과 비전에 관한 심포지움, 2000년 6월29일.
황용석, 김재영, 정연정, 2000,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정치환경과 언론』, 서울:커뮤니케이션 북스.
「한겨레신문」, 2000.3.2.
「한겨레신문」, 2000.4.10.
「한겨레신문」, 2000.4.18.
「한국일보」, 2000.3.31.
「동아일보」, 2000.3.15.
「동아일보」, 2000.3.31.
「중앙일보」, 2000.2.12.
2. 국외문헌
Barber, Benjamin, Mattson, Kevin and Peterson, John, 1997, "The State of Electronically Enhanced Democracy: A Survey of the Internet" paper presented to Markle Foundation.
Browing, Grame, 1996, Electronic Democracy: Using the Internet to Influence American Politics, Connecticut: Wilton.
Chung, Younchung,1999, "Citizen Interest Groups and the Internet: Does the Internet Really Matter for Citizen Interest Group Mobilizatio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Chicago).
Corrado, Anthony and Firestone, Charles(eds.), 1999, Elections in Cyberspace: Toward a New Era in American Politics, Washington D.C., : The Aspen Institute.
Davis, Richard, 1996, The Web of Politics, NY: Oxford University Press.
Graber, Doris, 1997, "The New Medium and Politics: What Does the Future Hold?" PS: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s, Vol. 29. pp.33-36.
Grossman, Lawrence, 1995, The Electronic Public, NY: Penguin Books.
Hugh, John and Hill, Kevin, 1997, Cyberpolitics, N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 Inc.
Li, Tiger, 1990,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s and the Chinese Students in the U.S.", Information Society, Vol.19, po,125-137.
Morris, Dick, 1999, Vote.Com, LA: Renaissance Book.
Resnick, David, 1997, "Politics on the Internet: the Normailization of Cyberspace", New Political Science, Vol.41, pp.47-68.
Wayne, Rash, 1997, Politics on the Net: Wiring the Political Process, New York: W.H. Freeman.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2.10.1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