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생태계보전과 남북환경의 역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남북환경포럼

2. 한반도 생태계보전과 남북환경포럼의 역할

3. 한반도 생태계보전 관련 남북한 용어통일사업(안)

4. 한반도 생태계보전 관련 남북한 생물다양성 조사사업(안)

5. 소요재원 마련

6. 환경친화적 도로사업 추진 방향

7. 경의선 남북연결도로 사업에 대해

8 문제점 및 결론

본문내용

주요 번식지 및 서식지로서, 두루미류와 개리 등의 겨울철새의 주요 월동지역으로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유동물로는 산양, 반달가슴곰의 안정적 서식지임과 동시에 현존 개체군이 절멸위기에 처한 남북한의 개체군의 자연 증식 개체군으로서 향후의 해당 종 보존에 매우 희망을 주고 있다.
비무장지대는 한강유역가운데 북한강의 최상류, 하천 집수역으로서 환경지형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현재까지의 상황으로 미루어, 비무장지대는 한반도 중부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종과 남북한의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종의 마지막 피난처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여 왔고, 앞으로 경제적, 비경제적인 측면에서 그 가치는 예측 불가능의 높은 생산적 효과와 생태적 기능을 수행할 것임에 틀림없다.
끝맺음
비무장지대(DMZ)는 실제 그 이름 그대로 비무장지대가 아니다. 철책선 안팎으로 진출해 있는 OP(Observation Post, 관측초소)와 GP(Guard Post, 경계초소)가 북한은 대략 280여개, 남쪽은 100개에 가깝게 운영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 진지마다 대략 30여명 안팎의 1개 소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비무장지대 내에만 남북을 합하면 1만 여명에 가까운 무장된 병력이 상주하고 있다. 이들 진지는 소총 등의 개인화기는 물론이고, 박격포 등의 공용화기, 이 외에도 자동소총을 비롯해, 수류탄 및 대전차 방어용 화기 등 각종 무기로 무장돼 있다.
또한 실제로 휴전선 250㎞ 가운데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2㎞를 유지하고 있는 곳은 거의 없다. 강원도 양구군의 해안분지의 경우, 직선거리가 750m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고 땅 밑에는 치명적인 흉기인 지뢰가 묻혀있다. 대략 모두 1백 여 만 발의 지뢰가 매설돼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그 누구도 정확한 숫자는 알고 있지 않다. 야생동물들이 지뢰를 밟아 사고를 당하는 현장이 빈번히 병사들에 의해 목격되고 있다.
그러나, 비무장지대는 한반도의 자연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보존되어야만 될 남북의 생물자원과 생태계를 연결하는 교류의 통로요, 최후의 보루이다. 그 가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남북교류의 영향으로 그 생태적 기능이 훼손위기에 처해있다. 일시적인 욕구충족을 위해 너무나 값비싼 희생을 강제하고 있다. 비무장지대의 자연환경은 그 보존을 위해 국제적으로도 매우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왜, 국제적인 학자들이 비무장지대의 환경보존을 위해 한 목소리로 내고 있는지 그 이유를 다시 생각해 보라. 이러한 비무장지대가 안고 있는 학술적, 경제적 중요성과 가치의 보존을 위하여서는 반드시 그 실체파악을 위한 조사가 선행되고, 종합적인 보전관리계획이 수립된 이후 우선 순위에 입각하여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는 남북환경 및 경제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경제는 환경자원을 이용하는 학문이다. 생태적 환경기능이 순기능을 유지하여야, 경제도 산다. 남북 공존을 위해 특히 남한 정부측 건설입안자나 산하 공사 및 연구원 관계자들은 그들의 계획이 가져올 엄청난 환경 부담의 경제적 손실에 대해서 지난 일을 반드시 되돌아보길 바란다.
참고자료
강원도, 1987. 민통선북방지역 자원조사보고서. 694 p.
경기도, 1987. 민통선북방지역 자원조사보고서. 553 p.
김기곤 외, 1999. 파주민통지역 및 비무장지대에서의 환경관리전략에 관한 국제심포지엄, 21세기의 DMZ : 생태적보고-ESSD의 도전. 서울대학교/UNDP/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정책학회. 305 p.
김봉균 외, 1989. 비무장지대 자연생태계 조사연구. 국토통일원. 131 p.
문화재관리국, 1992. 비무장인접지역 자연종합학술조사보고서. 291 p.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5. 광복50주년기념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산림생태계 조사 1차 보고서. 185 p.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광복50주년기념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산림생태계 조사 2차 보고서 - 중/동부 산악지역. 185 p.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7. 광복50주년기념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산림생태계 조사 3차 보고서. 185 p.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8. 광복50주년기념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산림생태계 조사 4차 보고서 - 서부 해안 및 도서지역. 185 p.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9. 광복50주년기념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산림생태계 조사 최종 보고서. 185 p.
아사히신문, 2000. 군이 지켰다?! 야생의 왕국. 2000년 3월 30일자 14판 3면. (일본어)
아사히신문, 2000. 위험한 낙원 1. 군사지대의 동물들. 2000년 4월 7일자 3판 13면. (일본어)
원병오, 1998. 하늘 빛으로 물든 새. 중앙M&B. p.155
한상훈, 1999. 비무장지대(DMZ) 와 민통선지역(CCZ)의 생태환경 현황(In, '99 비무장지대와 민통지역 보전을 위한 워크샵). 경기북부환경운동연합, pp. 13-20
한상훈, 2000. 한반도의 자연과 야생동물. 한국자연환경과학정보연구센터. 113 p.
환경처, 1992. 비무장지대 인접지역(민통선지역)의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786 p.
환경부, 1997. 민통선지역 자연생태계 현황. 16 p.
Simba Chan, 1999. Atlas of Key Sites for Crane in the North East Asian Flyway. Wetlands International. 67 p.
H. Higuchi et al., 1998. Satellite tracking of the migration of the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Ecological Research 13: 273-282
H. Higuchi and J. Minton (Eds.), 1994. The Future of Cranes and Wetlands. Wild Bird Society of Japan. 181 p.
Wild Bird Federation Taiwan, 2000. Proceedings of the 1999 International Black-faced Spoonbills Conservation Workshop. 50 p.
  • 가격3,3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2.11.06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