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 정보불평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정보격차를 둘러싼 기존의 논의들: 쟁점과 문제점

Ⅲ. 정보격차의 일반적 양상

Ⅳ. 정보격차의 생성 요인 및 확산 경로

Ⅴ. 정보격차의 유형별 고찰

Ⅵ. 정보격차의 해소 방안: 용구적 모형에서 기술사회적 모형으로

Ⅷ. 성숙 정보복지사회의 조건 정보복지권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divide.gov/. July.
U.S. Department of Commerce. 1998. "Falling Through the Net II: New Data on the Digital Divide." http://www.ntia.doc.gov/ntiahome/digitaldivide.
U.S. Department of Commerce. 1999. "Falling Through the Net III: Defining the Digital Divide." http://www.ntia.doc.gov/ntiahome/digitaldivide.
U.S. Department of Commerce. 2000. "Falling Through the Net III: Toward Digital Inclusion." http://www.ntia.doc.gov/ntiahome/digitaldivide.
Whatis?New. 1999. http://whatis.techtarget.com/definition/0,,sid9_gci214062,00.html.
Weber, M. 1946. From Max Weber: Essays in Sociology, edited and translated by H.H.Gerth and C.W.Mill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ebster, F. 1995(1997). 『정보사회이론(Theories of Information Society)』. Routledge 사회비평사.
World Bank. 2001. World Bank Calls for a Narrowing of the 'Knowledge Gap' between
Rich and Poor. World Bank Group News Release no. 99.
김문조는 ********************************. E-mail: muncho@korea.ac.kr
김종길은 ********************************* E-mail: way21@duksung.ac.kr
(2001.12.31. 접수; 2002. 8. 9. 채택)
<그림 1> 정보격차의 생성요인 및 확산경로
<그림 > 정보격차의 생성 요인 및 확산 경로
<그림 2> 정보격차의 세 가지 유형 및 유형별 목표과제
<그림 > 정보격차의 세 가지 유형 및 유형별 목표 과제
<그림 > 정보격차의 유형별 특징
<그림 3> 정보격차의 유형별 특징
<그림 4> 유형별 격차밀도
<그림 > 유형별 격차 밀도
<그림 5> 제1유형 정보격차의 해소방안
<그림 > 제1 유형 정보격차의 해소 방안
<그림 6> 제2·3유형 정보격차의 해소방안
<그림 > 제2.3유형 정보격차의 해소 방안
Digital Divide: Conceptu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Mun-Cho Kim, Departmen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Jong-Kil Kim, Department of Sociology, Duksung Womens University
It has been generally argued that digital divide is caused by four major elements: class, gender, generation and region. But digital divide is created, reproduced, and aggravated through a very complex process. Given the assumption that digital divide is not a comprehensive concept converging into a single dimension, digital divide are articulated into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e access to information devices or database(information accessibility);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resources(information mobilization); and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the quality of information (information consciousness).
Based upon this multilateral perspective, three stages of digital divide opportunity divide, utilization divide and reception divide are delineated. Particularly, in the advanced stage, what matters may not be universal information possession or effective information utilization but sensible information reception. Cultural capital will be more salient since what is important is not opportunity or skill, but cultural literacy.
The prior conditions for the solution of digital divide are to draw upon a social consensus in order to provide more people with more information. As informatization progresses further, communication will become a critical issu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licy measures not only to enhance the media availability but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Key words: digital divide, information inequality, information society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11.26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2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