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사 서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국건축사 서설

2. 한국의 전통건축에 관한 기존의 연구

3. 한국전통건축의 특성과 전통의 계승

4. 한국건축에 대한 기존의 입장

5. 한민족의 미의식

6. 한국건축문화형성의 요인

7. 한국건축의 전통계승

본문내용

의 美學의 差異를 나타내는 것이다.
① 구체적인 실제건축물을 그대로 모사
예) 民俗博物館(구 국립종합박물관) - 법주사 팔상전, 금산사 미륵전,화엄사 각황전등.
② 구체적 전통건축의 디테일만을 조합하여 모사
예) 국립광주박물관 - 궁궐양식에 사찰양식을 절충.
③ 현대적 형태의 건물에 고건축을 모사한 형태를 부가
예) 올림픽회관 - 고층 office에 팔각정 첨가.
나. 전통요소의 변용 및 추상화
전통건축의 시각적 모티브를 현대적으로 승화시킬 때, 재료 및 조형에 있어서 전통건축과 유사하게 표현한다면 한국적 느낌도 주며 널리 호감을 얻는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론은 디테일의 변형 및 재료의 선택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① 한국적인 사물의 형상에서 모티브를 가져 오는 경우
예) 올림픽 주경기장 - 갓, 부채, 백자, 버선 등.
② 한국전통건축의 건축물 전체형태에서 모티브를 가져오는 경우
예) 국립진주박물관 - 산성, 탑, 누각 등.
③ 한국전통건축의 디테일에서 모티브를 가져오는 경우
예) 주한프랑스대사관 - 지붕, 기단, 서까래, 공포, 창살문양 등.
④ 형이상학적 모티브, 즉 한국적 사유(思惟) 또는 건축철학을 반영
예) 공간사옥 - 자연과의 조화, 대청을 통한 앞마당과 뒷마당의 상호관입 등.
다. 전통건축 어휘와 전개과정의 현대적 응용
전통건축의 전개과정에서 적용된 의미, 사상, 방법과 그 배경의 분석을 통해 현대적 한국건축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아직 어떤 평가를 내리기가 어렵지만 널리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현대적 한국건축언어를 정립해 간다면 대단히 좋은 전통수용 방법론이 될 가능성이 있다.
① 도시적 맥락속에서 전통건축 이미지를 현대적 기능과 재구성
예) 전주시청사 - 전주시의 Landmark인 풍남문의 이미지를 시청건물에 도입
② 역사적 사건과 장소성의 고려
예) 순교자 기념 성당 - 천주교 박해가 행해진 곳에 그 계기가 된 프랑스함선의 이미지.
③ 한 도시의 역사적 의미와 그 대표적 유물에 담긴 해석을 현대건축에 도입
예) 국립공주박물관 - 百濟古都 공주와 무녕왕릉의 의미를 부각시킴.
이상에서, 전통요소를 현대건축에 응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형태가 그 기능에 따라 정해진다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고, 때로는 작가의 독자적 해석이나 건축주(관계자)의 요구에 따라 변형된 부분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관점을 생각하고, 또 나름대로의 비판을 해 보는 것이다. 또, 우리는 학생이므로 눈에 거슬리는 부분을 뜯어 고쳐볼 수도 있는 일이다. 즉, "나라면 이렇게 했을텐데…"하는 생각을 자주 해보고, 실제로 그려보아야 한다. 그렇게 자신의 시야를 키우므로서 전통의 현대적 해석이나 응용에로의 기본 소양을 닦을 수 있으며, 「韓國性 추구와 傳統 계승」이라는 우리의 과제를 풀어 나가는데 큰 도 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上述한 바와 같은 한국적인 여러 특질을 계승발전시키는 문제는 그 正道가 없기 때문에 이는 아직은 미해결의 장으로 남게 되나, 몇몇 학자와 건축가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전통은 형식이 아니라 민족의 생명력의 발산인 까닭에 유산중에서 형태를 고집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 못된다」,「지나간 문화의 형상을 그대로 모방한다는 것은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파괴하는 길이다」라는 논의 등으로 전통을 계승하는 방법을 미흡하게나마 표현하고 있다.
이 방법은 형태에 의한 것과 내용에 의한 것으로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다시 형태의 모방에 의한 방법과 형태의 분석에 의한 방법 및 형태의 내용인 건축사상에서 출발하는 방법, 그리고 공간기능의 구성을 파악하는 방법등으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법중에는 어느 것만이 최선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으나 최소한 최선을 향해 접근을 시도할 수는 있을 것이다. 용기를 내어 다음과 같은 논거로 그 방법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첫째, 세계건축의 조류는 강한 개성적 표현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일단은 국제적 건축양식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치있는 건축은 고유성과 전통성을 지닌 독창적인 건축이며 현대의 건축풍조는 이러한 이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셋째, 건축에 있어서 현재성을 떠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건축표현을 함에 있어서 옛날로 다시 돌아갈 수는 없는 것이다.
네째, 위의 입장에서 감행된 모색과 시험은 바로 그대로가 완전한 것이 되기에는 힘들 것이다. 거듭 시도하고 다시 사회에 적나라하게 투영하여 비판의 채찍을 받고 나서야 완성되리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5) 小結
이상과 같이 몇가지 간단한 고찰로서 전통성과 그 계승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러나 전통의 계승이라는 명제는 내재적인 것이 오히려 외형적인 것보다 강조되기 때문에 허다한 난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으나 가장 큰 요인은 우리의 것에 눈을 돌리고 이를 연구하는데 정성을 기울이지 못한 데에 있다고 하겠다. 조급한 행동과 결과보다는 꾸준한 고찰과 연구로 우리의 것을 탐구하고 이를 사랑하며 아낄 줄 아는 태도와 이러한 것들을 하나의 전통으로 후손에 물려줄 수 있는 지혜를 갖는 우리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결코 혼자의 독단이나 아집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방적인 자세로 학문적 토의와 용기있는 실천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근년에 들어 포스트 모던등의 건축운동에 지역성이나 풍토성을 강조한 작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 우리의 전통에 대한 이해와 응용의 폭이 넓어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일로 여겨진다.결국 우리가 우리임을 포기한다면 우리의 존재가치가 상실되며 우리로서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다.
우리가 우리것을 알아 이해하고 즐긴다는 것보다 중요하고 시급한것은 없다. 우리는 현대문화가 뽐내고 있는 無國籍性에 식상해있다. 서울이나 뉴욕이나 동경이나 별로 다를게 없다. 자기의 모습, 자기의 색깔, 자기의 채취가 없다.
우리는 어디에서 출발해야 할것인가. 바로 우리의 것에서 이다. 自己卑下나 自己陶醉는 옳지 못하다. 다만 우리의 것을 알고 우리다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것이 우리가 우리임을 밝히고 살아남을 길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01.2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