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주의와 페미니즘에 관한 한국여성학의 논의 : 일본군위안부 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한국여성학에서의 민족 논의
(1) 1990년대 이전의 민족 관념이 포함된 연구
(2) 1990년대 서구 여성학의 민족논의 소개
(3) 최근의 새로운 민족논의

III. 일본군위안부문제에 관한 한국여성학의 연구

IV.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한 한국여성학의 연구 및 민족담론을 둘러싼 쟁점
(1) 피해자 여성 간의 민족별 차이
(2) 공창제와 군위안소 정책
(3) 한국의 피해자 및 여성운동의 민족인식
(4) 한국의 가부장적 민족주의에 대한 페미니즘의 영향
(5) 일본의 민족주의 확산 문제

V. 맺음말

참 고 문 헌

**한글97

본문내용

서 적당한 해결책이 될 것으로 생각한 사람들이었다. (정진성,1998a)
문제는 이 운동을 계기로 일본에서 우파 민족주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소위 건전한 민족주의를 표방하고 일본의 전쟁문제를 재해석하자는 자유주의사관 운동과, 보수와 진보의 중립을 표방하면서 일본중심적 전쟁피해관을 설득하는 加藤(가토)류의 지식인 움직임, 만화로 이를 확산시키는 움직임 등이 엄청난 대중 확산력을 발휘하고 있다.
페미니스트 논의 중에 이러한 민족주의적 보수사관이 깔려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예컨대 우에노) 우리가 이에 일일이 대응할 필요는 없지만, 페미니스트로서 연대가 가능한 정도는 어디까지인가를 가늠하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여기서 우리가 직면하는 것은 가부장제 자체가 아니라 페미니스트까지를 포함한 일본의 공격적 민족주의인 것이다.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의 관계는 상황에 따라 이렇게 달리 설정되고 있는 것이다.
V. 맺음말
우리 역사에서 민족주의는 여성의 목소리를 억압하는 효과적 기제로 사용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러한 가부장적 민족주의 한편에서 일본을 비롯한 강대국과의 민족관계로부터 여성의 고통이 중첩되는 상황, 민족문제의 표출인 제국주의와 식민주의가 여성의 삶에 미치는 절대적인 영향, 여성 자체가 민족 인식을 통해 사회의식에 도달한 과정, 페미니즘으로 인해 가부장적 민족주의가 변화된 양상 등에서 볼 수있는대로, 민족주의 자체의 다양성이나 페미니즘과의 관계의 다양성은, 그렇게 간단히 처리될 수 없는 복합성을 가진다.
한국여성학연구에서 민족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인 분석을 시도하기 보다는 경계하거나 냉담한 태도를 보여왔다고 생각되며, 군위안부 문제에서 단적으로 그러한 상황이 나타났다. 그것은 객관적 분석 변수로서의 민족을 민족주의담론의 종속상황으로 보는 점과 민족주의를 다양한 양태가 아니라 단일한 목소리, 단일한 형태로 파악하는 점과 연관된다. 그것은 또한 여성 변수의 우위성에의 지나친 집착 경향과, 그 기반이 된 여성학의 역사가 짧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유를 찾을 수있다. 이글은 보다 열려진 시각에서 민족문제와 결부된 여성문제를 정확히 파악할 것과, 민족 차이에 따른 입장의 차이도 인식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참 고 문 헌
강선미·야마시타 영애, 1993, "천황제 국가와 성폭력,"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제9집.
김은실, 1994, "민족담론과 여성,"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제10집.
박용옥, 1984,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현옥, 1994, "여성,민족,계급,"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제10집.
신영숙, 1989, 「일제하 한국여성사회사연구」, 이화여대 사학과 박사논문.
신혜수, 1994, "민족주의와 페미니즘: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통해본 그 결합과 긴장"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야마시타 영애, 1999, "한국의 위안부 문제와 민족주의" 『근현대 한일관계와 재일교포』 (서울대출판회) 근간.
에반스, 리차드, 정현백 외 역, 1997, 『페미니스트』 (창작과 비평사).
여성평우회 평, 1985, 『제3세계 여성노동』 (창작과 비평사).
여순주, 1997, "군위안부 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정대협,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진상』 (역사비평사).
윤택림, 1994, "민족주의담론과 여성,"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제10집.
이상화, 1993, 「군위안부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여성학과 석사논문.
이효재, 1989, 『한국의 여성운동』 (정우사).
1997,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의 전개과정," 한국정대협,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상』 (역사비평사).
윤정옥, 1997, "조선식민정책의 일환으로서 일본군위안부," 한국정대협,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진상』 (역사비평사).
정진성, 1988, "식민지 자본주의화과정에서의 여성노동의 변모," 『한국여성학』, 제4집,
1993, "일본군위안부 정책의 본질," 한국사회사학회, 『한말일제하의 사회사상과 사회운동』 (문학과 지성사).
1998a, "일본의 평화운동:군위안부문제의 해결을 위한 운동," 서울대 국제지역 원, 『국제지역연구』 제7권 제1호.
1998b, "일본의 신민족주의 운동: 자유주의사관운동을 중심으로" 서울대 국제 지역 원, 『국제지역연구』 제7권 제3호.
정현백, 1998, "지구화, 민족주의 그리고 한국의 페미니즘" 한국여성연구소 심포지움 「위기시대의 여성의 삶과 한국의 페미니즘」 발표 논문.
조은, 윤택림, 1995, "일제하 신여성과 가부장제," 『광복50주년 기념 논문집』
(학술진흥재단).
藤目ゆき, 1998, 『性の歷史學』 (東京:不二出判).
上野千鶴子, 1998, 『ナシヨナリズムとジェンダ-』 (東京:靑士社).
Chatterjee, Parta, 1993, 『The Nation and Its Fragments』 (Princeton:Princeton University Press).
Jayawardena, Kumari, 1986, 『Feminism and Nationalism in the Third world』 (London:Zed Books).
Kaplan, Caren, "The Politics of Location as Transnational Feminist Critical Practice" in Inderpal Grewal and Caren Kaplan eds., 『Scattered Hegemon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ohanty, Chandra Talpade, et.al. eds., 1991, 『Third World Women』 (Indiana:Indiana University Press).
West, Lois A. ed., 1997, 『Feminist Nationalism』
Yang, Hyunah, 1998, "Remembering the Korean Military Comfort Women," Elain H.Kim & Chungmoo Choi eds., 『Dangerous Women』 (Routeledge).
  • 가격1,7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03.07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