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택민시대 중국외교의 난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언

Ⅱ. 강택민시대 중국외교정책의 변화

Ⅲ. 중국위협론의 대두

Ⅳ. 남중국해분쟁

Ⅴ. 중·미 관계의 안정적 발전

Ⅵ. 대만문제

Ⅶ. 결 어

본문내용

신미·일방위지침과 전역미사일방위(TMD)체계를 마련한 것도 마찬가지 이유라는 판단이다. 따라서 중국은 미국의 독주와 서방세계의 중국 견제를 막기 위한 전략으로 양자적 동반자 관계의 강화와 다자적인 안보 구도를 추구하고 있다. 양자 관계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복원-강화한 것이다. 그러나 중국과 미국 양국은 상호 경계의 대상이면서도 동시에 경제건설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 절실히 필요한 존재이다. 따라서 중미관계는 사안별로 대립, 경쟁과 협력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그 외에도 중국은 주변국들과 적지 않은 외교적 어려움도 안고 있다. 인도와 베트남과는 전쟁도 치렀다. 아시아의 다양한 문화도 걸림돌이다. 그러나 중국은 한 걸음 한 걸음 착실하게 정지작업 중이다. 러시아, 베트남 그리고 카자흐스탄 등 구 소련 국가들과도 국경선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했다. 필리핀과는 남사(南沙)군도 영토분쟁을 당분간 묻어두기로 합의했다. 태국 말레이시아 등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과의 관계도 강화하고 있다. 주용기(朱鎔基)총리 등 중국 지도부는 최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등을 차례로 방문하여 군사협력를 강화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아세안+3' 회담과 ASEAN 지역포럼 등 다자안보대화에 계속적으로 참가함으로써 중국위협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주변국에 평화적 이미지 부각에 힘쓰고 있다.
그렇지만 대만문제에 대해서는 아주 강한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대만이 공식으로 독립을 선언할 경우 무력사용을 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대만독립은 다민족국가인 중국의 내부혼란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 미국의 중국포위를 강화하는 결과가 되리라 보기 때문이다. 현재 대만당국뿐만 아니라 대만인들 중 70%이상이 중국과의 통일을 반대하고 있고 미국이 양안관계의 평화적 해결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상태에서 중국이 무력을 통해 통일을 실현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향후 대만문제의 해결은 중국, 대만 및 미국 3자간의 이해관계와 힘 겨루기에 의해 결정되며, 그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중국대륙이다. 앞으로 중국에서 지속적으로 경제성장이 이룩되고 민주화가 진행되어 대만인들이 중국과의 통합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게 된다면 양안간의 통일은 생각보다 가까운 장래에 실현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재철. 1997. "중국위협론의 한국적 의미." 『국방학술논총』 제11집 (1).
류동원. 2000. "대만 주요 정당의 대중국정책과 2000년 총통선거."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0집 1호.
박정동. 1996. 『21세기 중국』.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변창구. 1999. 『아세안과 동남아국제정치』. 서울: 대왕사.
서진영. 1997. 『현대중국정치론』. 서울: 나남.
신상진. 1995.3. "등소평 사후 중국정세와 대외정책." 『나라의 길』 29.
1997.3. "중국 국내정치의 발전과 대외정책." 『전략연구』 9.
1998.1. "강택민 시대 중국의 대외정책." 『국제문제』.
이태호. 1995.9. "중국의 대외정책과 '하나의 중국'원칙." 『북한』.
조현태. 1997.10. "중국공산당 15차대회를 보고." 『북한』.
평화연구원. 1998. 『동북아와 남북한. 1997-1998』. 서울: 평화연구원.
한홍석. 1997. 『강택민 시대의 중국』. 서울: LG 경제연구원.
臺灣行政院大陸委員會. 2001. 『兩岸關係統計月報』第104期.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 1993.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公報』第20號.
梁守德. 1996. 『國際政治新論』.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石志夫. 1994. 『中華人民共和國對外關係史』.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楊公素. 1997. 『中華人民共和國外交理論』. 北京: 北京大學國際關係學院.
陸學藝. 1996. 『21世紀的中國社會』. 昆明: 雲南人民出版社.
李野外. 主編. 1998. 『中國發展狀況與趨勢』. 北京: 經濟日報出版社.
席來旺. 1996. 『21世紀中國戰略大策 : 外交謀略』. 北京: 紅旗出版社.
閻學通. 1999. 『中國與亞洲安全』. 北京: 時事出版社.
陸忠圍. 1995. 『面向二十一世紀的中國周邊形勢』. 北京: 時事出版社.
Chen, Qimao. 1993. "New approaches in China's foreign policy; The post-cold war era". Asian Survey, Vol.33, No.3, March, 1993.
Christensen, Tomas J. 1996. "Chinese Realpolitik", Foreign Affairs. Vol.75, No.5, September/ October.
Kristof, Nicholas D. 1993. "The Rise of China," Foreign Affairs. Vol.72, No.6, November/ December.
Lasater, Martin L. 1993. U.S. Interests in the New Taiwan. Boulder: Westview Press.
Munro, Ross H. 1992. "Awakening Dragon-The Real Danger in Asia from China," Policy Review, No.62(Fall).
Shambaugh, David 1997. "Patterns of Interaction in Sino-American Relations," in Thomas W. Robinson and David Shambaugh, ed., Chinese Foreign Policy: Theory and Practice, Oxford: Clarendon Press.
Swaine, Michael 1997. "Don't Demonize China," Washington Post, May 18.
Talbott, Strobe 1996. "Democracy and the National Interest," Foreign Affairs. Vol.75, No. November/December.
목차
Ⅰ. 서 언
Ⅱ. 강택민시대 중국외교정책의 변화
Ⅲ. 중국위협론의 대두
Ⅳ. 남중국해분쟁
Ⅴ. 중·미 관계의 안정적 발전
Ⅵ. 대만문제
Ⅶ. 결 어
참고문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3.04.04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