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사상과 생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의 사상과 생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Ⅲ.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
1. 논리학
2. 자연철학
3. 형이상학
4. 윤리학과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과의 차이점

Ⅳ. 아리스토텔레스의 업적
1. 철학적 업적
2. 과학적 업적
3. 후대에 미친영향

Ⅴ.맺는말

본문내용

데 플라톤은 근본적인 질문과 문제 해경에 관심을 갖고, 특유의 철학적 방식으로 이를 탐구한 자이기에 그에게서 해결점을 찾는 것이 당연해 보인다.
당시 아테네는 폴리스라는 생활공동체를 중심으로 모든 생활방식과 교육이 이루어졌다. 폴리스가 그들의 이상을 실현대주고, 지적 정신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테두리였으며 그들은 이런 폴리스가 올바르고 훌륭하게 유지되기를 바랐다. 플라톤 역시 펠레폰네소스 전쟁이후 붕괴해가는 폴리스를 보면서 아름다운 폴리스를 다시 구현하는 일에 누구보다도 많은 관심과 집착을 보였다. 이렇게 아름다운 폴리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폴리스에게 가장 훌륭한 기질과 본성을 지닌자를 선발해서 통치하기에 합당한 자로 교육해야 한다는 것에 관심을 갖고, 이런 과정에서 교육의 문제가 최초로 제기되었다.
폴리스는 통치자와 그들을 보조하는 수호자, 그리고 생산일을 맡고 있는 생산자의 세 계급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처음부터 아름답게 수립되었기 때문에 이런 폴리스에서는 지혜 용기 그리고 절제와 정의를 찾아볼 수 있게 된다. 특히 정의는 이들 세 계급 각자가 자기에게 가장 적합한 일을 하는 것을 말한다.
개인의 영혼도 폴리스에서처럼 이성적인 부분, 기개적인 부분 그리고 욕구적인 부분이라는 3요소로 되었다. 그런데 사실 영혼의 본직은 이성적인 부분이므로 이것이 다른 둘을 지배하고 통제할 때 개인에게 정의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성적인 부분의 본래 할 일이 심사숙고하며, 통제하고 지시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성이 지배하고 기개적인 부분이 이에 복종하며 또한 협력하게 하여, 한 개인을 정의롭게 하기 위한 교육으로 문예교육과 체육교육이라는 기초교육을 제시한다. 문예교육을 통해서는 혼의 이성적인 부분을 키우고, 체육교육으로는 기개적인 부분을 길들여서 이 둘을 적절하게 혼화하여 교육하는 것이 정의를 키우는 기초교육의 목적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문예나 체육교육을 통해서 정의로운 행동을 하게 하거나 아름다운 것들을 알아보고 사랑하게 할 수 있어도 그것을 인식하게 할 수는 없다. 결국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일 플라톤이 말했듯이 실재에 이르게 하는 지식을 획득해 사는 과정이라고 보았을 때, 이 기초교육은 이를 위해서는 쓸모가 없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사고가 자주 변하고 생성 소멸을 거듭하는 가시계에 묶여 있는 한 그 어떤 것도 인식할 수 없으며 실재에 대한 지식을 가질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시계에서 사유를 통해 알 수 있는 세계로 우리의 혼을 끌어올릴 때 비로소 인식을 갖게 되는 것이며, 플라톤은 우리의 이해를 돕기 위해 4등분된 선분을 통해 가시계로 부터 가지계를, 의견으로부터 인식을 분리해 보였다.
도한 플라톤은 지식을 갖기 위해서는 감각으로부터 벗어나 사유에 의해 알 수 있는 영역으로 우리의 혼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았으며, 이 과정을 교육받은 상태와 관련해 동굴의 비유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교육이 혼의 전환이라는 견해에 이어 또다른 시사점 교육이란 보지 못하는 눈에 시각을 넣어주 듯 지식을 넣어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강제에 의해서는 어떤 지식도 가르칠 수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교사의 역할은 아래를 향해 있는 아이들의 눈을 올바른 방향으로, 더 나아가 선의 이데아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들은 본래부터 지식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직접 사고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내재된 사고를 밖으로 드러내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교사의 인도를 받아 이미 교사가 학생들이 배워야 할 것으로 정한 내용 즉, 학문을 교사를 따라 재발견해 나가는 것이 교육의 과정인 것이다. 이를 감당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문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고 익어야 하며 또한 아동들의 사고를 자극할 만큼의 교육내용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결국 교육목적이라는 것도 교육 문제가 대두되었던 '통치자'에 잇는 것이며 특히 통치자는 실재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있어야 아름다운 폴리스를 유지하고 구원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통치자는 철학자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종합해보면 교육의 목적을 철학적 통치자를 기르는데 있게 된다.
다음으로 교육내용에 대해서 플라톤은 인간성장에 따른 시기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시한다. 10세 이후 어린 시절에는 모방과 습관을 통해 정의로운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문예와 체육 교육을 실시한다. 20세 이후 10년 동안은 혼을 가시계에서 가지계로 돌리기 위해 정화시키는 시기로 수학과 그와 관련된 교과를 가르친다. 30세 이후 5년 동안 일체의 감각을 쓰지 않고 '이성적 논의'를 통해 '좋음'을 파악하게 되는데 이는 변증술적 논변에 의해서라야 가능한 것으로 결국 선의 이데아를 보게 되는 과정인 것이다. 이렇게 인간의 성장에 따라 10세에서 50서까지의 긴 기간 동안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플라톤은 기초교육과 관련해서 아이들의 인격형성에 좋은 영향을 주는 이로운 교육과 부적절한 해로운 교육이 있다고 보았다. 이로운 교육은 문예교육과 관련해서 문학의 내용에 있어서 도덕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만을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다. 도덕적으로 가치가 있기 위해서는 문학의 주 소재가 되는 신적인 존재에 대해 일관된 원리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 원리는 신은 선한 것의 원인이 되며, 변치 않을 뿐 아니라 참된 존재라는 것으로 이 원리에 의해 표현된 것만이 이롭다고 하였다. 또한 그 형식에 대해서는 모방의 문제를 중요시 여겼다. 아이들이 본성상 누군가를 모방할 수밖에 없다면 올바르고 쉽게 변하지 않는 인물을 모방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음악과 관련된 여러 악기나, 화음, 리듬도 문학의 내용이 허용하는 범위에 따라야만 아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로운 교육이 된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플라톤의 교육사상연구,1987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플라톤의 교육사상과 그 교육학적 의의에 관한 연구
박영직 플라톤 철학의 이해,1984
하기락 서양 철학사,이문출판사, 2000
강태정 서양 철학사,1991
이재훈 플라톤 철학연구,1981
건국대학교 허미숙 플라톤의 <국가>편에 나타난 교육사상연구,1998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04.08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2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