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의전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가(儒家) 사상


(1) 공자의 인(仁)사상
1) 인의 본질
2) 예(禮)의 본질
3) 정치 사상


(2) 맹자(孟子, 이름은 軻, B.C.374∼289)의 성선설(性善說)
1) 인간의 내면적인 본성
2) 이상적인 인간상
3) 왕도 정치
4)민본주의적 혁명 사상


2. 도가(道家) 사상(=노장 사상 : 老莊思想)

(1) 노자의 도(道)
1) 인간의 본성
2) 사회 혼란의 원인
3) 무위 자연(無爲自然)
4)정치사상

(2) 장자의 사상
1) 제물론(齊物論)
2) 물아일체(物我一體)


3. 불교 사상
(1) 연기설(因緣設)
(2)사성제설
(3) 삼법인설(三法印說)


1. 유학사상(儒學思想)의 발전
2) 명대의 유학 : 양명학 (陽明學)
3) 청대의 유학 : 고증학 (考證學)


2. 도가사상(道家思想)의 발전


3. 불교 사상의 전개 과정

본문내용

외의 것을 탐하고 추구하는 것
3. 불교 사상의 전개 과정
구 분
대 승 불 교
소 승 불 교
특 징
세간적, 이타적, 적극적
은둔적, 이기적, 소극적
수행과정
보살행을 통한 자비의 실천
불전 연구, 철학적 사색, 교리 해석 등
궁극목표
인간애의구현→제도중생→열반, 해탈
개인의 해탈, 열반 적정
전파된 국가
인도북방, 중국, 한국, 일본 등
스리랑카, 미얀마, 타이 등
1) 대승(大乘) 불교의 윤리 사상
① 전파 지역 - 인도 북방, 중국, 우리 나라, 일본 등
② 윤리적 목표 - 대승 불교의 윤리적 목표-보살행(菩薩行)을 통하여 자비를 베풀어 인간애를 구현하는 것
※자비-일체의 중생(衆生), 즉 인간뿐만 아니라, 미물(微物)의 생명까지도 귀중하게 여기는 보편적인 사랑
2)중국 불교 사상의 전개 과정
진(晉)∼남북조(南北朝)∼수(脩)의 시대를 거쳐 천태종(天台宗), 화엄종(華嚴宗), 선종(禪宗)으로 분파
① 천태종, 화엄종-불교 경전의 교리 중시
② 선종[대표:혜능(慧能, 638∼713)의 돈오(頓悟: 한꺼번에 깨닫는다. 는 뜻)의 원리] - 경론이나 추론적지식에 의해서는 참된 깨달음을 얻을 수 없고, 돈오의 방법에 의할 때 비로소 진리가 발견될 수 있다고 보는 것
● 선종의 발전
맡 김
무얼 하든 온몸으로 하라. 통째로 맡겨라.
크게 깨달은 달마는 제자를 찾았으나 도무지 구할 수가 없었다.
해서 인도를 떠나 중국으로 갔다. 그는 열쇠를 갖고 있었지만 마땅한 전수자를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이다. 달마는 산 속의 한 동굴에서 9년을 기다렸다. 그러나 그에게서는 엄청난 자기력, 끄는 힘이 일고 있었다. 그의 뜻은 이러했다.
"진짜 사람이 와야만 만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벽 쪽에서 눈을 돌리지 않겠다."
그런 어느 하룻날, 한 사람이 달마의 동굴을 찾아왔다. 그 사람은 달마의 곁에 가 앉았다. 그 사람은 아무 말도 없었다. 그 사람은 그냥 옆에 앉아 기다렸다. 끈기있게 기다렸다. 거기엔 두 침묵이뿐이었고, 두 침묵의 만남뿐이었다.
이튿날 아침, 그 사람은 아무말 없이 자기 한 쪽 팔을 싹둑 잘라 달마에게 내놓으며 외쳤다.
"제쪽으로 돌아보시지 않으면 이번엔 머리통을 자르리다!"
그러자 달마가 즉각 돌아봤다. 그가 마침내 돌아섰다. 9년 동안 그는 아무도 돌아본 적이 없었다.
"이제야 왔는가?"
그 젊은이가 후에 중국 선학의 2대 주지인 혜가이다.
자기 목숨까지 기꺼이 내놓을 줄 아는 자만이 진짜 제자이다.
그 사람이 싹둑 잘라 내놓은 팔은 무엇인가?
'제 쓰임을 모두 당신에게 바칩니다. 저를 쓰십시오.' 모두 바칠 테니 쓰라는 것이다.
'당신의 수레가 되겠습니다. 당신이 나르고자 하는 것을 나르고, 주고자 하는 것을 전해주겠습니다.' 수레로 쓰라는 것이다.
'이 순간부터 제 쓰임은 당신 것입니다. 저는 이제 자신의 행위자가 아닙니다. 당신의 말씀대로 움직일 것입니다.' 그 사람이 잘라 놓은 팔은 이런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사람이 진짜 머리통을 자른다는 게 아니다. 진짜로 그렇다면 대단히 모자라는 짓일 게다. 그 사람은 분명 말했다.
"제쪽으로 돌아보지 않으면 머리통을 자르리다."
이건 통째로 맡긴다는 뜻이다.
※돈오(頓悟) 점수(漸修)의 비교
중국 선학의5대 계승자인 홍인은 수하의 숭려를 불러 모았다. 많은 사람들 앞애서 불문의 계율에 따라 가사를 전수하겠다고 선포하였다. 그 방법인즉 가사를 얻고 싶은 사람이면 누구건 간에 불경의 노래가사인 게(偈)를 한 수 지어서 불교의 이치에 대한 인식을 설명하라는 것이다. 이때 두 승려가 게를 지어 법당의 기둥에 붙었는데 다음과 같았다.
◐신수의 게(偈)
몸은 보리수요
마음은 명경대라
틈틈이 힘써 닦아내어→점수(漸修)
먼지로 더럽히지 않노라
◐혜능의 게(偈)
보리수는 본시 나무가 아니고
명경 또한 대가 아니네
본래 한 물건이 아니거늘
어디에서 또 먼지가 일겠는가→돈오(頓悟)
☞ 이러한 사상이 우리나라에 전파되어 고려시대 승려 지눌에 의해서 돈오점수로 조화되었다.
▶ 동양 윤리 사상의 특징
1. 개인의 윤리적 각성 중시: 자율적인 도덕적 주체자가 될 것을 강조
① 유학(수기치인) - 군자(공자), 대인(맹자), 성인(성리 학자)
② 도가(무위자연) - 절대 자유로운 자(노자, 장자)
③ 불교(전미개오) - 깨달은 자(석가모니)
2. 강제적인 외부의 규율보다는 윤리적인 행위를 애초에 가능하게 하는 내면적인 윤리적 품성, 덕성을 보다 중시했다.
① 유학 - 내면적인 자율과 도덕에 많은 주의를 기울임.
② 도가 - 쓸데없는 외부로부터의 강제를 더욱 거부함.
③ 불교 - 내가 소중하듯 남도 소중함을 깨달을 것을 강조함
3. 이론적 탐구보다는 실천을 중시 했다.
-윤리적 이론을 일상의 실천 생활에서 드러내야 함을 강조
① 유학 - 도덕적 문제를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배제하고, 그를 삶의 현실에 실천할 것을 역설함으로써 내면 지향성의 윤리를 강조
② 도가 - 인간도 자연의 한 개체임을 깨달아 인간 본래의 자연적 본능을 회복할 것을 역설함으로써 도(道)의 윤리를 강조
③ 불교 - 인간 스스로 도덕적 책임을 자각하고 착하게 살아 갈 수 있는 삶의 지혜를 역설함으로서 자비(慈悲)의 윤리를 강조
4. 자연과의 조화 및 생명에 대한 존엄성 강조
: 살아 움직이는 것을 중시했고, 자연의 삼라만상과 조화를 이루어야 함을 중시했다.
: 인간도 변화무쌍한 자연의 일부분임을 깨달을 것을 강조
① 유학 - 대자연의 운행에 순행할 것을 강조
② 도가 - 자연과 하나가 될 것을 강조
③ 불교 - 생명 중시의 윤리를 더욱 강조
5. 인간 본능에 대한 깊은 신뢰를 갖고 있다.:
대부분의 동양 윤리 사상들은 인간 본능의 선함에 대한 확신을 갖고 있음.
① 유학 - 선한 본능의 회복으로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음을 역설
② 도가 - 참된 자연의 원리인 도(道)를 깨달을 때 절대 자유로운 자'가 될 수 있음을 역설
③ 불교 - 모든 사람이 부처'가 될 수 있는 바탕을 가지고 있음을 역설
★ 동양윤리사상의 현대적 의의
1. 인간됨의 가치 회복, 미래 사회의 윤리적 지침 제공
2. 사회적 병폐와 도덕 규범의 해체에 대한 대안 제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07.25
  • 저작시기200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