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연의 사상성 발표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지연의 사상성 발표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명대개괄
1. 명대 사상적 특징
(1) 자유주의적 경향
(2) 사상의 통제
2. 명대 소설의 흥성원인
3. 장회소설
(1) 장회소설의 출현
(2) 장회소설의 형식

Ⅱ. 역사소설(歷史小說)《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1. 역사소설(歷史小說)의 연원
2. 역사소설의 대표작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1)《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시대적 배경
(2)《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역사적 배경
(3)《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가 이루어진 과정과 작가
(4)《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내용
(5)《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나타나는 사상성
(6)《정사삼국지(正史三國志)》와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대한 비교
(7)《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특징
(8)《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의의

참고자료

본문내용

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개성을 결합하여 전쟁을 묘사함으로써, 사람의 역할과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원인을 부각시켰다. “장막 안에서 전술 전략을 세우는 것”을 중점적으로 묘사하였고, “천리 밖에서 승부를 결정짓는 것”은 쓰지 않았다. 관도지전(官渡之戰)ㆍ적벽지전(赤壁之戰)ㆍ이릉지전(陵之戰)이 작품속에서 가장 잘 묘사된 3대 전쟁이다.
《삼국지연의》중에는 많은 전역을 묘사하고 있는데, 그 중 적벽지전(赤壁之戰)과 관련 있는 묘사는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다. 이것은 손권과 유비라는 두 집단이 처음으로 연합하기 시작하여, 공동으로 조조를 제압한 전역이다. 쌍방의 역량은 큰 차이가 있었지만, 전역의 결과는 연합군의 승리였다. 약한 자가 강한 자를 싸워 이긴 것이다. 작가는 우세와 열세, 주동적인 것과 피동적인 것, 강자와 약자 사이의 서로 전환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묘사했다. 제갈량의 방침은 먼저 연합군 내부가 단결해야 하고, 이를 공고히 하는 것이었다. 그는 유학자들과 설전을 벌이며 화친과 전쟁, 이익과 손해에 대해 진술하였고, 동오(東吳)집단을 단단히 확보함으로써, 손권이 북쪽으로 조조에 대항하고자 하는 결심을 재촉하였다. 주유는 수군의 우세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조군(曹軍)의 예기를 꺾는데, 조조가 모든 주의력을 “水”의 문제에 빼앗겼을 때, 주유와 제갈량은 도리어 조군에게 “火”의 함정을 준비했다. 수군의 우두머리인 채모(蔡瑁)와 장윤(張允)이 사이가 벌어져 결국 피살당한 것, 황개(黃盖)가 위장 투항한 것, 방통(龐統)의 연환계(連環計) 등은 화공(火攻)의 조건을 점점 성숙시켰다.
연속 8회라는 거대한 편폭으로 이 한 차례의 전역을 묘사하였는데, 적벽 싸움의 묘사는 또한 “어지러움 속에 고요함이 있는(動中有靜)” 문장법을 이용했고, 살기등등한 전투를 당겼다 늦추었다 하며, 느슨하고 팽팽함이 조화를 이루도록 묘사하였다. 조맹덕(曹孟德)의 “긴 창을 옆에 차고 시를 짓는 것”과 방사원(龐士元)의 “등불을 들고 야간에 책을 읽는 모습”등이 있다. 앉을 새도 없이 바쁠 때에도, 한사코 쉴 수 있는 거처를 만들어 내고 한가한 심정과 안일한 정취가 있는데, 이러한 묘사들은 소설의 리듬을 조절하여 작품의 줄거리가 단순한 긴박감에서 끝나지 않게 하였고, 전쟁을 적절한 간격으로 묘사하여, 그 변화성과 생동감이 더욱 드러나게 되었다.
4) 완정성(完整性)
《삼국지연의》의 예술성은 보다 큰 데 있다. 곧 전체적인 구성이다. 전체적 구성이 서막(序幕), 본막(本幕), 종막(終幕) 등 전후관계와 대소의 질서가 지켜진 구성이 웅대하면서도 엄밀한 장편 역사소설이다. ‘관도전’에서 군웅의 각축이 시작되는데, 이는 전체의 서막이 된다. 36회에서 105회까지 70회가 중심 단락인데, 이는 제갈량의 삼고초려부터 시작하여 제갈량의 죽음으로 끝나는 과정이다. 역사소설에서 오랜세월, 수많은 사람, 복잡한 사건을 역사 사실을 돌보면서 하나의 작품 속에 엮어 넣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5) 《삼국지연의》는 전기(傳寄) 문학 언어의 성과를 흡수한 기초 위에서 진일보 통속화하였다. 즉 평이한 문언이면서 또 ‘백화(白話)’라고 말 할 수 있다. 문언체(文言體)로 기록하여 백화체(白話體)인 《수호전(水滸傳)》에 비교할 때 부족한 면도 있다. 그러나 언어가 정련(精鍊)되었다. 과장 대비 심리 묘사 등 기교가 뛰어나다.
(8)《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의의
1) 사회에 끼친 영향
첫째,《삼국지연의》작품 속 전형성을 띈 인물들의 이미지는 오랜 기간 봉건사회 속에서 통치했던 각종 인물들의 특징을 개괄하여 봉건시대 통치계급이 통치권을 쟁탈하는 참혹한 투쟁을 나타내었으며 봉건시대 통치계급 중 대표적인 인물들의 잔혹함과 음험함, 교활함과 위선을 들춰내, 백성들로 하여금 봉건통치자들의 음험한 본질과 죄악을 인식하도록 도와주었다. 또한 봉건시대 전란 중 백성들이 겪어야 했던 어려움과 평화적인 통일에 대한 염원을 반영하면서 역사상 진보적인 관념을 가진 인물들을 칭송하고 있으며 봉건적 통치사상의 지배 하에서 일반적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선악과 옳고 그름에 관한 관념들을 표현하였다.
둘째, 작품의 전쟁묘사 가운데, 전쟁과 관련된 전략전술 등은 전쟁서로써의 역할을 하기에 충분하다. 장헌충(張獻忠)이자성(李自成)등 농민 봉기군들의 전략전술에도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셋째, 각 시대의 국민들은 도원결의 가운데의 유관장이 상호 믿으며 생사를 같이 하는 본을 받아 결의(結義)의 방식으로 조직을 결성하고 반항 투쟁을 진행하였다. 이와 반대로 봉건 통치자들은 충의(忠義)를 이용하여 봉건 황제에게 충성하고 봉건 황제와 그의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는 사상을 설교하는 것으로 국민들의 투쟁의식을 마비시키려고 하였다. 청대의 통치자들이 도처에 관우의 묘를 세운 것도 바로 이런 수단으로 저들의 통치를 공고히 하려는 것이었다.
넷째, 인의(仁義)ㆍ충렬(忠烈) 등의 도덕 교과서적인 역할과 군사전략을 가르치는 병서(兵書)구실도 하였다. 만청 때는 왕조가 이를 만주어로 번역하여 장병에게 읽힌 일도 있었다.
다섯째, 독자들에게 애증(愛憎)의 감정처리와 지모(智謀)의 중요성 등 생활의 지혜를 배양한 점을 들 수 있다.
2) 문학에 끼친 영향
중국 최초의 장편장회소설로써 전기적(傳寄)인 영웅인물을 전형화하는데 공헌하였고, 후에 장회체의 역사연의소설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명대에 《열국지(列國志)》《봉신연의(封神演義)》와 청대의 《수당연의(隋唐演義)》등에 영향을 끼쳤다. 희곡에도 큰 영향을 남겼는데, 삼국이야기를 제재로 한 희곡이 140여 편이 된다고 한다.
◀ 참고문헌 ▶
《中國文學演義》, 念,上海文出版社.
《중국문학사》, 김학주, 신아사, 1983.
《중국 역사와 문학 下》, 김병수, 학문사, 1996.
《중국소설사의 이해》, 최용철, 중국소설연구회, 1998.
《간추린 중국 문학사》, 김장환, 학고방, 2001.
《그림으로 읽는 중국문학 5천년》, 빙심 외, 예담, 2000.
《사상으로 읽는 삼국지》, 야마구치 히사카즈, 이학사, 2000.
《삼국지연의의 학술적 분석 형성과 창조 2-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11.13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