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교육사상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孔子의 생애

3. 孔子의 교육사상
1) 교육가능성
2) 교육사상의 원칙
3) 忠과 信
4) 인성관
5) 禮와 仁
6) 中庸
7) 孔子의 제자

4. 孔子의 교육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5. 결론

본문내용

사람이 없고 윗사람이 禮를 좋아하면 禮가 上下에 잘 시행이 되어서 백성을 부리기가 쉽다.”고 하여 禮敎育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孔子는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것을 禮에 따라서 한다면 인을 실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것은 다른 사람에게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의 하기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실행하기가 어려워 현자의 위치에까지 오른 孔子의 제자가 72명이나 되었지만 孔子에게서 호학한다는 칭찬을 받은 제자는 오직 顔淵뿐이었다고 한다.
孔子는 無禮의 폐단을 이야기 하였다. “공손하기만 하고 禮가 없으면 수고롭고, 삼가되 禮가 없으면 두렵고, 용맹스럽지만 禮가 없으면 혼란하고, 강직하기만 하고 禮가 없으면 너무 조급하다.” 공손한 것과 신중한 것과, 용감한 것과, 강직한 성격의 소유자가 이들을 禮로써 적절히 조절 하지 못한다면 오히려 폐단이 됨을 지적해주고 있다.
孔子는 악을 대단히 중요한 교과로 인식 하고 있었다. 교육의 마지막 단계에서의 인격 완성을 음악에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당시의 음악이 넒은 의미로는 禮에 속해 있었다. 따라서 음악을 이야기 할 때에도 禮樂이라 했으며 여기에는 무용까지 포함시켰다고 한다.
고대 중국에 있어서는 禮樂이 치국과 수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정하여 왔다. 특히 孔子는 禮樂을 인간의 道德的情操의 함양과 人格의 함양에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孔子가 齊나라에 가 있을 때 음악에 심취하여 삼개월동안 고기 맛을 잊고 “나는 일찍이 음악이 이처럼 극진함에 이를 줄은 생각하지 못했다.”라고 하였다.
孔子는 음악에 대한 일가견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魯나라의 樂官에게 “음악에 대하여 알 수 있습니다. 처음 시작 할 때에는 五音 六律이 함축되어 고요한 듯하고 차츰 나아가며 음이 맑고 흐리게 조화를 이루면서 순결한 듯하며 오음이 각기 뚜렷해지면서 이어가다가 끊어질 듯 말 듯 여운을 남기며 끝나는 것이지요.”라고 하였다. 이처럼 孔子의 음악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그의 말년에 노나라로 돌아와서도 계속되었다고 한다. 孔子의 敎育思想 硏究 신요영 논문집(원광대) 의 1996년 제31집 1호(인문.사회계) p.21, p.22
5. 결론
孔子의 『論語』에는 孔子의 政治哲學歷史禮樂倫理 등의 거의 모든 사상이 옹집되어 있다. 論語속의 모든 내용이 배울 것과 가르침이 아닌 것은 없기에 그 모든 사상들의 기본을 이루고 있는 것은 교육사상이 아닐까 한다.
孔子는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30세에 자립하였으며 40세에 疑惑하지 않았고 50세에 천명을 알았으며 60세에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되었고 70세에는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아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고 한다. 이것은 사람의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孔子는 어릴 때부터 늙을 때까지 항상 끊임없이 배움에 대해 생각하고 실천하였다는 것도 알 수 있다.
孔子는 溫故知新하면 선생이 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말의 의미에서 보면 과거의 문화전반에 대한 깊은 인식과 현대사회의 문화에 대한 예리한 통찰력과 미래를 眺望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역사적으로 東洋圈社會의 역사적 발달에 가장 관계가 깊은 유교사상의 원조인 孔子의 교육사상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특히 현대의 상황은 도덕의 권위가 많이 떨어지고 있기에 도덕교육의 창시자인 孔子의 교육사상은 우리에게 새로운 示唆点을 준다.
가정과 사회에서 도덕적 윤리를 실천하며 국사를 도모하는 현실의 모범적 인간상 즉 작게는 士, 크게는 君子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孔子에게 있어서 교육이란 참된 인간성을 개발하는 것에 관계가 있다. 참된 인간성의 교육 목표는 사회 교육이며 孔子의 인격교육의 개념은 여러 점에서 설득력이 있다.
교육이란 무엇보다 사람이 본래부터 가진 사람다운 성품을 회복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孔子의 교육사상은 인간 교육의 당위성과 그 후천적인 학습을 통한 변화 가능성의 기대 심리, 孔子 자신의 인격 수양과 저술 작업 및 당대제도의 개선에 이르기까지 모두 옛 것에 근거하면서 이를 더욱 발전시켜 새로운 지식체계를 정립하려는 好古知新의 學究的이념과 학습자의 생득적 학습능력의 정도에 따른 차별화 원리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孔子는 인간의 성품의 동질성을 믿었으며 사람은 습관들이기에 따라서 善人도 되고 惡人도 된다고 하여 교육의 가능성을 믿었다.
孔子는 사람은 부단한 자기수신에 의하여 道德的品性을 陶治 하여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것은 바로 유교의 수기치인의 사상적 源流이다. 이러한 孔子의 사상은 바로 그것이 교육사상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수기치인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聖人과 仁人에 두고 그 구체적인 인간상은 君子에 두었다.
군자교육의 교육과정으로는 <文, 行, 忠, 信>을 중심으로 <克己復禮> <忠恕><愛人>등 道德的 倫理的 行動의 實踐的過程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孔子의 교육사상은 교육자와 학생의 사랑과 信賴에서 교육이 출발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학생 개개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학생의 자발적인 學習意慾을 자극하는 방법들이 동원되었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 및 재능과 장단점에 따라서 현실적 필요성에 따른 교육방법이다.
孔子의 교육방법이나 그 관심은 현대에도 아주 중요한 課題가 되고 있다.
孔子의 교육사상은 우리의 의식속에 있으며 우리의 생활속에서 같이 살아있다. 단지 오랜 역사속에서 잘못 바꿔진 문제점들을 제거 하면서 실수하는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될 것이다.
-參考文獻-
孔子의 生涯와 思想 金學主 明文堂 (1988)
孔子 인간과 신화 H.G. 크릴 지식산업사 (1999)
孔子의 학설 陳大齊 이론과 실천 (1996)
孔子의 교육사상 연구 공석영 한국孔子학회 孔子學 (2001)
孔子의 敎育思想 硏究 신요영
논문집(원광대)1996년 제31집 1호(인문.사회계)
<孔子의 학문관> 이광호(한림대)
韓國東西哲學會 論文集 『東西哲學硏究』 제 20호 (2000)
孔子의 교학사상 장병한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 (2003)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11.2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