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북한의 대학
2. 성인 직업 교육기관
3. 사회교육기관
4. 사회교육
2. 성인 직업 교육기관
3. 사회교육기관
4. 사회교육
본문내용
구, 주체사상의 학습과 과학기술, 문화지식의 보급, 도서열람으로 이른바 전 인민의 인텔리화에 기여하고자 세운 건물이다. 10개의 조선식 기와집으로 60여 칸의 방과 장서가 3000여 만 부라고 기록돼 있고 영화관, 음악실, TV실 등의 시청각실과 6,000여 명이 수용 가능한 강의실, 열람실 등의 교육시설이 있다고 한다. 하루의 이용자 숫자는 약 12,000명이라고 선전하고 있다.
3) 인민문화궁전
1974년에 만들어졌으며 대중오락관의 구실을 하고 있다. 연회장과 소영화관, 사무실이 있고 벽면에는 혁명정신 고취를 위한 벽화나 그림이 장식되어 있다.
4) 각종 혁명사적지와 주체사상 학습실
전국 각지에 설치되어 있는 김일성의 혁명사적지나 전적지, 혁명박물관의 참관과 의무견학이 주민들에게 부과되고 직장인들과 당원들을 상대로 한 사상교육제도가 발달되어 있다.
4. 사회교육
북한의 「사회주의로동법」에 \'8시간 일하고, 8시간 쉬고, 8시간 학습\'해야한다고 규정되어 있듯이, 북한의 모든 주민은 각종 정치학습에 동원된다. 일반주민들은 말할 필요도 없이 내각의 상을 비롯한 중앙의 간부들도 매주 토요일에 오후 학습을 받으며, 1년에 1개월씩 학습을 받도록 되어 있다.
학습의 종류는 강습회, 강연회, 자습회, 작업전에 실시하는 독보회와 조회 등이 있다. 학습자료는 주로 김일성·김정일 노작과 노동신문 등이며, 그밖에 공장이나 마을 단위로 설치된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기도 한다. 정기적인 교육 이외에도 농사를 지으면서 하는 \'밭머리 학습\', 행군 중의 문답식 학습, 훈련을 수행하면서 실시하는 군정학습 등 다양한 학습이 진행된다.
3) 인민문화궁전
1974년에 만들어졌으며 대중오락관의 구실을 하고 있다. 연회장과 소영화관, 사무실이 있고 벽면에는 혁명정신 고취를 위한 벽화나 그림이 장식되어 있다.
4) 각종 혁명사적지와 주체사상 학습실
전국 각지에 설치되어 있는 김일성의 혁명사적지나 전적지, 혁명박물관의 참관과 의무견학이 주민들에게 부과되고 직장인들과 당원들을 상대로 한 사상교육제도가 발달되어 있다.
4. 사회교육
북한의 「사회주의로동법」에 \'8시간 일하고, 8시간 쉬고, 8시간 학습\'해야한다고 규정되어 있듯이, 북한의 모든 주민은 각종 정치학습에 동원된다. 일반주민들은 말할 필요도 없이 내각의 상을 비롯한 중앙의 간부들도 매주 토요일에 오후 학습을 받으며, 1년에 1개월씩 학습을 받도록 되어 있다.
학습의 종류는 강습회, 강연회, 자습회, 작업전에 실시하는 독보회와 조회 등이 있다. 학습자료는 주로 김일성·김정일 노작과 노동신문 등이며, 그밖에 공장이나 마을 단위로 설치된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기도 한다. 정기적인 교육 이외에도 농사를 지으면서 하는 \'밭머리 학습\', 행군 중의 문답식 학습, 훈련을 수행하면서 실시하는 군정학습 등 다양한 학습이 진행된다.
추천자료
남한과 북한의 교원 교육 비교
북한의 국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에 대하여
북한 교육의 목적 교육제도
남한과 북한의 교육과정 비교
남·북한의 교육의 형태와 통일 후 교육 방안
북한의 교육 남한과 북한의 교육 목표 비교
북한의 중,고등학교의 교육
북한의 교육
북한의 교육에 대한 분석 및 고찰
북한의 교육과 한반도 교육의 미래
북한교육제도와 정치
북한이탈 청소년의 교육적 과제(탈북청소년의 교육실태 및 현황,교육부적응원인, 교육지원과 ...
[통일관(남북통일관)][한국 통일관][북한 통일관][고려 통일관]통일관(남북통일관)과 한국의 ...
북한의 특수층 자녀교육의 실태와 북한의 영재교육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