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교육의 형태와 통일 후 교육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한의 교육의 형태와 통일 후 교육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目次

序論-남·북한의 교육을 주제로 정한 이유(1쪽)

本論-북한의 교육 형태(2~3)
1. 북한의 교육정책
2. 고등중학교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3. 북한의 교원양성 과정은?
4. 북한의 특수(영재)교육은 어떻게 하나요?

結論-통일 후 교육의 방안(4~8쪽)
1.통일교육의 필요성
2. 통일교육의 의미
3. 통일교육의 목표
4.통일교육의 지도원칙
가. 객관적인 사실과 정보를 바탕으로 통일문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활동이 강조되어야 한다.
⑴ 북한의 실상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
⑵ 북한 상호간의 긍정적 수용과 올바른 이해
⑶ 능동적이고 현실적인 학습관
나. 개방적고 합리적인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통일 논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라. 균형성의 원칙(Balanced Education)에 입각하여 실행되어야 한다.
마. 다양한 교수·학습 기법을 활용해야 한다.
바. 학습자의 유의미성(Meaningfulness)과 호기심을 존중해야 한다.
사. 협동과 열린 의사소통이 가능한 교수·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5.통일교육의 지도 방향
≪참고 자료≫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수 있을 것이다.
바. 학습자의 유의미성(Meaningfulness)과 호기심을 존중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은 새로 배우는 학습 내용이 자신이 궁금해하는 문제를 해결해 주고 경험을 이해하게 해주고, 그들의 관심사나 가치와도 관련이 되는 것일 때 학습자들은 학습에 더욱 흥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통일교육에서 배워야 할 내용이 학생들의 과거, 현재, 미래의 삶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게 해주어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 즉, 학습자들이 배워야 할 통일교육의 학습 내용이 그들의 실제적인 삶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학습 주제를 더욱 재미있고 흥미롭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지적 발달에 있어서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일상적인 지적 흥미를 중시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통일교육에서도 북한이나 통일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일상적인 질문이나 호기심을 존중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일상적인 질문이나 호기심을 존중해 주는 가운데, 그러한 질문이나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객관적인 사실이나 정조에 접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사. 협동과 열린 의사소통이 가능한 교수·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협동적인 학습은 상호존중에 바탕을 둔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민주 시민적 자질을 기르게 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통일 문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식 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시각을 경험하고 자신이 구성한 지식과 이해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생들은 공감, 역할채택, 책임, 갈등의 합리적인 해결, 비판적, 창조적 문제 해결을 위한 기능과 태도를 익힐 수 있다. 이러한 기능과 태도들은 북한 동포를 배척이나 경계의 대상이 아닌 실질적인 통일의 파트너로서 인식하고, 그들과의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데 매우 필수적인 사회적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통일교육에서 열린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원칙이다. 교사는 통일에 관련된 획일적인 이념이나 사상 혹은 정책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려 해서는 안 되고, 학생들과 열린 의사소통이 가능한 개방적, 탐색적, 민주적인 학습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통일교육의 내용을 학습자들이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자들의 의견을 진지하게 들어야 하며 학습자들간의 토의와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주어야 한다.
5.통일교육의 지도 방향
학교 통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지도 방향이 있다. 첫째, 내용 차원에서는 크게 보아 '북한의 현실과 남한의 비교', '통일 과정의 이해', '통일 상황 전망'과 '통일 사회에의 적응'이 해당된다. 둘째, 통일교육을 통해서 길러야 할 성향의 차원에서는 지식, 가치판단능력 등의 인지적 요소, 그리고, '통일 의지', '통일준비', '통일 이후 대비'와 같은 정의적 태도 및 통일을 실현시키려는 실천 동기 등이 해당된다. 즉, 학교 통일교육은 학생들에게 민족의 통일을 이룩하고, 통일된 민족 국가의 번영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갖추도록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통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통일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가. 통일교육은 민족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나. 통일교육은 자주적 통일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고취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다. 통일교육은 민주주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라. 통일교육은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마. 통일교육은 평화 교육이어야 한다.
바. 통일교육은 국가 안보적 측면을 고려하면서 민족주체성 확립을 강화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사. 통일교육은 국력의 신장을 통한 통일의 역량 강화를 강조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참고 자료
1."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 신효숙 지음 | 교육과학사
2."북한 교육사 (조선교육사영인본)" 김동규 외 지음| 교육과학사
3."북한에서는 어떻게 교육할까" 한만길 지음 | 우리교육
4."북한의 유치원 교육" 박재환 지음 | 양서원
5."학교 통일교육과 북한사회 이해" 최현호 지음 | 공주대학교출판부
6."북한유아교육론" 최민수 지음 | 문음사
7."한국의 교육문화사" 강창동 지음 | 문음사
8."한국의 교육과 사회" 김영화 지음 | 교육과학사
9."한국의 사회변동과 교육" 심성보 외 지음 | 세종출판사 |
참고 사이트
http://www.unikorea.go.kr/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4.24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