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개발과 영재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창의성교육의 필요성

2.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3. 우리는 왜 더 창의적이지 못하는가?

4. 창의성 계발 교수학습 방법

5. 창의성을 자극하는 교사의 역할

6. 창의성교육을 위한 시사점

본문내용

; 2) 협동학습과 사회적으로 통합하는 접근방법으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3) 지식에 대한 학습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 4) 학생들의 생각을 성급히 판단하지 않는다; 5) 학생들이 유연성 있게 사고하도록 고무한다; 6) 학생들에게 실수에 대한 참을성 있게 기다린다; 7) 학생들이 자기 평가를 하도록 한다; 8) 학생들의 질문을 신중하게 받아들인다; 9)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10) 학생들이 실패와 혼란스러움을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친다; 11) 학생들의 용기를 격려한다.
6. 창의성교육을 위한 시사점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찾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가. 학생들의 호기심과 관심이 잠재적 창의성의 주요 원천들이다.
나. 잠재적 창의성은 내적 동기에 의해서 향상되며, 지나침 외적 보상에 의해서 제약된다.
다. 문제를 찾아서 만드는 것도 교육과정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라. 현재의 교육은 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데 치우치고 있다.
마. 창의적인 성격 특성들을 존중한다.
바. 정보는 얼마나 통합되어 있는가?
사. 교사들이 새로운 생각에 얼마나 열린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
아. 교사들이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는가?
자. 교사들이 좋은 생각과 나쁜 생각을 구별할 수 있는가?
차. 학교에서 학생이 창안한 아이디어를 구현할 방법들이 있는가?
<참고문헌>
김영채(2000).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문병상(2003). 창의성의 심리학적 고찰. 2003 대구광역시교육청 위탁 유치원 교원 창의성 교육 직무연수 교재, pp. 69 - 86.
서혜애(2002).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과 과학적 창의성. 과학교육연구, 26,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13-148.
이강섭·황동주(2003). 일반창의성(도형)과 수학창의성과의 관련 연구:TTCT;Figural A와 MCPSAT;A를 바탕으로. 수학교육, pp. 1-9. 한국수학교육학회.
제르미 레프킨(2002). 소유의 종말. 서울 :
한기순(2003). 창의성개발과 영재교육. 초등 영재교육교사(수학과정) 직무연수. 서교 2003-초등-II-7.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황동주(2002). 창의적 지식 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한국교육개발원 연수교재 PM 2002-2-1. 한국교육개발원.
Callahan, C. M., & Renzulli, J. S. (1997). The effectiveness of a creativity training program in the language arts. The Gifted Child Quarterly, 21. pp. 538-545.
Davis, G., A. & Rimm, S. B. (199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Boston: Allyn and Bacon.
Dillon, J. T. (1982). Problem finding and solv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6, 97-111.
Dillon, J. T. (1988). Levels of problem finding vs problem solving. In: questioning exchange 2(2), 105-115.
Gardner, H. (2000). Fostering Creativity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교원교육 85주년 국제학술심포지음. 이화여자대학교.
Haylock, D. W.(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i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8, pp. 59-74.
Leung, S. S. & Silver, E. A. (1997). The role of task format, mathematics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on the arithmetic problem posing of prospective elementay school teaches. -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9(1), pp. 1-20.
Ramirez, V. E. (2002). Finding the right problem.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3, 18-23.
Reiter-Palmon, R., Mumford, M. D., Boes, J. O., & Runco, M. A. (1997). Problem construction and creativity : The role of ability, cue consistency, and active processing.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0, 9-23.
Romey, W. D. (1970). What is your creativity quoti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70, 3-8.
Runco, M. A., & Chand, I. (1995). Cognition and creativity.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7, 243-267.
Voss, J. F., & Means, M. L. (1989). Towards a model of creativity based upon problem solving in social sciences. - In: Glover, J. A., Ronning, R.R., & Reynolds, C. R. (Eds.),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Plenum Press, p. 399-410.
Yoshihiko. H. (1997). The methods of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ZDM. Vol. 29. Number 3. pp. 86-87.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0.24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