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와 가사(분류.내용.형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려가요(高麗歌謠)
(1) 고려 시대의 시가(詩歌)
(2) 형식
(3) 내용
(4) 분류

2. 가사(歌辭)
(1) 가사의 분류
(2) 장르
(3) 내용 및 유형
(4) 사적전개
(5) 개화가사

본문내용

파괴로 생각된다. 둘째로서두에 산문적인 사설을 삽입한 것이다. 그 예는<지수정가 止水亭歌)>의 서두이다. 이 시기의 작가에서 불 수 있는 특성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로, 전기와는 달리 박인로. 조우인. 정훈(鄭勳). 백수희 등에서 살필 수 있듯이 개인 창작의 작품수가 많아졌다. 둘째로 서지적(書誌的)으로 믿을 만한 승려 작가가 등장하였다. 그 예가 바로 침굉선사(枕肱禪師)이다
4) 제4기
숙종 이후 동학운동까지의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가사가 거의 보편화되며 이로 인하여 전기의 주제 및 소재가 그대로 전승되기도 하지만, 새로운 것들이 많이 등장한다. 먼저 전대의 것을 계승한 것으로는, 남도진(南道振)의<낙은별곡(樂隱別曲)>과 박이화(朴履和)의 <낭호신사(浪湖新詞)>, 조성신(趙星臣)의 <개암가> 등의 강호가사와, 이용(李溶)의 <북정가(北征歌)>, 김인겸(金仁謙)의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이방익(李邦翼)의 <표해가(漂海歌)>등의 기행가사와, 이진유(李眞儒)의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안조환(安肇煥)의 <만언사(萬言詞)>, 김진형(金鎭衡)>의 <북천가(北遷歌)>등의 유배가사와, 이기경(李基慶)의 <심진곡(尋眞曲)> . <낭유사(浪儒詞)>, 권섭(權燮)의 <도통가(道統歌)>, 한석지(韓錫地)의 <길몽가(吉夢歌)>, 배이도(裵爾度)의 <훈가이담(訓家俚談)>, 실명씨의 <우부가(愚夫家)> 등의 교훈가사와, <갑민가(甲民家)> . <향산별곡(鄕山別曲)> . <거창가(巨昌歌)> 등의 현실비판의 가사와, <대명복수가(大明復讐歌)> . <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등의 전란가사 등이 있다.
이 시기에 새로 나타난 주제와 소재로 우선 실용가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작품의 예로 <농가월령> .<농가월령가> 등이 있는데 , 이들은 실학정신과 통하는 것들이다. 다음으로 이 시기에 오면 남녀간의 사랑을 주제로 한 <상사별곡>, <춘면곡>,. <사랑가>, <단장사>, <유산가>, <금루사> 등의 평민가사 및 애정가사가 나타난다. 다음으로 남인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천주교 가사를 들 수 있다. 정약전의 <십계명가>, 이벽의 <천주공경가>, 이가환의 <경세가>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시기 전후에 규방가사가 발생한다. 끝으로 이 시기의 형식적 특징은 사실의 정확한 기록을 위하여 가사가 장형화한 것이다. <일동장유가>, <북천가>, <한양가> 등은 그 한 예들로 3·4천행의 장형이다. 그리고 이 시기의 작가들에서는 그들이 특수한 계층이 아니라 규방층과 서민층이 작가군으로 부상했다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5) 제5기
동학가사가 창작된 때부터 한말까지를 뜻한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듯이, 가사문학에서도 많은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강호가사·기행가사·교훈가사 등이 상당수 창작된다. 즉, 김은후의 <거성가> 권광범이 <농서별곡> 박시현의 <울도선경가> 정현덕의 <봉래별곡> 등의 강호가사와 유영무의 <오륜가>, 김경흠의 <삼재도>. <불효탄>, 이방현부인 홍씨의 <홍씨부인계녀사>등의 교훈가가 등이다. 그러나 이들 가사들도 1910년대 이후에 이르면 몇몇 작품들에서만 나타나는 퇴조의 현상을 보인다. 이런 퇴조와 더불어 커다란 변화가 나타나는데, 바로 동학가사·개화가사·항일의병가사·비판가사·독립투쟁가사·신문명저항가사·신문명찬양가사 등의 출현으로 가사부흥의 시도가 된다. 동학가사는 최제우가 득도과정에서 체험한 것과, 동학을 포교하고, 아울러 그 자제와 부녀 등의 가족과 교도들을 깨우치고 훈계하는 것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용담가>·<안심가>·<교훈가>·<권학가> 등이 있다.
(5) 개화가사
개화기에 제작, 발표된 한국 시가의 한 양식을 개화가사라 한다. 그 내용에는 개항과 함께 한국사회의 한 과제가 된 문명개화와 진보·발전·부국강병의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형태면에서 보면 고전 시가의 한 양식인 가사의 전통을 그대로 잇고 있는 것이다. 즉,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4·4조 또는 3·4조의 자수율에 의거한다. 그리고 그 분량이 상당하여 긴 연형체시가이다. 시기적으로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창가나 신체시보다 앞서 제작, 발표되었다. 따라서, 개화가사는 한국시가사상 최초로 형성된 근대적 양식이다. 다만,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그 선구성 때문에 과도기적인 단면도 강하게 지닌다. 개화가사의 어투는 대게 직설적이다. 이것은 근대시가 정서적인 언어를 써야 한다는 공리에 어긋난다. 개화가사의 또 다른 과도기성은 작자의 비전문성으로도 나타난다.
구체적인 예로 <독립신문>에 실린 개화가사를 보면 <국가>(인천제물포, 전경택),<동심가>(양쥬, 리쥼원), <도당가>(김교익),<독립문가>(안셩, 김석하) 등이다. 이들 보기를 통하여 드러나는 바와 같이 개화가사의 작자는 모두 전문적으로 글을 쓰거나 시가를 제작한 문필인이 아니었다. 뿐만 아니라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다수의 개화가사에는 작자의 서명이 표시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작품이 발표된 지면도 문예란이 아니라 사회면기사와 같은 잡보란이었다. 근대적인 시라면 그 작자는 반드시 자신의 이름을 밝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제작은 필수적으로 양식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한다. 그럼에도 일부 개화가사에는 그런 자취도 잘 검출되지 않는다. 이런 면으로 보면 개화가사의 과도기성이 다시 한번 입증된다. 비전문적이고 개방된 양식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개화가사는 여러 사람에 의하여 아주 많은 숫자의 작품이 생산되었다. 구체적으로 <대한매일신보>에 발표된 것만 보아도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은 6백여편에 달한다. 이것은 같은 개화기의 시가양식으로 창가나 신체시의 숫자가 대개 20∼30수에 그치는 것과 좋은 대조가 된다. 한편, 개화가사 가운데서 활자화된 것은 대개, 그 발표매체가 일간지였다. 따라서, 개화가사 가운데 많은 작품은 시사성을 띤다. 이 유형에 속하는 많은 작품에는 국내외 정세나 당시의 사회사정이 반영되어 있다. 그 가운데는 개교기념·운동회·농사·회의내용을 다룬 것도 있다. 결국 개화가사는 당시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여러일들을 소박한 입장에서 다루고 읊조리는 입장을 취한 셈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0.28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