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 찾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동아시아 연대를 맺기 위한 한류현상 필요성 인식
Ⅱ. 한류의 의미와 원인
1.한류의 의미
2.한류의 원인
Ⅲ. 한류로 인한 문화 교류의 모습
-(방송과 영상 산업을 중심으로)
Ⅳ. 한류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형성
Ⅴ. 한류의 지속성을 위한 방안
1.블록 내 문화간의 호혜적 소통 필요
2.문화 컨텐츠 산업의 개발 필요
3.한국적 이미지의 문화 개발
Ⅵ. 나오면서

본문내용

나 이것들은 가공할 독소를 그 안에 품고 있다.
) 근대성, 아시아적 가치, 세계화 /이환. 문학과 지성사 ,제1판 제1쇄. 1999년 8월 31일, p.226쪽
이 모든 주의 앞에 '이기'라는 말을 붙여보면 그것이 무엇인지는 자명해진다. 국가 이기주의, 집단 이기주의, 가족 이기주의…이제 끝낼 때가 되었다고 말한 것은 공동체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안에 깃들인 어둠의 세력들에 대해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하나의 '지구촌'은 우리 속에 현실로 다가왔지만 세계 도처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들은 아직도 그것이 온전히 뿌리를 내리지 못하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또 하나의 신분이며 피할 수 없는 역사의 소명이다. 우리는 세계를 품안에 안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전통적 공동체를 박차고 나와야 한다. 그렇게 한다고 해서 우리가 대한민국의 국민이 되는 것을 멈추는 것은 아니다. 한국인의 신분을 간직하는 것과 세계인의 신분을 새로 획득하는 것은 모순된 일이 아니다. 이 새로운 정체성으로 우리는 국민적 신분만을 가졌을 때의 편파성과 폐쇄성을 털어 버릴 수 있고 우리의 특수성을 간직한 채 보편성에 봉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이 정녕 공동체를 떠나 살 수 없다면 앞으로는 우리의 안목을 전지구적 차원으로 확대시켜 인류 공동체 즉 삼국을 이야기해야 할 것이다. 이런 때에 한류의 현상은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의 새로운 문화 창조와 연대를 맺기 위한 다시금 없는 찬스를 맞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동아시아 지역 연대가 단순히 지역주의를 조장하는 폐쇄적인 블록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아시아·태평양이 "구미의 구축물로, 구조에 있어 아시아 핵심부의 산물이 아니라 유럽으로부터 뻗어나가는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연장으로 조직되어 나간 소산"이라는 아리프 덜릭(Arif Dirlik)의 지적을 받아 안으면서, 구미중심의 전지구적 자본화가 가져온 동아시아의 자본화에 대항하기 위함이다.
) <논문>한류의 정치학-지역에서 세계읽기- 김태만. p.6
따라서 결론은 이렇다. 한국과 중국, 일본의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한류의 현상을, 문화의 만남과 연대의 마당으로 하자는 것이다. 한류가 비록 문제점도 가지고 있지만 삼국의 대중과의 교류에 있어 큰 역할을 한 것은 틀림없다. 앞으로의 한류를 통한 교류는 좀더 다양한 분야로 넓혀져야 하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문화 교류를 통하여, 한국인과 중국인·한국인과 일본인·중국인과 일본인이 서로 자극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새로운 문화의 창조에 연결해 가는 것일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인 서로의 노래를 부르고, 각국의 문화가 녹아있는 드라마를 보고, 각국의 언어를 배우고, 역사를 배우게 하자. 이러한 다양한 교류를 위해서 한류는 종착점이 아닌 출발점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단계를 끊임없이 밟아나갔을 때 아시아 공동체는 꿈이 아닌 현실이 될 것이다.
◎참고 자료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백서 1997∼1998』, 1997, p.33; 김강녕, "동아시아 도서 영유권 분쟁과 독도문제." STRATEGY 21, 창간호(한국해양전략연구소, 1998). p.161; 김강녕, 『한반도 군사 안보론』(서울: 대왕사, 1999) // p.2
* 근대성, 아시아적 가치, 세계화 /이환. 문학과 지성사 ,제1판 제1쇄. 1999년 8월 31일 // p.9∼10
* 한국인이 본 일본 , 일본인이 본 한국, 김용운, 2000.12 // p.2
* <논문>한류의 정치학-지역에서 세계읽기- 김태만 // p.8
* <논문> 90년대 중국 대중문화의 변화추이, 김미란(광운대학교 연구교수) // p.5
* <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육성 인문사회분야 지원사업, 중간 보고서>
한국과 중국의 방송 산업의 특성 및 교류 현황, 박소라(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 p.5
* <논문>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 중국 내 한국 문화상품 소비가 한국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李準雄 // p.6∼7
*인터넷 자료
http://www2.hankooki.com/university/2002/200110/un20011013190459u0070.htm // p.3∼4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2/12/10/D1163847.html // p.8
http://w3.seoul-gchs.seoul.kr/~sh002078/html/two4.htm // p.9
  • 가격1,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1.0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