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과 벨로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모더니즘 논쟁

Ⅱ 소설속 희생자

Ⅲ 이데올로기적 모더니즘

본문내용

자신도 현대라는 시대정신에 배어있는 지성(intelligence)에 대한 신봉의 결과는 "더욱 인간에게 오욕과 황량함만을 가져다 줄"(brings down more disgrace and dreariness upon human beings) 뿐이다(Herzog, 93)
해롤드 블룸은 "벨로우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보다도 훨씬 더 프로이드 적이다"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그리고 벨로우는 현대소설의 거장 어느 누구와도 짝을 지어 규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한 작가의 위상을 결정하는 문학적 논설은 독자로하여금 고정된 판단의 한 전형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서, 그러한 논설에 매료될 경우 그 작품이 구현하고 있는 미학적인 구현을 놓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데 벨로우가 바로 그러한 작가라는 것이다.
) Harold Bloom, p. 6.
Ⅲ 이데올로기적 모더니즘
멜빈 프리드만(Melvin J. Friedman)은 유태계 미국작가들에게서 모더니즘의 전통을 읽을 수 있으며, "신화적 패로디, 의식의 흐름, 순간 포착의 집중, 도시 배경" 등을 특징으로 들었다.
) Melvin J. Friedman, "The Symbolist Novel: Huysmans to Malraux," Modernism (London: Penguin Books, 1991), p. 458.
그리고 그는 벨로우의 『허조그』(1964)같은 작품이 전형적으로 모더니즘 계열의 소설 중 하나라고 구체적인 예로 제시했다. 본고의 앞에서 분석하였듯이 벨로우의 "미래의 아버지"와 같은 작품 또한 모더니즘의 전범을 그대로 드러내는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벨로우의 모더니즘에 대한 강도 높은 공격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인가?
무엇보다도 벨로우의 모더니즘 작가들에 대한 비난은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벨로우는 모더니스트들이 현대인의 절망적인 상황을 충실하게 대변하고는 있지만, 그에 대한 대안 제시가 분명치 않다는 점에 착안하고 있는 것이다. 벨로우는 평생 동안 유태인이라는 열등감에 시달렸지만 기질적으로 그들의 세기말적 종말론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이미 정설화되어 있는 것이지만 유태인만큼 배척과 적대감에 익숙한 민족은 없었으며, 그들이 가진 오랜 종교적, 철학적 신념들은 일군의 모더니스트들이 빠졌던 허무적 상황을 벗어날 수 있게했다. 이는 전후 유태계 미국작가들이 문단을 주도하는 성가를 올린 것과 무관하지 않다. 물론 벨로우도 이러한 낙관적 시각으로 세계를 보고 있었던 것이다. 벨로우는 초기작부터 최신작에 이르기까지 미국 자본주의사회의 병폐와 문명의 폐해를 예리하게 간파하면서, 또 그 사실에 절망하면서도 끝까지 인간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다. 앞서 언급했던 퓬스의 벨로우에 대한 분석도 벨로우가 모더니즘의 이데올로기를 배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한다.
또한 벨로우의 반세기에 걸친 문학적 성취 전반에 대한 개괄도 벨로우의 소설 기법에 대한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유용하다. 글로리아 크로닌(Gloria L. Cronin)과 골드만(L.H. Goldman)의 공동작업은 1940년대부터 논의되기 시작하여 80년대 후반에 이르는 벨로우 비평의 개관을 보여주는 본보기이다. 그 작업에서 그들은 벨로우 비평의 최초의 주 물결(the first major wave)인 제1기를 1970년대 중반으로 잡고, 주제와 관련된 낙관적 휴머니즘을 특징으로 보았다.
) Gloria L. Cronin and L.H. Goldman, eds., Saul Bellow in the 1980s (East Lansing: Michigan Univ. Press, 1989), pp.1-2 참조.
제2기는 1970년대 후반부에 집중되어 있으나 제 1기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제 3기는 벨로우 비평에 새로운 지평을 여는 시기로서 1980년대에 집중되어 있다고 말한다. 사실 이 때의 비평들은 이전과는 다른 다양한 비평을 개진하는 것으로서 여성주의적 입장의 평론, 벨로우 철학의 근원지로 보는 유태주의(Judaism)에 입각한 평론, 모더니즘의 입장에서 본 비평, 구조주의적 분석 등 이전과는 다른 논쟁을 불러일으킬 만한 비평들이 대거 등장한다.
이들의 개괄적인 논의에서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벨로우는 어떤 특정한 사조에 속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작가라는 사실이다. 그는 자신을 둘러싼 시대적 영향권 안에서 필요한 부분을 적절하게 활용한 작가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이 그를 여타의 작가들의 범주에 단순하게 묶어서 분류할 수 없는 작가로 만드는 것이다. 어떤 점에서 모더니즘에 대한 강력한 저항이 그를 거장(virtuoso)으로 만들었다. 1960년대 초에 바쓰(John Barth), 핀천(Thomas Pynchon), 헬라(Joseph Heller)등이 소위 포스트모던적인 소설의 주제와 형식을 만들어 내기 위해 골몰해 있을 때(이때 벨로우는 『허조그』를 집필하고 있었다고 한다) 조차도, 주류의 바깥에 서서 그들의 문학적 의도와 성취에 대해서 전혀 동조하지 않았던 뒤처진 작가였다.
) Peter Hyland, Modern Novelist: Saul Bellow (NY: St. Martin's Press, 1984), p. 131 참조.
오히려 벨로우는 그에게 모더니스트인가? 리얼리스트인가?, 아니면 포스트모더니스트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기에 앞서,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에 대한 탈출구를 다각도로 모색한 작가라는 측면에 더 큰 비중이 두어져야할 것 같다.
벨로우에게 있어서 소설을 쓴다는 것은 인간에게 상실한 도덕성을 재인식시키는 일이었고, 등을 돌린 종교를 향해 다시 눈을 돌리는 일이며, 그리고 그는 무엇보다도 절망적 상황 속에 처해 있는 현대 도시인들에게 희망과 공존에 이르는 길을 보여주고 싶었던 열망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를 위해서 그는 적극적으로 모더니즘을 거부하면서도 전형적인 모더니즘 작가일 수 있었고, 드라이저를 깊이 사고하지 않는 작가라고 비판하면서도 보편성과, 사실성을 전달하는 데 있어서는 뛰어난 방법이라고 믿었던 리얼리즘 작가이기를 희망했던 것이다.
  • 가격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1.1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4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