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의 역사서술의 특징 - 중세사학에서의 근대사학으로의 이양양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개화기 역사서술의 시대적 ․ 사상적 배경
-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역사인식의 변화

3. 개화기의 역사서술 (근대사학으로의 과도기)

4. 결론

본문내용

신채호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역사인식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4. 결론
개항 후 개화사상가로부터 근대적 역사인식의 단초가 마련되기는 하지만, 그것 자체로서 근대사학이라고 불리울 만한 역사서가 나온 것은 아니었다. 확실히 사회진화론은 근대사학을 성립시키는 전제를 마련해주기는 하였지만, 우리나라에서 근대 역사학이 성립되는 것은 사회진화론을 뛰어넘는 '민족의식'이 성립하였을 때에서야 비로소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 민족주의 사학이 성립하기까지는 중세사학적 특성을 극복하려는 수많은 노력이 있었던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본 발제문은 바로 그러한 노력들, 즉 중세사학에서 근대사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중세사학을 극복하며 근대사학을 지향하고 있었던 개혁기의 역사서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따라서 이들의 역사서술은 그 자체로 근대사학이라고 불리울 수는 없다. 그러나 근대적인 서술방식이 시도되고, 역사의 주체가 지배자에서 피지배자로 확장되며 그 일환으로서 민족이 강조되기 시작하는 것, 그리고 중세적인 중화사상에서 탈피하여 한국사의 독자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일관되게 관철되고 있었던 것, 또 인과관계에 의한 발전론적인 역사인식이 시작된 점 등은 이 시기 역사서술이 근대사학으로 한 발짝 다가서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었다는 점에서 반드시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한 '변화'가 계속되고 그 속에서 질적인 발전을 이룩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근대사학이 탄생하게 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의 근대사학은, 비록 미흡하고 많은 한계를 내포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개혁기의 과도적 역사서술의 단계를 거친 이후에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비록 식민사학의 영향과 정신사관적 경향으로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는 개혁기의 역사서술이 그 사학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조동걸, 「근대초기의 역사인식」,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하, 창작과 비평사, 1994
최기영, 「안종화」,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하, 창작과 비평사, 1994
주진오, 「김택영·현채」,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하, 창작과 비평사, 1994
김도형, 「정교·장지연·유근」,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하, 창작과 비평사, 1994
金泰永, 「開化思想家 및 愛國啓蒙思想家의 史觀」, 『韓國의 歷史認識』下, 창작과 비평사, 1976
金容燮, 「우리나라 近代 歷史學의 成立」, 『韓國의 歷史認識』下, 창작과 비평사, 1976
조광, 「개항기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 『한국사 23 - 한국사의 이론과 방법』, 한길사, 1994
정창렬, 「근대국민국가 인식과 내셔널리즘의 성립과정」, 『한국사 11 - 근대민족의 형성』, 한길사, 1994
李賢惠, 「韓國史硏究상에 나타난 進化論的 視角」, 『現代 韓國史學과 史觀』, 일조각, 1997
한영우, 『역사학의 역사』, 지식산업사, 2002
李萬烈, 『韓國近代 歷史學의 理解』, 문학과 지성사, 1981
鄭昌烈, 「韓末의 歷史認識」, 『韓國史學史의 硏究』, 을유문화사, 1985
박인호, 『한국사학사대요』, 이회, 2001
趙東杰, 『現代韓國史學史』, 나남출판, 1998
申瀅植, 『韓國史學史』, 삼영사, 1999
朴杰淳, 『韓國近代史學史硏究』, 국학자료원, 1998
金哲埈, 『韓國史學史硏究』, 서울대출판부, 1990
최기영, 『한국 근대 계몽사상 연구』, 일조각, 2003
金容燮, 「日本·韓國에 있어서의 韓國史敍述」, 『역사학보』,역사학회, 1966
金麗 , 「開化期 國史敎科書를 통해 본 歷史認識(Ⅰ)」, 『사학지』, 단국사학회, 1980
金麗 , 「開化期 國史敎科書를 통해 본 歷史認識(Ⅱ)」, 『사학지』, 단국사학회, 1982
金興洙, 「韓末의 國史敎科書 編纂」, 『역사교육』33, 역사교육연구회, 1983
金度亨, 「大韓帝國期의 變法論의 전개와 歷史敍述」, 『동방학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0
李萬烈, 「民族主義史學의 韓國史 認識」, 『韓國史論』6, 국사편찬위원회, 1979
鄭昌烈, 「愛國啓蒙思想의 歷史意識」, 『국사관논총』15, 국사편찬위원회, 1990
조동걸, 「韓末史書와 그의 啓蒙主義的 虛實」, 『한국 민족주의의 성립과 독립운동사』, 지식산업사, 1989
韓永愚, 「開化期 安鍾和의 歷史敍述」, 『한국문화』8,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87
金度亨, 「張志淵의 變法論과 그 변화」,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2000
李薰玉, 「韓末 張志淵의 歷史認識」, 『한국민족운동사연구』3, 지식산업사, 1989
-관련 논문 및 저서-
이용식, 「김택영의 <신고려사>에 대한 일 고찰」, 『계명사학』, 계명사학회, 2000
崔惠珠, 「滄江 金澤榮 硏究」,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1981
오윤희, 『창강 김택영 연구』, 국학자료원, 1996
金瑛河, 「丹齋 申采浩의 新羅三國統一論 - 滄江 金澤榮의 서술 논리와 비교하면서」, 『민족문화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3
전세영, 「현채의 교육 및 애국계몽활동에 대한 정치사상적 평가」, 『한국정치학회보』, 한국정치학회, 1999
盧秀子, 「白堂玄采硏究」, 『이대사원』,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1969
田中隆二, 「백당 현채의 생애와 사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9
이동섭, 「현채의 애국계몽사학에 관한 일연구」『인하사학』4, 1996
이시영, 「정교의 대동역사 연구」, 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98
千寬宇, 「張志淵과 그 思想」, 『백산학보』3, 백산학회, 1967
具滋赫, 「張志淵의 歷史意識과 敎育論」, 『역사교육』27, 역사교육연구회, 1980
우남숙, 「愛國啓蒙運動期의 社會進化論硏究 - 장지연·박은식을 중심으로」, 『역사와 사회』, 국제문화학회, 1992
우남숙, 「한국 근대사에서의 사회진화론 수용 양식 - 장지연·박은식·신채호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1999
愼鏞廈, 「19세기말 張志淵의 茶山 丁若鏞의 발굴」, 『한국학보』, 일지사, 2003
吳瑛燮, 「19세기 중엽 衛正斥邪派의 歷史敍述」, 『한국학보』, 일지사, 1990
임현수, 「한말 개화기 역사서술의 시간성」, 『종교문화비평』,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02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