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뱅크에 대하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푸드뱅크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Ⅱ. 본론 2
1. 푸드뱅크의 개념 2
⑴ 정의 2
⑵ 목적 2
⑶ 배경 및 경과 2
2. 운영 체계 4
⑴ 사업수행자(푸드뱅크) 4
⑵ 이용대상자 6
⑶ 기탁자 6
⑷운영원칙 7
⑸푸드뱅크 1377 8
⑹DB시스템 9
3. 현황 10
⑴ 푸드뱅크 운영현황 10
⑵ 운영 주체 11
⑶ 기탁실적 11
⑷ 활용실적 현황 11
⑸푸드뱅크 지원 현황 11
4. 외국의 푸드뱅크 운영체계 12
⑴ 미국 13
⑵ 캐나다 13
⑶ 유럽연합 14
⑷ 프랑스 15
⑸ 독일 15
⑹ 호주 16
⑺ 기타국 16
5. 문제점과 해결방안 16
⑴ 문제점 16
⑵ 한국형 푸드뱅크의 정착화 방안 18
6. 자원봉사자 활용 20
⑴자원봉사 활용 현황 20
⑵자원봉사 활용증진방안 20
⑶ 연계 가능한 자원봉사 관련 체계 21
7. 사회복지사의 역할 22
8. 지역복지로서의 푸드뱅크 22
Ⅲ. 결론 25
Ⅳ. 참고문헌 27

본문내용

씬 더 많다는 사실이다.
우리 실정에서 푸드뱅크를 한다는 것 자체가 수많은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어려운 일이다. 특별히 지역현장에서 우리 실정에 맞는 적합한 모델을 세우는 일이야말로 한국형 푸드뱅크를 세우는 일의 축소판이라 할만큼 어렵고 지난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거기에는 교통과 물류, 인구의 도심 집중 실태, 밀집형 주거문화, 유교적 체면문화, 취약한 기부·봉사문화, 4계절 조리음식 문화, 비싼 임대료 등 복잡다단한 문제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 문제를 풀어감에 있어 정부와 민간의 협력은 필수적이겠지만 분명한 것은 그 주체가 '지역'이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Ⅲ. 결론
식의 해결은 사람이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조건이다. 따라서 저소득층의 식사해결은 국가가 우선적으로 책임을 지고 지원해야 할 과제이며,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는 우리 사회가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
여지껏 취약계층에게 필요한 음식을 제공하는 일은 가족, 이웃, 종교기관, 자선단체 등 일부 민간단체가 주축이 되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사회복지에 대한 정부의 책임이 일정 부분 강조되면서 정부와 민간이 함께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복지제도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새로운 식품제공 복지제도가 바로 푸드뱅크이다.
이런 시대적 필요성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푸드뱅크는 1998년 처음 도입되어 5년이라는 일천한 활동기간을 갖게 되었지만 그 동안 전국에 249개의 푸드뱅크가 설치, 운영되는 괄목할 만한 양적 발전을 거듭하였고, 또한 거택노인, 결식아동과 같은 사회 취약계층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그 동안 활성화되지 못하였던 지역사회 내 식품자원의 수집 및 배분이라는 새로운 복지제도로 자리매김하는 질적 발전도 이루어내고 있다.
이러한 발전을 바탕으로 이제 푸드뱅크 사업은 단순한 응급구호적인 성격을 넘어서 새로운 차원으로 확대 발전하여야 한다. 즉, 외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푸드뱅크 사업도 사회적 연대의 구축이라는 목표와 함께 취약계층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푸드뱅크사업의 활성화를 통해 사회취약계층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각 이용자층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새로운 푸드뱅크 사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푸드뱅크에서 배분하는 식품이 수혜자의 연령이나 건강상태에 따라 적절한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는 음식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용자들의 음식 선호의 자유를 인정하여 푸드뱅크 입장에서 기탁받은 식품을 배분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것으로 이런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탁품의 양 및 종류를 확대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 취약계층이라 할 수 있는 거택노인과 결식아동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이들이 일일 3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나아가 대상자별 영양상태를 고려한 적절한 식사제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공급해야 한다.
우선 거택노인의 경우 푸드뱅크서비스 지원이 필요한 거택노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는 모든 노인들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노인들의 건강상태, 일상생활 동작능력, 가족구성, 식사준비자 및 주식.부식.간식별 선호하는 식품을 그들이 원하는 방법으로 제공할 때 더욱더 큰 효과가 발생하리라 여겨진다.
그리고 결식아동의 경우 결식아동에 대한 푸드뱅크의 지원은 거택노인과 마찬가지로 대상별로 차별성이 있어야 할 것이며, 특히 결식지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양관련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고찰해 볼 때 전반적인 식습관 상태 및 식행동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기 중 급식을 할 때에는 점심식사를 위주로 부족한 영양소의 급원 식품을 주로 공급해주도록 하며, 또한 주말이나 방학 때에는 결식지원 학생들의 가정을 대상으로 식재료를 주로 제공해 주는 지원 사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푸드뱅크에서 실행하기는 어렵지만 국가차원에서 결식아동에게 생활비보조와 급식비 보조 등의 직접적인 경제적 도움도 수행되었으면 바람직하겠다.
이와 같이 푸드뱅크 사업을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사회취약계층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기탁자, 푸드뱅크 사업자, 이용자 등 푸드뱅크 사업의 3대 축을 형성하고 있는 관련자들의 협조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국민들의 정성어린 관심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Ⅳ. 참고문헌
고자원(2002), 유럽의 푸드뱅크 운영체계, 한국사회복지협의회.
구재옥 外(2001), 지역사회영양학, 교문사.
국립보건원(2001), 푸드뱅크 실무과정, 선택전문교육교재.
김 진(2000), 푸드뱅크 활성화를 위한 정보화 모형 개발, 연세대 보건대학원.
김정근(2000), 푸드뱅크사업 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 대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유서(1999), 한국 푸드뱅크 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대학원.
보건복지부(2001), 유럽의 푸드뱅크 현황.
보건복지부(2001), 푸드뱅크 사업 장기발전계획.
보건복지부(2002), 유럽 푸드뱅크 실무연수 보고서.
보건복지부(2002), 푸드뱅크 사업안내.
보건복지부(2003), 푸드뱅크 사업안내.
보건복지부·전구푸드뱅크연합(1999), 푸드뱅크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특별시 사회복지 협의회(2001), 서울시 푸드뱅크 운영관계자 교육.
양일선 外(2002),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푸드뱅크 사업에 대한 식품 기탁자의 인식 분석.
정기혜 外(1998), 푸드뱅크의 정착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기혜(1999), 푸드뱅크 운영의 국제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기혜(2000), 푸드뱅크 활성화를 위한 관련법 제정 동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기혜(2003), 푸드뱅크 운영체계 및 현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푸드뱅크의 시대적 역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1), 사회취약계층의 건강증진을 위한 푸드뱅크 사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03 푸드뱅크 교육자료:푸드뱅크 운영실무자 교육.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4.07.0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