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자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고려 청자(高麗靑瓷)
1. 청자의 뜻
2. 청자의 발달과 쇠퇴
3. 청자의 종류
4. 청자의 특징

II. 고려 백자(高麗白磁)
1. 고려 백자의 발생
2. 고려 백자의 발전
3. 조선백자로의 이행

III. 그 밖의 종류
1. 철유 자기
2. 흑유 자기
3. 연리 무늬 자기
4. 도칠(塗漆) 자기
5. 잡유(雜釉)

본문내용

무 장식 무늬가 없는 것을 말한다. 그 가운데에는 그릇 안을 청자 유약으로 칠한 것도 있는데 그릇 종류로는 사발, 대접, 기름병 등이 있다.
b. 상감 철유 자기
상감(象嵌) 철유 자기의 수법에는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 이외의 부분을 파내고 백토로 메우는 수법이고(양각, 陽角), 다른 하나는 무늬 자체를 음각하고 백토로 메우는 수법이다(음각, 陰角).
무늬 이외의 부분에 백토를 메우는 수법은 소위 역상감의 수법이고, 철유의 경우 어느 것이나 바탕의 암갈색과 상감된 백색이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종류로는 철유 상감 당초무늬 병, 철유 백상감 연화모란무늬 병 등이 있다.
2. 흑유 자기
그릇 표면에 흑유(黑釉)를 칠해서 구워 낸 그릇이다. 구워 낸 다음의 색조에는 약간 녹색이 도는 흑색과 광택이 없고 연한 회흑색의 두 가지가 있다.
a. 흑유 사발
표면에 무늬가 없으며 유약이 고르지 않아 청자에서와 같은 화사한 맛이 적다.
b. 흑유 백화 당초무늬 매병
전형적인 매병 형식으로 전면에 흑유가 칠해져 있고, 백토를 사용하여 옆으로 계속 연결되는 굵은 줄기의 풀과 꽃을 당초무늬 형식으로 그렸다. 무늬는 활달하고 색조의 조화와 아울러 품위가 있어 보인다.
3. 연리 무늬 자기
a. 연리 무늬 바리
낮은 굽이 달린 아름다운 모양의 그릇으로 겉면은 선명하게 청자 유약을 칠하였고, 구연부에는 무늬 없이 백토로 처리하려 한층 긴장감이 나게 만든 작품이다.
b. 연리 무늬 잔
굽이 작고 위가 벌어진 화사하고 경쾌한 형태를 지녔으며 전체에 나무결 같은 무늬가 나는 그릇이다.
4. 도칠(塗漆) 자기
유약대신 옻칠을 한 자기를 말한다. 나전 칠기 수법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a. 도칠 음각 연화 보상화무늬 항아리
매병(梅甁)형식. 전체가 회색을 띄었고, 어깨와 아랫부분에 형식을 달리하는 연꽃을 음각 하였다. 병의 겉면 전체에 만개한 연꽃과 보상화를 네 곳에 음각 하였는데 유일한 작품이다.
5. 잡유(雜釉)
그 외에 황갈색, 암갈색, 황록색, 회록색의 유약을 칠하여 구운 자기들이 있는데 그 중에는 형태가 정제되었고, 기벽은 얇고 가벼우며 유약은 반점 같은 형태로 나타나 색다른 운치가 나는 그릇도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자기는 정통적인 계통의 자기와는 달리 여러 지방에서 자가류(自家類)로 구워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서로의 양식상 또는 수법상의 연결이 없이 여러 종류의 형태와 유약으로 만들어져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20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9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