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신분제의 변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 후기 신분제의 변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 서론 및 신분구조의 변동의 배경

1. 양반계층의 분화

2. 서얼의 신분상 변화
1) 서얼의 신분계층상의 차별과 변화
2) 서얼의 통청운동

3. 중간 신분층의 향상과 분화
1)중인층의 지위상승과 분화
① 중인의 성장배경
② 중인의 통청운동과 신분변동
2) 향리층의 지위상승과 분화
① 향리층의 분화
② 향리층의 신분 상승운동

4. 서민층의 성장
1)농민의 경제적 성장
2)공장의 경제적 성장
3)상인의 경제적 성장
4)서민의 신분상승운동

5. 노비층의 신분상 변화
1) 노비의 신분상승운동
① 합법적인 신분상승 운동
② 비합법적인 신분상승 운동
③ 노비 신분층의 반항
2) 내시노비의 혁파

6. 결론

본문내용

) → 부유한 노비들은 자기 대신 다른 노비를 매입하여 충당하고 자신은 면천하기도 하였는데 이를 '대구속신'이라 한다. 대구속신의 제도는 신분제도가 동요하는 가운데 국가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노비를 확보하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졌다.
② 비합법적인 신분상승 운동
* 도망 → 노비는 도망하여 유민들이 새로 거주하는 곳에서 호적에 새로 등재할 때 신분을 숨김으로써 쉽게 소속관사나 상전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즉, 도망하여서 신분을 모칭한 것이다. 노비들은 섬이나 서북지방의 변방, 국가에서 국방상의 요충지에 인구의 유입을 늘리기 위해 추노
조선시대에 주인과 따로 거주하면서 독립생계를 꾸려나가던 외거노비에게 그 주인이 몸값을 징수하던 일.
를 금지한 곳으로 도망가고, 추쇄
도망친 노비 등을 모조리 찾아내어 본고장으로 돌려보내던 일.
가 곤란한 깊은 산 속이나 중이 되는 자도 있었다. 노비들은 새로운 정착지에서 고용노동으로 자신의 노동력을 팔거나, 장시에서 상업에 종사하며 생계를 유지해 나갔다.
* 신분모칭 → 노비들은 도망하거나 유리하여 신분을 감추고 양인신분을 모칭하였다. 도망노비들은 남의 족보에 모록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것처럼 기록
하여 신분을 속이기도 했으며, 감영
조선 시대에, 각 도(道)의 감사가 직무를 보던 관아.
에 성(姓)을 갖추어 양인을 칭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또는「奴良妻所生從母從良法
조선 후기, 양역을 담당할 인구의 부족을 해소하고자 국가에서 노비의 신분을 제도적으로 양인화하기 위해 시행한 시책이다. 이는 기존 從母法의 규정 중 노와 양녀가 혼인하여 낳은 소생을 어머니의 신분을 따라 양인신분으로 하여 양역을 지울 목적으로 실시된 것이다.
」이 실시된 이후에 출생한 것처럼 속이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이들 도망노비의 후손들은 양인을 모칭하는데 그치지 않고 유학이나 종반, 훈족 등 양반의 후예임을 모칭하는 자들도 적지 않았다.
③ 노비 신분층의 반항
노비 신분층은 그들의 상전이나 지배층에 항거하여 신분상승을 도모하였는데, 단순히 신공납부의 기피나 도망에 그치지 않고 상전이나 상전의 가족을 살해하는 일까지도 흔히 일어나고 있었다. 또는 도망하여 도적의 무리에 가담하거나 반란에 가담하여 지배체제에 적극적으로 항거하는 자들도 있었다.
2) 내시노비의 혁파
노비신분층의 동요는 정조대 이후에 더욱 심화되어 갔고 노비의 감축이 극심해지기에 이르렀다. 이는 신역(몸으로 치르는 노역)의 과중보다는 노비들의 자각이 촉진되어 노비라는 신분 자체를 싫어하여 노비신분에서 벗어나려 한데 그 이유가 있었다. 노비가 급격히 감소할수록 비총법
도내의 노비수를 일정하게 고정시키고 각 고을의 노비출생자의 다과에 따라 노비의 수를 조정하되 도내 전체의 신공을 내야 할 노비수에는 변동이 없도록 하는것
에 의해 남아있는 노비들의 고통은 계속 증가되어 갔다. 가난한 노비들이 자신의 신포도 마련하지 못한 상황에서 다른 노비의 몫까지 부담이 지워지자 결국 이들도 유리하여 노비는 날로 감축되어 갔다. 이런 현상이 점차 확대되자 노비신공으로 재정을 이끌어가던 관서에서는 재정부족이 심각한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노비의 도망이나 사망은 날로 늘어가나 출생은 전혀 보고되지 않아 신공의 수납량이 해마다 줄었던 것이다.
결국 정조 후반에 이르러서는 노비제페지론까지 대두하게 되었다. 양역과 노비신공이 모두 1필이었기 때문에 이들을 구태여 노비라는 명칭으로 묶어둘 필요성이 없었으며, 차라리 노비를 양인으로 풀어줌으로써 도망을 방지하고 국가의 재정부족을 해결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노론의 '내시노비혁파론'과 남인의 '내시노비혁파 반대론'이 팽팽히 맞서는 가운데, 정조가 죽고 노론 벽파 일색으로 정부가 구성되자 순조 원년에 곧바로 내시노비를 혁파하여 이들의 신분을 양인으로 상승시켰다. 한편 내시노비를 제외한 역노비와 지방의 기관에 소속되어 있던 노비는 공노비혁파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들은 신분적으로 예속되어 신공만을 납부하던 내시노비와 달리 입역으로 그들의 임무를 이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8세기에 들어와 공노비에 대한 여러 시책이 사노비에게까지 적용되었기 때문에 노비의 감소가 격증한 것은 사노비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내시노비혁파는 노비제 자체의 폐지를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울산지역 신분별 인구 구성비
<정석종 [조선후기 사회변동연구] 일조각 1983>
연대
양반호
상민호
노비호
총호수
영조5년(1729)
168호(26.3%)
382호(59.8%)
89호(13.9%)
639호(100%)
영조41(1765)
225호(41.0%)
313호(57.0%)
11호(2.0%)
549호(100%)
순조4년(1804)
347호(53.5%)
296호(45.6%)
6호(0.9%)
649호(100%)
고종4년(1867)
349호(65.4)
181호(34%)
3호(0.6%)
533호(100%)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17~18세기 조선 후기 사회는 봉건 사회가 와해되면서 그에 따라 향촌사회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고 특히 신분제가 흔들리기 시작하였는데 권력을 장악한 일부 양반을 제외한 다수의 양반들이 몰락하고 자연스레 합법적, 불 합법적인 신분상승으로 인한 양반수가 증가하기도 하였다. 양반에 비해서 차별을 받고 있었던 서얼과 중인 신분계층 역시 소통운동과 통청운동을 펼치면서 양반사회의 신분 질서를 붕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노비 역시도 도망, 군공, 곡식을 바치는 행위 등을 통하여 노비신분에서 벗어 나려했고 어쩌면 국가 역시도 당시 상황을 고려해 군역 대상자와 재정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 노비를 단계적으로 해방시켜주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순조 1년(1801)년 일부 공노비를 제외한 66000여명의 공노비를 양인으로 해방시켜 주었고 그 나머지는 1894년 갑오경장때 해방됨으로서 우리나라 노비제의 역사는 종말을 맞게 되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34권(탐구당, 1995년)
한국사 신동근 ,중문출판사 1994
한국사의 새로운 이해 신형식,이배용 이화여대 1997
뿌리깊은 한국사 김종수 2002 솔 출판사
한국사 8 한길사 김태영외 6인 1995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8.15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