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가사의 표현, 미의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표현상의 특징
1)해학성
2)사실성
3)반복성

3. 맺음말

본문내용

늙은이에게 시집가 사는 불우한 처지를 읊은 작품이다. '이상적인 것'은 젊은 남편을 만나 아기자기하게 사는 것인데, '현실적인 것'은 백발이 성성하고 징그럽기 그지없는 늙은이와 사는 현실이므로 이상과 현실이 서로 상반되고 '이상적인 것'은 '현실적인 것'에 좌절당하고 말므로 비극미가 표출된다. 그러나 그 표현이 해학적이기 때문에 해학미도 드러나고 있으므로 <원한가>의 미의식은 엄격한 의미에서 비극미와 희극미의 결합공존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노인가>는 노인이 백발이 늘어나 점점 늙어감에 인생의 무상함을 탄식한 작품이다.
부유갓흔 이세상의 초령까흔 우리인생
칠팔십 산다한들 일장춘몽 힝이로다
어와 가련힝샤 물우회 평초로다
우리인생 가련힝다
이몸이 늙어디면 다시졈기 어려웨라
― <노인가>의 일부 ―
늙지 않고 영원히 젊음을 유지하는 것이 이상이지만 백발은 늘어가고 인생은 늙기 마련인 것이 현실이므로 비극미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그 표현이 해학적으로 되어 있어 희극미도 함께 드러나고 있다. 비극미와 희극미의 공존결합으로도 볼 수 있다.
<송녀승가>와 <재송녀승가>는 장안의 한 남자가 여승에게 연정을 느껴 사랑을 호소한 작품이다. 여승과 사랑을 하고 싶은 욕망이 상대가 여승이라는 현실적 장벽 앞에 좌절되므로 비극미가 나타나고 있다. 이 가사도 인간의 기본 욕구를 숨김없이 펴는 면에서는 우아미도 나타나므로 비극미와 우아미의 공존이라고 볼 수도 있다.
3) 희 극 미
희극미는 '현실적인 것'과 '이상적인 것'이 갈등을 이루면서 '이상적인 것'을 부정하고 '현실적인 것'을 긍정할 때 표출된다. 즉, '현실적인 것'이 '이상적인 것'보다 열세한 상황에서 전자를 추구할 때 나타나는 미이다. 여기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용부가> <우부가> <거사가> <오섬가> <십장가> <토끼화상> <곰보타령> <맹꽁이타령> <바위타령> 등이 있다. 희극미가 다른 미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당 수 있다.
<용부가>는 욕망대로 살아가는 뺑덕어미의 비행을 사실적이고 해학적인 방법으로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다. 기존 유교적 관념이 우세한 상황속에서 부인이 지켜야 할 유교적 도덕을 거부하고 본능적 욕구대로 행동하여 기존 이념을 파괴함으로써 희극미를 드러내고 있다.
<우부가>는 개똥이, 꼼생원, 꾕생원 같은 우부의 비행을 사실적이고 해학적으로 읊은 작품이다. 이 작품도 유교적 도덕이 우세한 상황에서 세 우부가 인간의 욕망대로 살아가며 기존 관념인 유교 도덕을 부정하고 파괴하는 데서 희극미가 구현되고 있다.
<거사가>는 산중에서 도를 닦던 거사가 죽은 남편을 이장하고자 명산을 찾아다니던 과부의 아름다운 자태에 현혹되어 파계하고서 목탁과 가사를 버리고 부인과 함께 산 아래로 내려가 속세 생활을 하는 모습을 희극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수도에 전념해야 할 거사가 속세의 유혹에 빠져 파계하는 것은 불교의 계율과 사회의 통념을 부정하고 전락시키는 행위이므로 여기에서 희극미가 나타나게 된다.
<오섬가>는 남편인 까마귀(오)와 두꺼비(섬)가 중국과 우리 나라의 역대의 유명한 사랑과 이별의 애틋한 얘기를 대화체로 읊고 있는 작품이다. 중국의 경우는 전쟁터에 나가는 군병들의 부부간 이별, 초패왕과 우미인의 사랑과 이별, 한태조와 척부인 및 한무제와 이부인의 사별, 왕소군의 원별, 당명황과 양귀비의 사랑과 이별, 안록산과 양귀비의 사랑 등이 그려져 있고, 우리 나라의 경우는 이도령과 춘향, 배비장과 애랑의 사랑과 이별 및 골생원과 기생 매화의 사랑이 차례로 묘사되어 있으나, 사랑 장면은 물론 이별의 슬픈 장면도 해학적으로 처리되어 희극미를 표출하고 있다. 특히, 이도령과 춘향의 적나라한 성희의 묘사와 배비장과 애랑간의 이별시의 외설 및 골생원의 나신 묘사를 통해 성을 타부시하는 위선적 기존 관념과 정숙을 표방하는 유교적 도덕을 전면 부정하고 완전 전락시키는 데서 희극미가 표출되고 있다.애틋한 이별을 통해 비극미도 드러나지만 희극미에 압도당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서민가사의 미의식은 우아미, 비극미, 희극미 등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데, 작품의 수적인 면에서 볼 때 비극미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과 사대부가사에서는 한 편도 찾아볼 수 없었던 희극미도 대단히 많이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비극미가 표출되는 작품 중에도 상당수에 있어 희극미가 공존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서민가사의 미의식을 대표하는 것은 희극미라 하겠다.
4. 맺 음 말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서민가사의 표현 및 미의식은 양반가사와는 판이하게 달랐다.
서민가사의 표현상의 특징은 해학성, 사실성, 반복성 등인데 다른 서민 문학 장르에 비해 볼 때 이러한 특성이 더 두드러졌다. 해학은 그것이 내용속에 함축되어 있는 경우와 언어 표현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서민가사에서는 후자, 즉 수사적 해학이 승한 편이었다. 그리고 <노인가> 같은 작품은 슬픈 유우머'가, 노처녀가 가만히 모의결혼식을 거행하는 <노처녀가Ⅱ>는 눈물의 해학'을 유발시켰다. 서민가사의 사실성은 경험적 사실을 구체화 하여 개성적인 시를 형성시키고 있으며 가창가사에서는 가창의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실적인 표현의 방법은 대개 의성어, 의태어 및 교묘한 언어 구사였다. 한편, 반복성은 구비전승 문학의 일반적 특성인데 서민가사의 경우는 동일단어가 반복되는 경우와 동일의미가 반복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런 반복은 율격미를 갖추게 하고 내용을 강조하는 구실을 하였다.
서민가사의 미의식은 희극미, 비극미, 우아미 등 3가지인데 대표적인 미의식은 희극미였다. 작품의 수적인 면에서 볼 때에는 비극미가 많았지마는 사대부 가사에 한 편도 찾아 볼 수 없는 희극미가 서민가사에 많을 뿐만 아니라 비극미가 표출되는 작품에도 희극미가 공존형태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통하여 역시 희극미는 서민가사를 대변하는 미의식임을 밝혔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서민가사가 사대부가사와는 뚜렷이 대조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서민가사를 사대부가사와 함께 가사의 하위갈래의 하나로 설정해야 할 당위성을 명확히 확인할수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09.1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