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병전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병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기의병

2. 의병의 재봉기(중기의병)

3. 독립군으로의 전환(후기의병)

본문내용

에 발각되고 말았다. 경상도지역에서는 민단조합(民團組合)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回復團)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 등이 결성되었다. 그리고 의병장 강기동은 연해주로 이동하려다가 원산에서 체포되었다. 이로써 국내에서의 의병활동은 거의 종식되었고, 국외로 이동한 의병들은 독립운동으로 전환하였다.
Ⅴ. 의병전쟁의 결산과 의의
의병전쟁을 단계적으로 보면 전기중기후기전환기 의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단계 마다 주객관적 상황은 달랐다. 전기의병은 위정척사사상에 의한 유생과 동학혁명적 전통에 의한 농민이 합세하여 일으킨 의병이었다. 양자에는 이질성이 있었으나 현실적인 이해와 대적관계가 같았으므로 합류할 수 있었다. 중기의병은 한일의정서와 외교권을 박탈해 가는 을사조약에 항거하여 봉기한 민족적 항쟁이었다. 처음에 광무농민운동의 활빈당 등이 의병으로 전환해간 데에서 출발하였으나 전기의병적 유림의병의 전통도 있었다. 또 그때는 계몽운동도 이미 성숙해 갔던 때였으므로 지도층이 봉건적 한계에만 머물러 있지는 않았다. 유림의 고장인 안동지방에서 신돌석의 의병 등 서민의병이 크게 부각되는 것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의병전쟁은 민족사회의 저변으로 확대되어 갔다. 그리하여 후기의병으로 발전했던 것이다.
후기의병은 보다 대중적 의병운동으로 발전한 것이다. 군대해산과 더불어 의병의 조직도 한결 전투부대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고 전술도 향상되었다. 그리고 후기의병은 해산군인과 더불어 농민광부산포수소상인 등 서민의병의 조직에 의해서 크게 발달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국민전쟁의 수준으로 발전해 갔다. 양반의병도 의병으로 계속 하는 한 양반적 생리에서 탈피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1908년경이 되면 민중 속에 근거를 두지 않고는 의병 활동을 계속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심산유곡에서 노숙하면서 기습하며 기습을 받는 작전 속에서 봉건적 양반의 위계를 요구한다면 자연 도태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결국 의병전쟁은 민중운동으로 정착하며 발전해 갔다. 의병전쟁이 민중운동으로 정착하는 가운데 민중의 민족의식이 성장한 것은 의병전쟁의 또 하나의 큰 의의라 하겠는데 민중운동으로 발전하면서 그 내용도 민중의 사회 경제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었다. 의병이 일본 상인과 농장을 습격하는 것도 그 일면이지만 납세 불납운동이나 한국인 친일 부호를 타박하는 것도 그의 단면이라 하겠다.
끝으로 의병전쟁은 곧 독립운동의 기저가 되었다. 후일 독립운동 전개에서 방략(方略)으로 독립전쟁론이 주류에 부상하고, 이념으로 자치론 같은 어떠한 제한 독립설도 부정 받고 완전 절대독립설이 지배적이었던 이유는 의병전쟁 및 의병정신이 그 기저에 있었기 때문이다. 즉 의병전쟁은 일제하 독립운동으로 발전하면서 독립운동의 방략 및 이념 정립에 크게 영향하여 독립전쟁론의 확립을 보게 하는 기초가 되었다.
【참고문헌】
♧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근대사강의』, 한울, 1997.
♧ 조동걸, 『한말 의병전쟁』,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 박성수, 「1907~1910년간의 의병전쟁에 대하여」, 『한국사연구』1, 1968.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04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