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상과 문화 (심리학적 접근)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사상과 문화 (심리학적 접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한국인의 이중적 사상 체계의 심리학적 접근



심리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써, 한국의 윤리 사상의 이중성에 대하여 심리학적인 접근을 해보기로 했다.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을 시작으로 현대 윤리 사상에 정착하기 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현대 사상이 이중으로 나뉘어 버린 것에 대해 심리학적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아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기존의 전통 가치 체계 및 사상과 서구에서 유입된 가치 체계와 사상으로 인해 이중 가치 체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이러한 가치와 사상의 이중성을 갖게 된 근거는 무엇인가?
첫째로, 지배 사상의 공존하게 됨으로써 현재 진행 중인 보편적 인간상의 교육이 서구적 근대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반해, 전통 사상, 즉 유교와 무교의 인간관, 사회관 등이 여전히 지배 사상에 자리함으로써 가치 체계와 한국 사상의 이중성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한국의 급격한 사회 변동에 따른 역사와 제도적인 조건의 변화와 물리적, 경제적 조건의 빠른 변화는 세대차를 유발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가치를 지닌 여러 세대가 함께 존재하는 결과를 낳게 되어 현재의 가치 갈등, 또는 사상의 이중성이 발생하게 된다.
지배 사상의 공존과 빠른 사회 변동이 바람직한 가치로 우리 사회에 받아 들여지면서, 기존 전통 사상과 상반 됨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 서구 사상과 전통 사상이 이중 체계의 수직 구조를 이루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이중 체계의 수직적 구조는 한국 사회의 역사와 더불어 진행된 근대화의 산물이 되었다.
그렇다면, 우리 나라의 전통적 가치 체계와 사상, 그리고 근대의 서구적 가치 체계와 사상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조선조 사회의 지배적 가치는 물론 유교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불교, 도교의 요소들도 내포된 형태를 보인다. 유교,불교,도교를 포함하는 동양적 가치관의 공통된 특성으로는 흔히 자연관과 인간관에서 자연의 정복과 개척보다는 자연에 대한 순응과 조화가 강조되고 있다는 점과 초자연적인 사상이 없는 대신, 도덕력에 대한 인간의 완성이 강조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국 전통 사상은 근대적 서구 사상과는 매우 대조적인 것이다.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우리의 전통 사상은 긍정적 측면이 높이 평가되는 반면, 자연에 순응하는 숙명적인 자연관을 가짐으로써 과학적 기술 문명의 뒤떨어지는 부정적 결과도 낳았다.
또한 동양의 전통적 인본주의 사상은 서구의 근대적 인본주의 또는 인간주의가 강조하는 개인의 존엄과 해방의 가치를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우리 나라는 예부터 구속 받고 차별 받는 계층의 개인의 자유를 찾기 위한 자치적 노력이 부족했으며, 그로 인해 서양보다 늦게 계층에 의한 차별이 사라졌다.
한국의 전통 가치와 사상이 갖는 두드러진 특성 중 권위주의적인 가치 지향이 있다. 인간 관계와 사회 윤리는 엄격하고 철저한 상하 위계적인 서열 관계를 기본 원리로 하고 있다. 모든 인간 관계는 위,아래가 엄격한 종적인 지배,피지배의 관계로 규정되어 있었으며, 양반과 상민, 문무, 사농공상 등 모든 직업 및 신분 제도를 엄격한 위계로써 규정하고 조직되어 있었다. 이러한 신분 차이를 숙명적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우리 나라는 신분에 의한 차별을 받아들이고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인 내면적 한으로 승화시킬 뿐 적극적인 자유 쟁탈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권위주의는 오늘날에도 뿌리 깊게 잠재되어 있어 사회 생활 ,가정 생활, 직장 생활 등 많은 부분에서 지적되고 있다.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4.11.3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76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