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모음충돌 회피현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의 모음충돌 회피현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모음충돌 회피 현상의 개념과 특징

Ⅱ.모음충돌 회피 현상에 대하여
1. 실례와 규칙
2. 연구사
3. 과제와 문제점

Ⅲ.결론

본문내용

리고 두 형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감탄사나, 의성에서의 모음충돌은 소리를 정확하게 묘사하려는 의도 때문에 모음충돌 회피가 전연 관여될 수 없는 발음 상황이 된다. 이러한 과제에 대한 연구가 집적되어야만 모음충돌에 관련된 국어 음운 현상의 실상이 확실히 파악될 것이다.
3) 모음충돌은 그것을 회피하려는 언어의 일반적인 성질에 따라 축약과 삽입, 탈락이 일어나는데, 모음 연결에서 나타나는 탈락, 축약, 반모음화 등 비음절화에 대한 제약 조건, 규칙화에 대해서만 집중적인 논의가 이루어졌고, 자음 삽입에 대한 연구는 '유추 작용'(사잎>사흘), '형태소 유지 노력' (불휘+에 불휘예)
) 이숭녕, 1954.
이나, "홀소리 부딪침은 켕김(tension)의 강약에서 오는 리듬을 파괴하는 현상을 재건하려는 노력이 그 회피로 나타난다." (사인교 사린교)
) 허웅, 1985.
등으로 언급되고 있을 뿐이다. 매개 자음 삽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것은 통시적인 통시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말하기도 한다. '쇼아지>송아지', '됴힝>됴잎>죠이>조이>종이'와 같은 예를 제외하고는 자료가 충분치 못하다.)
4) 음운론적 조건으로 설명되기 어려우면서도 모음충돌과 무관하지 않은 이형태 '이/가, 은/는,을/를, 와/과' 등에 대한 논의도 전무하다.
가령, 주격 '-가'가 모음충돌과 연관되고 있음은 16세기 이후의 발달 과정에서 확인될 수 있다(졸고, 1990). 그 외의 것들도 통시적으로는 모음충돌 회피에 의한 결과일 것으로 보여진다. 예를 들어, 향가에 나타나는 주제격은 '隱(은),焉(언)' 만을 보여주고 있다.
君隱父也 (안민가 中) 《삼국유사》
身萬隱 (예경제불가 中) 《균여전》
吾焉 (상수불학가 中) 《균여전》
위의 표기를 보면 삼국유사에서는 '隱', 균여전에서는 '隱, 焉'으로 표기되었다. 이들 예를 보아 '잎/은'은 예상되나 '다/는'은 예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원적으로 이들의 본체는 '잎/은'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김승곤, 1978.
5) 모음충돌을 이루던 음절이 이미 비음절화로 화석화하여 현대국어에 존재하기도 한다. '가야미, 빛얌. 마야미' 등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밟았다.
[이중모음화] > [단모음화] > [비음절화]
가야미~개야미 개야미~개아미 개미
빛얌~빛얌 빛얌~빛암 뱀
마야미~매야미 매야미~매아미 매미
(15~18세기) (19세기) (20세기)
용언에서도 이러한 현상은 마찬가지다. (썰다 ; 써흘다, 써으다, 서을다)
) 이병근, 1978.
이들 예는 통시적 변화 과정을 통해서만 밟혀질 수 있는 것들이다.
이와는 달리 음절분화로 모음충돌을 이루는 경우도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예) 오이 ; 瓜<외, 보이다<뵈다
6) 또한 모음충돌 회피현상을 연구할 때 그 충돌의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어의 음운 현상 연구는 표준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모음충돌의 몇 현상은 그것이 표준어가 될 수 있는지 없는지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모음충돌 회피 단어들은 표준어가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되어라, 뛰어라'가 맞는 표현인데, '되여라, 뛰여라'와 같이 y모음이 첨가된 단어들은 모음충돌을 회피하는 것이지만 올바른 표현은 아니다. '보시오, 보시오' 중 '보시오'가 맞는 표현인 것이다. 예외적으로 '이야기, 얘기'는 둘 다 쓰이기도 한다. 따라서 모음충돌 회피 현상으로 인해 생겨난 단어들이 표준어인지 아닌지, 그리고 표준어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가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7) 모음충돌은 모음과 모음이 만나는 조건에서 이루어진다. 한 단어의 내부나 두 단어 사이에서 각각 별개의 음절에 속하는 두 모음이 충돌하는 현상으로서 이것을 피하려는 모음충돌 회피현상이 있다. 이러한 모음충돌 회피현상은 국어뿐만 아니라 독일어, 프랑스어 등 세계 언어의 보편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과 국어의 모음충돌 현상을 비교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8) 언어는 말을 할 때 들이는 노력을 줄이는 경제성을 추구하려는 성질, 힘을 더 들이기는 하나 발음을 보다 확실하게 하여 정확한 의사 전달을 하려는 성질을 가지는데 이것이 음운변화의 동기가 된다. 규칙중심으로 설명한다면 이들에 대한 기술은 가능하지만 그러한 규칙의 동기가 같은지는 알 수 없다. 즉 모음충돌은 그것을 회피하기 위해 자음이나 y모음을 첨가하기도, 모음을 탈락시키기도 하기 때문에 그 이유가 노력 경제인지 표현효과인지 알 수 가 없다. 이것도 모음충돌 회피현상이 가진 문제점이다.
Ⅲ.결론
이상으로 한 단어의 내부나 두 단어의 사이에서 두 모음이 충돌하는 현상인 모음충돌과 탈락, 축약, 삽입으로 모음충돌을 회피하고 있는 현상을 예를 들어 알아보았다. 또한 지금까지의 모음충돌회피현상에 대한 연구사와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할 문제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모음충돌은 범세계적으로 언어에 나타나는 현상으로써 음성학에서 언어적 규칙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 모음충돌은 노력의 경제성 혹은 표현의 분명성을 추구하는 음운규칙의 하나인 것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규칙과 고찰은 분명 우리 국어를 바로 아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참고 문헌>
-강헌규 「조사를 중심한 Hiatus 회피현상의 고찰」 공주교육대학 『논문집』8집. 1971
-김병욱 「Hiatus와 표면음성제약」한국국어교육연구회 『논문집』23. 1982
-김종규 「중세국어 활용에 나타난 모음 충돌 회피현상에 대하여-석보상절을 중심으로」『관악어문연구』11집. 1896
-김희섭 「히아투스와 미끄럼소리 되기」『우리말연구』1집, 우리말연구회. 1999
-나병곤 「국어 히아투스에 대한 고찰」『국어국문학』2.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61
-성인출 「국어 히아투스 회피거부현상」『한민족어문학』33집. 1998
-유재원 「현대국어의 모음충돌 회피현상에 대하여」『한글』189호. 한글학회. 1985
-이충구 「모음충돌의 기피현상에 대한 연구」공주교대『논문집』19. 1983
-최윤현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동아출판사. 1990
-임혜영 『중세국어 모음충돌 회피현상에 대한 연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키워드

국어,   모음충돌,   회피,   현상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12.2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5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