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신학적인 자연법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의 신학적인 자연법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언

Ⅱ.교부철학자들의 법사상
1.교부철학이란?
2.교부철학자들의 관점에서 보는 법의 분류

Ⅲ.스콜라철학자들의 법사상
1.스콜라철학이란?
2.스콜라철학자들의 관점에서 보는 법

Ⅳ.프란체스코 철학자들의 법사상
1.프란체스코 철학이란?
2.프란체스코 철학자들의 관점에서 보는 법

Ⅴ.중세법철학의 평가
1.교부철학(특히 Augustinus)와 프란체스코 학파
2.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와 스콜라철학

본문내용

그러므로 죄니 불법이니 하는 말은 반도덕성이니 부정이니 하는 내적 요인을 전제한 것이 아니고, 다만 입법자의 의사인 세속법(인정법)에 반한다는 사실만을 뜻한다.
Ⅴ.중세법철학의 평가
유의주의(교부철학)냐 주지주의(스콜라철학)의 문제는 인간의 인식능력, 판단능력을 어디에 두느냐에 근거하고 있다.
유의주의(교부철학)는 자연법은 바로 입법자, 곧 신 그 자체에서 찾지만, 주지주의(스콜라철학)는 영구법의 참여를 그리고 그 방법은 이성의 빛을 통해서라고 보게 된다. 법철학의 관점에서 볼 때 전자의 경우는 유의주의 유명론(명목론)을 만들게 된 반면 , 후자는 오히려 주지주의 실념론을 만들었다고 본다. 이러한 사고는 결국 후대 법철학에 있어서 이념적이 자연법론을 창조하기도 하고, 때로는 법실증주의를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이렇게 우리는 교부철학-스콜라철학-프란체스코 철학의 흐름을 통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르는 사상의 변화와 그 내용을 상세히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예를 든 각 사상의 관계와 후대에 미친 영향을 얘기해 보면 다음과 같다.
1.교부철학(특히 Augustinus)와 프란체스코 학파
교부철학(특히 Augustinus)의 유의주의적 견해는 다소 변화는 있었으나 프란체스코학파로 그 맥을 이어갔으며, 이러한 프란체스코학파의 견해는 둔스 스코투스(Johannes Dums Scotus)와 옥캄(Wilhelm von Ockham)을 거쳐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의주의유명론으로 확립되었다.
이러한 사상은 후대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성의 구속으로부터 의지의 해방이라는 자유사상을 낳게 하였으며, 이의 영향으로 루터(Luther)의 종교개혁, 프로테스탄티즘의 유의주의 윤리관이 확립되었다.(신의설에 따라 절대적인 예정설을 주장함).
둘째. 보댕(Bodin)의 왕권신수설도 나오게 되었다.(왕권은 신의에 의함)
셋째. 정치사상에서는 마키아벨리즘을 수긍하게 하였고, 홉스의 전제군주론을 나오게 하였다.
넷째. 이러한 태도는 신앙과 지식의 분리를 가져왔고 이는 르네상스 운동으로 이어졌으며, 자연법과 이성의 부정으로부터 법실증주의의 발생을 충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2.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와 스콜라철학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로 대표되는 스콜라학파의 견해는 프란체스코 학파의 비판을 받았으나,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의 이론은 벨라미누스(Bellarminus), 수엘즈(Suarez), 그리고 바스쿼(Vasques)에 의하여 다시 지지되게 되었다.
다만 자연법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인간의 자연적 이성의 빛만으로 충분한가에 대해서는 바스쿼(Vasques)는 긍정하였으나, 전자의 두 사람은 부정하였다. 즉, 그들은 인간의 자연적 이성만으로는 불충분하고, 이외에 인간이 본질성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행위가 또 신의 의지에 부합하느냐의 이성적 고찰이 가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들 두 견해 중 바스쿼(Vasques)의 견해는 근세의 그로티우스(Grotius)나 푸펜도르프(Pufendorf)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금껏 우리는 중세의 신학적인 자연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교부철학과 프란체스코 철학은 위에서 보는바와 같이 유의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스콜라철학은 주지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의지가 이성을 명령하는가? 의지는 이성에 근원 하는가?’의 문제는 지금도 우리에게 던져지는 질문으로 유효하다.
-참고문헌-
구모영 법철학강의 1999 육서당
최종고 법철학 1997 삼영사
이을형 법철학강의 1998 大旺社
이태재 法哲學史와 自然法論 1984 法文社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2.21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