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주의 심리학과 교육적 시사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주의 심리학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인간주의 심리학의 기본 원칙
2. 인간주의 이론에서 보는 인간관
3. 인간주의 학습이론
1)Maslow의 自己實現論
2)Rogers의 有意味 學習理論
4. 인간주의에 대한 비판
5. 인간주의 심리학의 교육적 시사점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생의 지적 호기심을 최대한 존중하는 학생 중심의 교육을 해야 한다.
인간적 접근 방법은 상담 분야에 대해서도 많은 시사를 준다. 이 접근 방법은 정신분석이나 행동 수정과는 달리 인간을 환자나 문제아로 취급하지 않는다. 인간이면 누구나 문제를 가질 수 있으며 자신의 문제에 대해서는 자신만큼 뛰어난 전문가가 없다고 본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대화를 통해 그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발견하도록 하고 자신의 주체적 의사결정에 의해 행동을 하고 또 그에 대해 책임지도록 도와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인간주의에서는 내담자 중심 또는 비지시적 상담을 강조한다(장상호, 1988).
오늘날 인간교육이 특히 요구되는 소이는 본질주의(essentialism)로 표방된 3R's의 중심 지력 개발에만 편중하여 온 우리의 반성과 각성에서 태동된다. Comenius는 학교를 '정신의 도살장'이라고 혹평하였는가 하면, Reimer는 '학교는 죽었다.'라고 외치기까지도 했다. 지식일변도로 치달아 온 교육은 이와 같이 인간 자신을 파괴하고 비인간화 특징을 무섭게 드러내어 왔으며, 우리의 교육은 지금도 이러한 테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인간교육의 가장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원리는 이러한 인간성 상실을 극복하고 인간성이 풍부한 자아실현을 개발하는 데 있다. 다시 말하면 인간 개인이 지닌 모든 소질과 가능성을 편협되지 않게 총체적으로 계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도 역시 인간적이기를 요구한다. 훌륭한 인간관계(말하자면 자유와 사랑 같은)를 통하여 풍부한 인간성을 길러 나가는 완전한 인간개발 교육이 바로 인간교육의 중요한 성격의 일면이라 할 수 있다.
【결론】
인간주의 심리학에서는 인간을 독특한 개체로 보고 능동적인 성장가능의 잠재력을 가진 주체로 보는 것이다. 건강한 인간을 대상으로 인간관을 전개하는 이 입장은 인간은 자기 조절적, 자기 선택적, 자기 중심적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강요나 통제를 지양하고 인간 자신의 자발성과 자율성을 더욱 존중하게 된다고 본다.
오늘날 우리의 현실을 감안해 볼 때, 급격한 산업사회로 발전되면서 발생하는 역기능 현상으로 인간성 상실과 비인간화가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적 가치를 교육이념 체계에서 최고 우위에 둠으로써 하루 속히 인간화의 교육으로 변모되어 가야 할 것이다.
인간주의 심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교사는 학생들을 지도 할 때 다음과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다. 먼저, 학생들이 스스로 선택하고 학습을 관리할 수 있도록 허용 ·격려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 학생들에게 따뜻하고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분위기 조성해주어야 하고, 끝으로 학생들에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인간주의 심리학에서 이러한 학습지도가 효과적이라 보는 이유는 인간은 우주와 같은 무한한 가능성의 덩어리로 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여광응 ·전영길 ·정종진 ·조인수 (2001). 교사를 위한 敎育心理學. 서울: 양 서원.
▶여광응 ·조인수 ·문태형 (2001). 교육심리학의 이해. 대구대학교 출판부.
▶여광응 (1991). "인간교육" 영광문화 9호(P.122~131). 대구대학교.
▶윤정륜 (2002). 교사 ·교직 준비생을 위한 학교교육심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송인섭 ·정미경 ·김혜숙 ·신은영 ·최지은 ·박소연 (2000). 교육심리학. 서 울:양서원.
▶이용남 ·강만철 ·김계현 ·박선욱 ·송인섭 ·이신동 ·이재신 ·최진승 (1999). 신교육심리학. 서울:학지사.
▶박아청 (2000).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교육과학사.
▶윤운성(1995). 敎育心理學. 서울:상조사.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3.29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