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언
Ⅱ. 본문
1. 평생교육과 거의 비슷한 개념
1) 성인교육(adult education)
2) 비정규교육(non-formal education)
3)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4) 추가교육(연속교육, further education)
2. 평생교육과 유사하나 약간 다른 개념
1) 순환교육(recurrent education)
2) 지역사회교육(community education)
3) 기타
3. 평생교육과 구별되는 용어들
1) 생애진로교육(career education)
2) 사회교육(social education)
3) 유아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4) 가정교육(home education)
Ⅲ. 결어
※ 참고문헌 ※
Ⅱ. 본문
1. 평생교육과 거의 비슷한 개념
1) 성인교육(adult education)
2) 비정규교육(non-formal education)
3)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4) 추가교육(연속교육, further education)
2. 평생교육과 유사하나 약간 다른 개념
1) 순환교육(recurrent education)
2) 지역사회교육(community education)
3) 기타
3. 평생교육과 구별되는 용어들
1) 생애진로교육(career education)
2) 사회교육(social education)
3) 유아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4) 가정교육(home education)
Ⅲ. 결어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적 역할을 하는 실천지향적 용어이기 때문에 이 두 용어는 구분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3) 유아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은 유아기 어린이의 기본적인 잠재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신체, 언어, 인지, 정서 그리고 사회성 등이 조화롭게 발달되도록 도와주는 전인교육(全人敎育)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산되면서 유아교육을 정규교육에 편입시켜 의무화하려는 추세를 감안할 때는 평생교육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평생교육의 보습적인 역사적 성격을 감안할 때는 정규교육인 유치원에 가지 못한 유아에게 평생교육이 이를 보충해 주는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림영철·림광명.「평생교육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1. pp.33~34.
4) 가정교육(home education)
가정교육은 학교 커리큘럼에서 가르치고 있는 교육과정과는 다르다. 가정교육이라 함은 가정이라는 혈연적 집단 분위기 속에서 인간의 가장 기초적인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교육이라 하여 쓰는 말이다. 따라서 무의도적(無意圖的)이고 무계획적인데도 그 교육적 의미는 대단히 커서 어떤 다른 교육과도 비교할 수가 없을 정도이다. 어떤 학자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표준으로 하여 교육을 가정교육-학교교육-사회교육으로 3분하여 평생교육도 아닌 독립된 교육영역으로 그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이는 교육이 아닌 사회화 현상이라고 해야 하지만 여기에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지도의지는 묵시적인 의도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림영철·림광명.「평생교육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1. pp.34~35.
Ⅲ. 결어
지금까지 평생교육의 유사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요컨대, 평생교육의 유사개념에는 거의 비슥한 용어인 성인교육, 비정규교육과 계속교육, 추가교육이 있고, 평생교육과 유사하긴 하나 약간 다른 순환교육, 지역사회교육, 기초교육 등이 있다. 또한 평생교육과 구별해야할 용어에는 생애진로교육, 사회교육, 유아교육, 가정교육 등이 속한다.
우리나라는 1980년 '국가의 평생교육 진흥'을 선언하는 헌법 조항이 삽입된 이후 20년 동안, 국민생활 각 분야에서 온 국민의 평생학습 요구와 이에 부응하는 평생교육 기관의 활동이 눈부신 발전을 왔다. 이에 다양하고 광대한 평생교육시설과 급증하는 프로그램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1999년 8월에 평생교육법을 제정하고 평생학습체제로 교육제도를 개혁하기에 이르렀다. 정립된 평생교육에 대한 개념과 그 유사개념을 초석으로 하여 평생교육에 대한 개인이나 사회의 요구, 교육과정 및 학습방법, 평생교육 관계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등을 발전시켜 나가 진정한 학습 사회를 구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홍기형 · 이화정 · 변종임(2001),「평생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림영철 · 림광명(2001),「평생교육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김종서 · 황종건 · 김신일 · 한숭희(2000),「평생교육개론」, 교육과학사.
권대봉(2001),「평생교육의 다섯마당」, 서울: 학지사.
3) 유아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은 유아기 어린이의 기본적인 잠재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신체, 언어, 인지, 정서 그리고 사회성 등이 조화롭게 발달되도록 도와주는 전인교육(全人敎育)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산되면서 유아교육을 정규교육에 편입시켜 의무화하려는 추세를 감안할 때는 평생교육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평생교육의 보습적인 역사적 성격을 감안할 때는 정규교육인 유치원에 가지 못한 유아에게 평생교육이 이를 보충해 주는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림영철·림광명.「평생교육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1. pp.33~34.
4) 가정교육(home education)
가정교육은 학교 커리큘럼에서 가르치고 있는 교육과정과는 다르다. 가정교육이라 함은 가정이라는 혈연적 집단 분위기 속에서 인간의 가장 기초적인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교육이라 하여 쓰는 말이다. 따라서 무의도적(無意圖的)이고 무계획적인데도 그 교육적 의미는 대단히 커서 어떤 다른 교육과도 비교할 수가 없을 정도이다. 어떤 학자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표준으로 하여 교육을 가정교육-학교교육-사회교육으로 3분하여 평생교육도 아닌 독립된 교육영역으로 그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이는 교육이 아닌 사회화 현상이라고 해야 하지만 여기에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지도의지는 묵시적인 의도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림영철·림광명.「평생교육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1. pp.34~35.
Ⅲ. 결어
지금까지 평생교육의 유사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요컨대, 평생교육의 유사개념에는 거의 비슥한 용어인 성인교육, 비정규교육과 계속교육, 추가교육이 있고, 평생교육과 유사하긴 하나 약간 다른 순환교육, 지역사회교육, 기초교육 등이 있다. 또한 평생교육과 구별해야할 용어에는 생애진로교육, 사회교육, 유아교육, 가정교육 등이 속한다.
우리나라는 1980년 '국가의 평생교육 진흥'을 선언하는 헌법 조항이 삽입된 이후 20년 동안, 국민생활 각 분야에서 온 국민의 평생학습 요구와 이에 부응하는 평생교육 기관의 활동이 눈부신 발전을 왔다. 이에 다양하고 광대한 평생교육시설과 급증하는 프로그램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1999년 8월에 평생교육법을 제정하고 평생학습체제로 교육제도를 개혁하기에 이르렀다. 정립된 평생교육에 대한 개념과 그 유사개념을 초석으로 하여 평생교육에 대한 개인이나 사회의 요구, 교육과정 및 학습방법, 평생교육 관계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등을 발전시켜 나가 진정한 학습 사회를 구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홍기형 · 이화정 · 변종임(2001),「평생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림영철 · 림광명(2001),「평생교육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김종서 · 황종건 · 김신일 · 한숭희(2000),「평생교육개론」, 교육과학사.
권대봉(2001),「평생교육의 다섯마당」, 서울: 학지사.
추천자료
[미래사회와교육]미래사회의 변화모습을 설명하고 이에 적합한 평생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
평생교육 성립배경 발달과정
평생교육의 이론적 개괄
평생교육이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
평생교육의 이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평생교육체제의 발전방향
[평생학습]학습권 보장을 위한 평생교육 인프라 구축실태 및 방안
평생교육학개론 중간 레포트
인간과교육3공통)현대사회에서평생교육필요성이강조되는이유와피아제의인지발달단계이론설명0k
[인간과교육] (A+)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피아제(Piaget)의 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