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일반 이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 시의 정의
1. 서구에서의 시 정의
2. 동양에서의 시 정의
3. 시의 정의
※ 시의 분류
1. 형식상의 분류
2. 내용상의 분류
※ 시의 언어
1. 시적 언어와 일상적 언어
2. 시적 언어의 특징
※ 지시적 언어와 함축적 언어
※ 시의 운율에 대하여
1. 운율의 개념
2. 운율의 효과
3. 운율의 갈래
4. 운율의 창조방법
※ 시의 이미지에 대하여
1.이미지의 뜻
2.이미지의 기능
3.이미지의 종류
4.이미지의 형성 방법
※ 시의 어조에 대하여
1. 어조의 개념
2. 어조의 종류
※ 시의 기법에 대하여
1. 비유
2. 상징
3. 반어와 역설
※ 시의 주제에 대하여
1. 시에서 주제의 성격
2.주제 파악 방법
3.시의 주제의 재료

본문내용

한다. 직유와 은유, 의인, 대유, 활유 등이 사용된다.
① 직유(直喩)
·꽃처럼 붉은 울음을 밤새 울었다. 서정주,<문둥이>에서
·돌담에 소색이는 햇발같이 / 풀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 김영랑,<돌담에∼>에서
② 은유(隱喩)
·구름은 / 보랏빛 색지 위에 / 마구 칠한 한 다발 장미 김광균, <뎃상 2>에서
·침실이 부활의 동굴임을 네야 알련만 이상화, <나의 침실로>에서
·그칠 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한용운, <님의 침묵>에서
③ 의인(擬人)
·산은 사람들과 친하고 싶어서 / 기슭을 끌고 마을에 들어오다가도 / 사람 사는 꼴이 어수선하면 / 달팽이처럼 대가리를 들고 슬슬 기어서 / 도루 험산 봉우리로 올라간다. 김광섭, <산>에서
④ 활유(活喩)
·어둠은 새를 낳고, 돌을 낳고, 꽃을 낳는다. 박남수, <아침 이미지>에서
2. 상징
상징은 어떤 시어가 그 자체의 의미를 그대로 지니면서도 다른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닐 수 있도록 표현하는 방법이다. 상징은 서로 다른 대상이 결합되면서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즉 어떤 사물이나 관념이 그 자체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다른 사물이나 관념을 대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징은 암시성과 다의성을 본령으로 한다.
① 관습적 상징 : 특정 집단의 공통적 삶의 경험으로부터 형성된 상징. 제도적 상징
예) 십자가 기독교, 비둘기 평화, 칼 무력
② 개인적 상징 : 문학 작품 속에서 작가가 어떤 사물에 추상적 의미를 부여해 놓은 상징. 창조적 상징
예)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 국화 원숙한 삶의 아름다움
③ 원형적 상징 : 인류의 삶의 경험이 축적된 결과 어떤 자연물이 공통적 의미로 파악되었을 때 그것을 일컫는 상징.
예) 물 죽음과 재생, 불 원시적 욕망과 파괴
비유와 상징은 근본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다. 비유는 그 구조가 아무리 복잡한 것일지라도 궁극적으로는 원관념에 해당하는 뜻의 파악이 가능하나, 상징은 원칙적으로 그것이 불가능하다. 이것은 비유가 원관념과 보조관념간에 1:1의 대응 관계를 지니지만 상징은 보조 관념이 여러 가지 원관념으로 쓰일 수 있는 다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즉, 솜이불을 덮고 선 겨울 나무'라는 표현에서 솜이불의 원관념은 '눈[雪]'이 분명하므로 이것은 비유적 표현이다. 하지만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서의 '님'은 연인이나 조국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① 암시적, 다의적이다
② 한 편의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③ 상징 의미가 상징 뒤에 숨어 있다.
① 비교, 유추적이다.
② 한 편의 작품에서 1회적으로 나타난다.
③ 원관념과 보조 관념의 관계가 명확하다.
3. 반어와 역설
1) 반어
표현하려는 마음과 상반된 내용을 진술함으로써 멋과 긴장을 유발하는 방법. 언어적 아이러니·상황적 아이러니 등이 있음.
예) 김소월의 「진달래 꽃」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2) 역설
겉으로는 모순된 표현이지만 그 속에 인생의 깊은 진실을 담고 있는 표현.
예)한용운의 「님의 침묵」 :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시의 주제에 대하여
1. 시에서 주제의 성격
2.주제 파악 방법
3.시의 주제의 재료
1. 시에서 주제의 성격
한 편의 시 속에 형상화된 중심 생각이나 사상(思想), 정서(情緖) 등을 시의 주제라고 한다. 시의 주제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요소는 정서(情緖)이다. 정서는 인간이 어떤 상황 속에서 보여주는 내적 반응, 즉 심적 상태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시의 주제는 시인의 정서적 여과 과정을 거친 '정서적 표현' 속에 담겨져 전달되므로 우리는 시의 문맥 속에서 시적 자아가 어떤 정서적 상태(심적 상태)에 놓여 있는지를 유심히 살핌으로써 시의 주제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현대시에서는 개인을 넘어선 사회 현실의 문제가 시 속에 들어오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반드시 정서적 차원의 여과 과정을 거쳐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주제 파악 방법
시의 주제를 드러내는 방법은 산문에서와 같이 언어의 관습적 의미에 의한 방법과 이미지(심상)에 의해 드러내는 방법, 독특한 어조에 의해 드러내는 방법이 있다. 그러므로 독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시의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인이 제재를 어떤 생각(어떤 정서적 상태)으로 그려 내고 있는지를 생각해야 하며, 언어의 지시적 의미만이 아니라 암시적(함축적) 의미를 함께 고려해야 하고, 작품마다의 독특한 어조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3. 시의 주제의 재료
(1) 감정과 정서
개인의 감정이란 흔히 7정(喜怒哀樂愛惡慾)을 가리킨다. 그러나 시에서 표현되는 감정은 이보다 훨씬 다양하고 섬세하다. 가령 슬픔이라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서글픔, 섭섭함, 안타까움, 눈물겨움 등 정도나 빛깔이 다른 숱한 감정 상태가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인간이 어떤 상황에 부딪혀 일어나는 내적 반응'을 '정서(情緖)'라고 한다. 시에서 주로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는 이런 정서들에 의해 그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2) 사상과 이념
시는 개인의 감정, 즉 구체적이고 주관적인 정서만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사상, 또는 이념과 같은 요소들이 시의 내용에 담겨 주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정서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개인적이다. 갑이 느끼는 슬픔과 을이 느끼는 슬픔은 결코 같을 수 없다. 정서는 또한 비의도적인 것이다. 누구라도 '내 저 놈을 기필코 미워해야겠다.'고 다짐한 후에 누구를 미워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상황에서 그가 미운 짓을 하면 저도 모르게 그가 미워지는 것이다.
반면 사상은 혼자만이 간직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것이다. 즉, 개인적인 생각이 아니라 집단적인 생각이다. 사상은 또한 목적성이 강하다. 사람들은 항상 그런 생각들을 의식하고 있고, 의도적으로 간직하려고 노력하기도 한다.
고대 시가에서는 작품의 사상성이 매우 중요시되었다. 그러나 현대시로 넘어오면서 사상은 작품의 부차적인 요소로 취급되고, 정서가 주된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키워드

,   현대시,   운율,   비유,   상징,   반어,   역설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6.2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