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평준화 정책의 개선 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언

II. 평준화 정책의 평가

III. 평준화 정책의 다면적 개선 방향

IV. 고교 평준화 정책의 개선 방안

V. 고교 평준화 정책 개선의 효과와 전망

VI. 결어

본문내용

분히 살리지 못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본고에서 주장하듯이 평준화 개선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다양한 정책들과 병행하여 학교선택권이 확대된다면 대부분의 학생과 학부모에게 혜택이 골고루 돌아갈 수 있다.
이러한 복잡한 논의에 대하여 단순히 평준화 폐지에 대한 찬반의 양극으로 공론을 몰아가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 우리 교육의 복잡한 현실을 놓고 어떻게 하면 우리 교육의 다양성과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교육의 정상화를 이룰 수 있는 지에 대하여 진지한 토론을 계속 이어가면, 많은 사회집단이 합의할 수 있는 개혁 방안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강태중,「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에 대한 논의의 검토」,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 발표자료, 2002.
강태중성기선,「평준화 정책과 지적 수월성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토」, KEDI 교육정책포럼 발표자료, 2001.
김태일,「고교평준화 정책의 학업 성취효과 분석」, 『한국정책학회』, 제7권 제 3호, 1998.
박정수,「한국 사교육의 확장과 교육기회의 형평」, 『교육재정경제연구』, 1997.
서정화,『중등사학의 설립이념 구현을 위한 학생 선발권 확보』, 교육개혁연구회 발표자료, 2000.
오영수,「학교교육의 성과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한국의 중학교육생산함수 추정」,『경제학연구』제41집 제 2호, 1993.
이주호,「학교정책의 개혁 의제」,『교육행정학연구』, 제19권 제3호, 79-99, 2001.
이주호우천식,「한국교육의 실패와 개혁」,『KDI정책연구』, 제 20권 12호, 1998.
이주호홍성창,「학교 대 과외: 한국교육의 선택과 형평」,『경제학연구』 49집 1호, 2001.
이주호유상덕박정수,「학교교육개혁의 청사진-현장의 자율과 책무 제고를 위한 정책제도의 개혁-」, 교육개혁포럼 주체 심포지엄의 발표자료, 2002.
한국교육개발원,『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개선방안』, 1985.
한국교육개발원,『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제도도입에 관한 공청회』, 2000.
홍후조.『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파라다임 전환』, 교육개혁연구회 발표자료발표자료, 2000.
Chubb, John and Terry Moe. Politics, Markets and Americas Schools, The Brookings Institution, Washington D.C., 1990.
Hoxby, Caroline, "Introduction to Economic Analysis of School Choice," mimeo, 2002.
Kim, Sunwoong and Ju-Ho Lee, "Demand for Education and Developmental State: Private Tutoring in South Korea," KDI School Working Paper,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01.
Ladd, Helen. eds., Holding Schools Accountable: Performance-Based Reform in Education, Washington D. C.: The Brookings Institution, 1996.
McGinn, Noel et al., Education and Development in Korea,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Park, Se-II, "Managing Education Reform: Lessons from the Korean Experience, 1995-97," KDI Policy Study 2000-01, 2000.
Peterson, Paul and David Campbell. eds. Charters and Vouchers and Public Education, The Brookings Institution, Washington D.C. 2001.
World Bank, Priorities And Strategies For Education, 1995.

Reforming Secondary School Equalization Policies in Korea
Ju-Ho Lee** Associate Professor,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This paper emphasizes that Secondary Schools Equalization Policies in Korea should be overhauled through comprehensive reforms including extension of school choices, allowance of school autonomy, disclosure of school information, deregulation of the government control over university admissions, and introduction of special programs targeted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performance. We also provide detailed policy suggestions for Korean government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far-reaching reforms.
We expect that the overhaul of Secondary Schools Equalization Policies would help enhance both efficiency and equity of Korean secondary education. And we anticipate that the reforms, in the long run, could also reduce excessive wasteful competition among Korean students to enter better university as well as their increasing burdens of private tutoring.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08.09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0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