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건강 및 복지증진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Ⅱ. 평생교육의 개념과 이론적 이해
1. 개념
2. 보건과 복지 통합교육의 필요성
3. 이론적 이해

Ⅲ. 연구결과
1. 우리 나라 노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문제점
1) 퇴직 전 평생교육
2) 퇴직 후 평생교육
3) 대학부설 평생교육
4) 기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
2. 외국대학의 노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시사점
1) 미국 대학의 노인 평생교육
2) 프랑스 대학의 노인 평생교육
3) 시사점
3. 노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방향
1) 퇴직 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방향
2) 퇴직 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방향
3) 단기합숙 교육프로그램의 개발방향
4) 퇴직 전·후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방향

Ⅳ. 결 론

본문내용

여 관련 전문가로부터 노년기에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치료예방 및 자가관리에 관련된 강의와 실습 실시. 시설견학, 노인전문 레포츠 시설, 치매전문병원 방문 등
③ 가족화합코스 : 3대 이상의 가족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오락 프로그램 실시, 가족 간의 대화의 시간, 역할극 등
(5) 기대효과
① 노인복지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다.
② 가족관계 회복의 기회가 될 수 있다.
③ 노인들에게 정서적·심리적으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를 갖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신체적 건강도 유지하도록 한다.
④ 공통된 주제를 가진 사람들간에 친교를 유도할 수 있으며 지역의 특성을 이해 할 수 있다.
4) 퇴직 전·후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방향
지금까지 퇴직 전후 교육은 상호 연계성을 가지고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양자가 별개의 교육으로 이루어져 왔다. 노인교육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퇴직 전과 후의 교육을 연계하여 한 개인의 평생생활을 설계하는 거시적이고 사회화 관련된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학에서의 퇴직 전·후 노인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연계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퇴직 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퇴직 후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계속 교육을 할 수 있는 인센티브(incentive)를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퇴직 전 교육과 퇴직 후 교육의 페키지(package)를 고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퇴직 전 교육을 받을 사람에 대해서는 그들이 퇴직 후 교육프로그램이나 혹은 특정 부문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Ⅳ. 결 론
앞서 지적했듯이 우리 나라 노인 평생교육의 체계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무엇보다도 노인 교육프로그램 운영주체의 인적·물적 자원의 부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학은 분명 타 교육기관에 비해 인적 차원이나 물적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비교우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녈 연구는 우리 나라 노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외국대학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시사점에 기초하여 대학 부설기관인 가칭 노년학센터(비학위 과정)를 활용하여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삶의 질(노후 건강 및 복지증진)을 높일 수 있는 퇴직 전·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여 보았다.
비학위 과정으로서의 대학 내 노년학센터의 주 교육대상은 장년층 대상교육과 노년층 대상 교육으로 크게 양분할 수 있으며, 노년학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대학교의 노년학관련 전공교수와 관련 전공의 대학원생 및 노년학연구 관련자로 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한다. 노년학센터는 노인의 현실적 욕구 해결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현장과 이론의 연계를 통해 노인연구에 있어서 보다 심도 있고 체계적인 발전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노인교육은 비단 예비 노인층(장년층)과 노인층에 국한하지 말고 노후에 관심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역시 병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노인보건복지 전문가과정과 노인교육지도자 전문과정 등을 확대 개설하여 노인교육의 인적자원을 점차 확충해 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는 노인 평생교육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대학원에 학제간 과정으로 노년학 전공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노년학은 어느 한 분야에서 독점할 수 없는 학제적 성격을 가진 학문이다. 따라서 학부과정 보다 대학원과정에 설치하여 다양한 학문들이 참여하는 학제간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노인교육지도자 양성과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및 시행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 평생교육백서. 1999.
김일성. 퇴직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2002.
유성호 모선희 김형수 윤경아. 노인복지론(2판). 아시아미디어리서치, 2002.
정경희 변재관 오영희 이윤경. 노인교육기관 및 교육프로그램 연계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차갑부. 퇴직 전·후 교육프로그램 연계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1999;37(1):347-368.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1997.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0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보건복지부, 1999a.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실태조사 분석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b.
한국보건사회연구원. OECD 국가간 노인성질환 치료의 비교방법 및 정책개발에 관한 연구. 2000.
한준상 외. 21세기 한국노인교육의 장기정책발전연구. 연세대학교, 1999.
허정무. 노인교육론. 협신사, 2000.
Atchley, RC. The Social Forces in Later Life, 4th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 1985.
Bowling, A. Measuring Health: A Review of Quality of Life Measurement Scales, 2nded. Open University Press. 1997.
Hancock T. The Mandala of Health: a Model of the Human Ecosystem. Family and Community Health 1985;8.
Hooyman, N. & Kiyak, H. A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MA: Allyn & Bacon. 1999.
Passutb, P.M., Bengtson, V.L. Sociological Theories of Aging. In Birren & Bengtson(Ed.), Emergent Theories of Ag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8.
Peterson, D.A Facilitating Education for Older Learner, San Francisco: Jersey-Bass Company 1983.
http://www.elderhostel.org.
http://www. unex.ucla.edu/plato.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8.10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2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