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 와 지역주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 방법
4. 안양 지역 선정 배경
5. 이론적 배경
1) 지역사회 개발 모델
2) 사회 행동 모델
3) 외국인 노동자의 개념

Ⅱ. 본론
1. 문제해결 과정
1) 문제 발견
2)지역문제 발견
3)문제 분석
4) 프로그램의 목표
5) 프로그램의 설계 및 실시
6)평가방법

Ⅲ. 결론

본문내용

백화점 안양 역사와 일번가 거리에 이주 노동자들이 받은 인권 침해 장면의 사진들을 전시하고 2명씩의 자원 봉사자들이 산업연수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다.
3단계 : 지역 주민들의 인식 전환
① 열린 콘서트
안양 문예 회관에서, 이주 노동자들의 노래와 악기 연주 등을 보여줄 수 있는 콘서트를 마련한다. 또한 안양 시립 합창단의 공연도 보여주고, 마지막에 이주 노동자들과 함께 합창하는 순서를 마련하여 청중들에게 이주 노동자들도 모두 우리와 같은 인격체라는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한다.
② 체육대회 개최
안양 공설 운동장에서, 이주 노동자들의 자녀와 지역 주민들의 자녀가 함께 하는 아동 축구 대회를 열고, 이주 노동자들과 지역 주민들이 함께 조를 이루어 참여할 수 있는 줄다리기와 계주 순서를 포함하여 서로 협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4단계 : 지역 주민과 이주 노동자들의 원활한 상호작용 활동
① 우리 문화 배우기
이주 노동자들과 안양 주민들이 매주 토요일 한시간씩 서로의 전통 춤과 노래를 배우도록 한다. 또한 서로의 인사법과 동일한 행동의 다른 표현 등을 배움으로써 흥미 유발과 서로에 대한 관심을 북돋게 한다.
② 동일한 취미 활동 반 구성
십자수 반, 낚시 반, 뜨개질 반, 축구 반을 구성하여서 이주 노동자들과 지역 주민들이 함께 구성원으로서 취미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외국어 교육 반 개설
이주 노동자들과 안양 주민들 중 지식 전달이 체계적인 사람을 선생님으로 임명해서 한국어 교육 반과 영어 반(영어권의 외국인)을 개설하여 아이들 뿐 아니라 어른들도 서로의 언어에 대해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이주 노동자들이 단순한 근로자의 이미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④ 가족 맺기 운동
이주 노동자 가족 1가구와 안양 주민 가족 1가구씩 서로 가족 맺기를 하여 보다 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이는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 이외에도 일상 생활에서 겪는 문제나 고민에 대해 관심 갖게 하는 중요한 활동이 된다.
5단계 : 타 지역과의 연계 및 이주 노동자의 인권보호 활동
① 네트워킹
홈페이지 개설 작업을 하고 타 지역사회(시흥, 부천, 안산지역을 시작)에서 이주 노동자 인권보호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들과 연계하기 위해 네트워킹을 실시한다.
② 만인 서명운동
타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이주 노동자들의 인권 보호 활동을 위한 서명 운동을 실시한다. 목표는 만 명을 기준으로 하여, 안양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시흥, 부천, 안산 지역에서의 서명 활동을 벌인다.
6)평가방법
① 과정평가
과정평가란 프로그램의 실천 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실천에 반영하여 실천의 궤도를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프로그램 실천을 구성하는 사람들의 대표로 위원회를 구성해서 정기혹은 비 정기적으로 평가회의를 개최하여 프로그램의 추진 상황을 검토하는 일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주민들의 이주 노동자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관건이므로 과정평가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과정평가는 매월 말 추진회와 사회복지사의 회의에서 진행 사항을 평가하며, 여기서 평가된 사항은 앞으로의 활동에 융통성 있게 반영하도록 한다.
② 결과 평가
결과에 대한 평가로서 문제해결 전 과정이 이룩한 결과와 최종 산물을 평가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통해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즉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최일섭&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2001. 서울대학교 출판부. p:201)
본 연구에서 우리가 실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은 아직 시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우리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적을 명확히 하여 훗날 프로그램 종결 후에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겠다.
a.이주노동자들의 편견 극복
지역 사회조직사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로 ‘전-후측정실험방법’을 실시한다.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에 대해서 사전조사를 하고, 프로그램을 실시한 1년 후 다시 조사를 하여 우리 사회에서 이주노동자들에 대해 얼마만큼 포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b.이주 노동자와 지역주민간의 공동체 형성
본 연구에서 계획한 프로그램의 1단계에서 4단계까지의 목표는 지역주민과 이주 노동자들의 연계와 상호작용이다. 길거리 사진전, 열린 콘서트, 가족 맺기 운동 등을 통해 지역 주민들과 이주 노동자들이 조직화 되어 제도 개선 주장을 하기 위한 추진회를 구성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안양 지역 내의 이주노동자들과 주민들 간의 화합을 위한 방법을 소개해 보았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단기간에 이루어져서는 그 결과의 효과가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시안으로 1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주 노동자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근본적인 제도 개정 시행을 이루기 위해서 일차적으로 다루어져야할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 문제에 접근했다. 우리와는 다르고, 우리의 관심 영역에서 벗어난 사람들이라는 생각 때문에 이런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적인 편견이 발생하는 것이며, 그것으로 인해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인권적 문제가 발생한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국민들이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적인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고, 이들을 진심으로 하나의 인격체로서 보길 바란다. 이러한 국민들의 인식 전환이 이루어질 때 우리가 근본적으로 해결해야할 제도 개정을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활동이 가능하고, 국민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큰 파워를 지니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및 싸이트
최일섭 류진석(2002),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양시 이주 노동자의 집(http://www.amwc.org/)
안산외국인노동자 센터 (www.migrant.or.kr)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 방법
4. 안양 지역 선정 배경
5. 이론적 배경
1) 지역사회 개발 모델
2) 사회 행동 모델
3) 외국인 노동자의 개념
Ⅱ. 본론
1. 문제해결 과정
1) 문제 발견
2)지역문제 발견
3)문제 분석
4) 프로그램의 목표
5) 프로그램의 설계 및 실시
6)평가방법
Ⅲ. 결론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8.15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