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차문화의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과 일본의 차문화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차의 기원 및 종류
2. 일본 다도의 역사
1)선종과 함께 중국으로부터
2) 생활예술을 추구하는 다도
3) 다도와 생활예술
4) 여자의 교양 필수 다도
3. 일본 다도의 정신
4. 한국 차문화의 역사
5. 한국 다도의 정신
6. 한국의 유명한 다인들
1)초의(草衣) 장의순
2)다산(茶山) 정약용
3)추사(秋史) 김정희
7. 한국 차문화의 특징
1)의식다례의 발달
2)수양다도의 발달
3)독창적 다구의 발달
4)세밀하고 자연스러운 행다례(行茶禮)
5)문사중심의 다도문화
6)옛 관리의 다도 중시
8. 한국과 일본의 다기
1) 차와 차그릇
2) 다기의 형태와 이름 
3) 조선전기 백자 발과 일본의 다완

Ⅲ. 결론

본문내용

낮은 온도 등은 수준 낮은 지방산 하품백자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그들은 이 그릇을 최고의 다완으로 선택하고, 마음에 평화와 기쁨을 주고 숭고함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여기고 있다.
Ⅲ. 결론
염제 신농씨로부터 시작된 차문화는 한국과 일본으로 전래되었고 이는 각각 다른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일본에서 다도는 무사계급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일기일회의 정신이나 선다일미, 화경청적 등의 다도사상들을 만들어내었다. 이는 사무라이 정신과도 상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한국에서는 문인들을 중심으로 다도 문화가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무아의 지경'에 이르는 것을 다도의 정신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사상들이 한국의 고차, 돈차 등의 잎차를 이용한 차 문화의 발달에 영향을 미쳤고 여러 문인들이 남긴 다시나 문구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의 다도 문화는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점차 사라져가는 추세이고 극동 아시아의 3국 중 가장 차 문화 훼손의 정도가 큰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모로오카와 이에이리는『조선의 차와 선』에서 근대 이후 우리나라 차문화의 쇠퇴의 이유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첫째, 한국 차문화는 서원을 중심으로 전래되어 조선조 불교의 쇠퇴와 함께 음다 풍속도 쇠퇴했다는 것이다. 둘째, 연초(煙草)와 술 때문이라고 한다. 셋째, 한국의 수질이 좋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세가지 중에서 술 문화의 발달로 인한 다도 문화의 쇠퇴가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된다. "차를 마시는 민족은 흥하고 술을 마시는 민족은 망한다"는 정약용 선생의 말씀을 되새겨보면서 우리의 차 문화를 돌아보면서, 옛 선인들의 정신을 본받아 우리의 차 문화를 지켜나가는 것이 세계화로의 첫 발이 될 것이다.
최근에 차를 즐기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좋은 현상이긴 하지만, 그 와중에 일본식 다도문화를 우리의 것인줄 알고 따르고 있음이 안타까울 뿐이다. 일본의 문화는 튀는 것을 용서하지 않는다. 무엇이든 구획된 틀 안에 집어넣어 형식을 벗어나는 걸 참아내지 못한다. 모든 문화가 일본에 들어가면 정확히 계량, 측정, 형식화 되면서, 조금의 파격이나 여유도 없어지는게 일본문화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한국에 알려진 다도는 일본식의 변형에 불과하다. 일본인 특유의 형식을 중요시 하는 다도를 우리의 것 인양 착각하고 있다. 차 마시는 법을 복잡하게 정해놓고 그 형식 자체를 다도라고 한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도회나 다도강좌들이 대개는 이런 일본식 다도를 가르치고 있다. 이는, 일본식이라면 무조건 배척한다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느 방법이 더 우수하다는 것도 아니다. 다만, 우리에겐 한국인에게 맞는 차문화가 이미 고대로 부터 있었으니 그걸 한번 잘 되살려 보았으면 좋겠다.
한국문화의 전형적인 특징은, 실제생활과 격리되어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모든것의 기준이 당대를 살아가는 일반 서민의 실생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그것이 사람에게 필요하다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되고 만다. 특별한 공간이나 시간을 점유하지는 않는 것이 한국문화의 한 전형이다. 차를 우려 마실때 일본식 녹차는 70 - 80도 정도로 식힌 물로 우려내는데 이는 일본식 쪄서 만든 녹차를 마시는 방법이다. 찐차는 열탕을 붓게되면 떫은맛과 쓴맛이 강해져서 이를 완화하고자 한데는 나온 방법이다. 그러나 한국의 덖음차는 온도에 상관치 않는다. 취향에 따라 뜨겁게도 좀 덜 뜨겁게도 마실 수 있다. 이처럼 한국의 전통적인 가마솥에서 덖어서 만드는 자생차는, 찐차에서 나는 풀냄새 비슷하고 비린내 같기도 한 불쾌한 냄새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그 우려낸 색이 연한 다갈색이며 맛 또한 구수한 숭늉 냄새가 나서, 이것이 바로 한국인의 입맛에 딱 들어맞는 우리의 차다. 한국차를 마시는 방법은 특별한 격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실생활에서 그 말대로 다반사로 일어나는 것이지, 실생활과 격리되어 저 높은 곳에 있는 무엇이 아니다. 복잡한 형식에 얽매여 진정한 본질을 알지 못한다면 이처럼 우스운 일이 없다. 초의선사는 다신전에서 한국의 다도를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한 말씀으로 모든걸 담아내고 있다. 더 이상의 잡스런 설명이 필요없는 명쾌함이다. 말 그대로 선과 차는 다름이 아님을 보여 주신다. 일체의 설명이 생략되어 바로 핵심을 찔러간다."정조결(精燥潔)이면 다도진의(茶道盡矣)니라" 만들때 정성을 다하고 저장할 때 건조하게 하며 마실때 청결하게 하면 다도는 완성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