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마 유치환의 시와 생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마 유치환의 시와 생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대표시 감상

유치환 / 바위

시감상

유치환 깃발

시감상

유치환 __ 생명의 서

시감상

유치환 일월

시감상

Ⅲ.결론

본문내용

한 회의와 번민으로부터 스스로를 구제하기 위한 대결의 공간으로 사막을 설정하고, 참된 자아를 찾기 위해 '열렬한 고독'의 길을 가고자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된 '나'를 발견하지 못한다면 차라리 죽음의 세계에 자신을 바치겠노라는 비장한 의지가 담겨 있다. 여기서 참된 '나'란 세속에 물든 '현실적 존재로서의 자아'를 넘어서, 성취하고자 하는 '근원적 생명과 순수성으로서의 자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까 여기서 두 번의 ‘나’가 나오는데 하나는 ‘현상적 자아’이며 다른 하나는 ‘본질적 자아’ 또는 ‘생명 본연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이 시는 유치환의 다른 시 “일월(日月)”과 함께 생명파 시인으로서의 유치환의 시정신을 극명히 보여 주는 작품으로서, 본연(本然)의 생명을 추구하여, ‘출발’ → ‘수련’ → ‘성취’의 과정을 통하여 강인한 남성적 어조로 극한적 의지를 표현함으로써 청마(靑馬) 유치환 시의 전형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유치환 일월
나의 가는 곳
어디나 백일(白日)이 없을소냐.
머언 미개(未開)ㅅ적 유풍(遺風)을 그대로
성신(星辰)과 더불어 잠자고
비와 바람을 더불어 근심하고
나의 생명과
생명에 속한 것을 열애(熱愛)하되
삼가 애련(哀憐)에 빠지지 않음은
―그는 치욕(恥辱)임일레라.
나의 원수와
원수에게 아첨하는 자에겐
가장 옳은 증오를 예비하였나니.
마지막 우러른 태양이
두 동공(瞳孔)에 해바라기처럼 박힌 채로
내 어느 불의(不意)에 즘생처럼 무찔리기로
오오 나의 세상의 거룩한 일월에
또한 무슨 회한(悔恨)인들 남길소냐.
시감상
불의와 악에 대한 타협이 없는 증오와 대결 의지를 주제로 한 이 시는, 다른 대표작 “생명의 서(書)”와 더불어 세칭 유치환을 '생명파'로서의 위치를 굳히게 한 작품이다. 그가 일제 압제를 피하여 가족과 함께 북만주로 탈출하기 1년 전에 쓴 것으로 알려진 이 작품은, 그의 치열한 생명 의식과 사회악에 대한 준열한 윤리 의식을 결합하여, 생명파 시의 실체를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이 시는 ‘증오’의 의지와 ‘애련’의 정감이 대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은 “바위”, “생명의 서”,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등과 함께 청마(靑馬) 시의 기본 구조이다. 문제는 이 같은 구조가 언제까지 이처럼 팽팽한 긴장 관계를 유지하느냐, 서정적 주인공의 의지가 어느 정도까지 동요, 파탄되지 않고 지속적인 대결의 자세를 보이느냐 하는 데 있다. 부정한 세력에 대한 질타(叱咤)의 범접하기 어려운 어조와 질감(質感) 있는 어휘, 도도한 윤리성에 기초한 이 시는 순수시파나 모더니즘파의 율격이나 심상의 해조(諧調)보다 윤리 의식을 기초로 한 시 정신의 고양(高揚)이란 점에서 더 큰 의의를 누린다.
그럼에도 이 시의 주제 의식은 겉으로 드러난 것만큼 튼튼하지 않다. 불의, 부정한 원수를 향한 증오심이라는 것도 ‘애련’의 정감 때문에 동요할 수밖에 없다. 유치환의 시가 생명 의식에 준열하면서도 끝내 대결에는 철저하지 못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이 시에도 그 같은 불안의 복선이 ‘애련’의 정감 속에 깔려 있다. ‘파동 치는 의지’의 표상으로 풀이되는 “깃발”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시적 자아는 ‘회한’을 거부하면서도 회한에 사로잡히는 낭만적 아이러니의 주인공인 것이다.
Ⅲ.결론
유치환은 서정주 등과 함께 대표적인 생명파(인생파)시인으로서 주지시나 계급주의 시를 배척하고 '정(精)'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의 근원적 실체로서 생명에 몰두하게 되었다. 남달리 사회현실에도 관심이 많았던 청마(馬)였지만 그것을 직설적으로 비판할 용기를 가지지 못해서 간접적으로나마 시에서 생명불굴의 의지를 통해 민족의 고난을 극복하고자 하였다고 생각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11.1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