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적 통일성과 서정양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공시적 통일성과 서정양식
1. 현대사회와 동일성
2. 추방된 시적 비전:서정적 자아의 변모
(1) 현실대결의식과 탈
(2) 비인간적 익명의 정조
(3) 세계 상실의 고립주의
(4) 동일성의 재획득과 그 의의

Ⅱ. 통시적 동일성과 서정양식
1. 변화
2. 자아형성의 두 유형
(1) 소극적 자기동일성
(2) 적극적 자기동일성
3.자아상실의 여러 양상
(1) 허위적 자아와 영원한 현재
(2) 통시적 동일성에의 갈망
(3) 원형적 동일성

본문내용

광규의 <오늘>이란 시에서 그가 체험하는 시간은 "주택은행에 월부금을 내는 날"의 철저하게 계량화된 양적 시간이다. 그리고 그는 "언제나 오늘만을 사랑"하는 영원한 현재 속에 갇혀 있다. 그에게 필요한 것은 파편화된 일상적 자아이며 영원한 현재 속의 자아이다.
(2) 통시적 동일성에의 갈망
현대인의 영원의 차원에 대한 갈망은 이러한 영원한 현재 속의 비극적 자아를 극복하려는 데서 발생한다. 영원에 대한 갈망은 김광섭의 <隨想>에서 잘 나타나있다. 여기서 과거·현재·미래의 시간적 일체감과 "영원으로 흘러가는 노래"의 영원성과 불변성은 이제 우리 삶의 절대적 가치고 서정적 이상이 된다. 현대시의 짙은 향수나 실향의식의 정서는 상실된 본래의 자아와 세계에 대한, 그 통시적 동일성에 대한 서정적 갈망이다.
김준태의 <샛골 이별가>에서 도시는 악마고 시골은 천사다. 여기서 악마는 변화의 등가물이며, 천사는 통시적 동일성의 등가물이다. 이 화자는 인간과 자연이 조화로운 일체감을 가졌던 삶의 세계를 인간의 진정한 가치로 판단하고 있다. 김종길의 <聖誕祭>에서는 입사식의 모티프로 자아와 세계의 통시적 동일성이 창작동기가 되고 주제가 되고 있다. "한 마리 어린 짐승"에서 '서러운 서른 살"이란 자아의 변화와 "옛것이란 거의 찾아 볼 길 없는"세계 의 변화 속에서 화자가 재발견한 통시적 동일성이다. 이 작품의 포근한 서정적 감동은 바로 이 통시적 동일성에 서 비롯되고 있다.
(3) 원형적 동일성
현대시인은 신화나 전통 설화에서 개인적 동일성을 승화·확대시키는 방법을 찾는다. 신화나 전통 설화의 현대적 의의는 자아와 세계의 동일성을, 그리고 인류의 연속성을 보여 주는 데 있다. 신석초의 <處容은 말한다>에서 처용은 아내의 간통이라는 세속적 타락의 극한 상황과 정면으로 대결하지 않고 자신과의 싸움으로서 그 위기를 극복했다. 그는 관용과 인욕의 화신이다. 관용과 인용으로써 타락된 세계에 대한 하나의 전형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다. 이처럼 독특한 한국적 원형으로서 오늘날까지 민속을 통해서, 그리고 많음 문학작품 속에 반복하여 면면히 재생되고 있다. 신화나 전통설화에 접맥된 동일성은 이제 개인적 동일성이 아니라 원형적 동일성이다. 그 원형에 우리 자신을 동화시킴으로서 우리는 통시적 동일성의 감각을 가질 뿐 아니라 자아를 더욱 심화·확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변화와 다양성과 차이성 속에서 동일성은 값진 진주와 같은 것이 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1.2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