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문학의 위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사문학의 위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사의 명칭과 개념
2. 가사의 발생과 발전
1) 가사의 기원과 발생
2) 가사의 발전 과정
3. 가사의 장르상의 문제
4. 가사문학의 갈래와 형식
1) 가사문학의 갈래
2) 가사의 형식
5. 국문학사에서 가사문학의 위상


Ⅲ. 결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이전의 향가에 영향을 받아 탄생한 문학이다. 향가역시 그 이전의 민요체나 고대가요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문학이다. 여기서 나는 다시 한 번 국문학사에서의 연계성을 찾게 되었다. 가사가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형식면에서도 그렇고 발생시기를 보아도 그렇고 독립적으로 발생하였다고 보는 것은 옳지 않은데, 즉 어떠한 한 문학 장르가 탄생되기 위해서는 그 이전의 선행문학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가사라는 장르는 왜 태어난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은 이미 나와 있으리라 본다. 즉 그 발생이 고려 말이었든지 조선 초였든지, 경기체가나 시조는 표현상에서 많은 제한성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정형시만으로는 시대의 객관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가 없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 선조들은 인간의 내면세계를 보다 구체적이고 폭넓게 표현하기 위해 경기체가나 시조의 이런 제한성을 극복하고, 그 음율적 특성과 낙구 형식 등을 살리면서 보다 자율적인 가사를 탄생시켰던 것이다. 다시 말해 가사의 탄생은 우리 국문학사에 있어서 표현상에 보다 자율성을 가져다 준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시가는 보다 정교하고 세련된 시가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가사문학의 위상은 훈민정음의 창제와도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 정음은 가사와 같은 장편시가를 창작할 수 있는 조건, 즉 표기 수단을 마련해 준 것이다. 이렇게 출현한 가사문학은 사대부 문학으로 영향력 있는 작자계층을 갖게 되었는데, 그들이 가사를 지었다는 것은 곧 그들이 정음을 사용하였다는 것이 된다. 사대부의 능숙한 문학적 기량이 가사를 통해 발휘되고, 이에 따라 한글의 문학적 예술성은 급성장 하게 된 것이다.
만약 가사 문학이 없었다면, 국문소설이나, 수필이 과연 등장했을까. 결국 가사는 조윤제가 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운문에서 산문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교량적인 구실을 한 것이다. 여기에서 비록 가사가 어느 한 장르에 속하기 어려운 성격을 지니게 되었지만, 이러한 독특한 성격이 바로 국문학사에 있어서 가사의 진정한 위상이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국문학사에 있어서 가사문학은 가사 이전의 우리의 시가를 계승한 것으로, 우리 선조의 표현 의지를 담을 수 있는 훈민정음이라는 국자를 만나서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발전함에 한글의 문학적 예술성을 높였다. 또한 운문과 산문의 양면성을 가진 독특한 특성으로 말미암아 시가에서 소설이나 수필 등의 예술적인 산문을 형성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에 크게 영향을 주었으리라 봄이 당연함으로 그 위상은 참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 가사문학은 명칭과 개념에서부터 시작하여 발생 시기, 장르 규명 등에서 여타의 국문학의 장르보다 많은 이견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전에 배운 고려가요에 대한 이견보다도 훨씬 다양한 견해들이 있는데, 이는 가사를 하나의 틀 속에 귀속시키려 하다 보니 생긴 문제 인 것 같다. 그러나 가사를 어느 하나에 포함시키려고 하는 것보다는 그 특성을 인정하여, (조윤제의 말대로) 가사를 독립된 하나의 장르로 인식하게 된다면 이에 대한 문제는 어느 정도 사라질 것이라 본다. 또 이러한 양면적인 특성이 바로 국문학사에 있어서 운문에서 산문으로 넘어가는 교량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함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에서 가사에 대한 위상을 알아보았고, 느낀 바도 크다. 그 느낀 바는 향가문학에서도 그랬지만 국문학사를 공부함에 있어서 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볼 수 있는 눈을 가져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독특한 문학을 탄생시킨 우리 선조들의 문학애에, 이를 가능하게 한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에 대한 끝없는 존경이 바로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나에게 국문학사를 바라보는 눈을 뜨게 해주신 교수님께도 감사와 존경을 표하고 싶다.
< 참 고 문 헌 >
1. 김광순 외(2003). 국문학개론. 새문사.
2. 류연석(1989). 가사문학의 역사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3. 이병기백철(1993).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4. 이정주(1994). 가사문학의 사적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5. 장덕순(2004).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6. 조동일(1995).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7. 조윤제(1985). 한국문학사개설. 을유문화사.
8. 전태열(2003). 가사의 장르적 성격연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9. 허문섭(1996). 조선고전문학사. 료녕민족출판사.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1.30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