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의 관점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행동주의론
1)이론의 특징
2)행동주의론의 종류

2. 정신분석학 이론
1) 이론의 특징
2) Freud의 인성이론
3) 정신분석학의 주요 개념

3. 인지이론
1) 이론의 특징
2) 인지이론의 종류

4. 상징적 상호작용론
1) 이론의 특징
2) 상징적 상호작용론자들

5. 동양사상
1) 유교사상
2) 노장사상
3) 불교사상

본문내용

포졸, 치지는 내외를 바르게 살피는 파수꾼이라면 경은 수문장에 해당하는 것이라 했다. 그는 마음을 밝히는 일에 격물이라고 하는 개관지가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있는데 주자의 바로 이러한 객관주의적 태도에 대해서 왕양명은 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5) 왕수인
양명선생이라 불리운 왕수인은 당시 유학이 심신수양과 상관없이 오로지 입신출세에만 악용되고 있는 것은 주자의 이학에 문제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양명은 우리가 탐구해야 할 이(理)는 바깥의 사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마음 안에 있는 것이라 했다. 주자는 도덕적객관론자라면 양명은 도덕주관론자라 할 수 있다. 그는 지행합일(知行合一), 정좌(鼎坐), 존천리거인욕의 성의를 가르치다가 말년에는 치양지설(致良知說)을 제창했다. 지야지는 마음의 본체이자 천리이고 가장 근본적인 앎이지만 이러한 양지를 현실의 앎과 행동으로 옮기자면 치(致)의 노력이 필요한데 대학의 치지란 바로 이를 강조한 것이로 그 는 해석했다.
(6) 퇴계
한국적 성리학을 집대성한 학자가 곧 퇴계이다. 퇴계는 불교를 이단으로 극력 배척하였다. 퇴게 인성론의 대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가 있다. 천명은 곧 이인데 이에는 원(元), 형(亨), 이(利), 정(貞)의 사덕이 갖추어져 있고 이 네가지의 실(實)이 성(誠)이다. 이 사덕의 이가 인성으로 갖추어진 것이 인의예지신의 오상(五常)인바 사덕과 오상은 곧 상하의 한 가지이이기 때문에 하늘과 사람의 사이에는 분간이 없는 것이다.
2) 노장사상
(1) 노자
사마천 사기에 의하면 노자는 초(楚)의 고현(苦縣) 사람으로 성은 이(李), 이름은 의(耳)이다. 노자사상은 『도덕경』이라는 책에 실려 있는데 이 노자사상은 보다 심화시킨 사람이 장자이다. 무위자연사상을 본으로 하는 노자는 공자의 세속적 규범을 위주로 하는 사상을 자연에 반하는 것이라는 이유로 거부하고 잇다. 인간은 어디까지나 무욕(無慾), 허정(虛靜), 겸하(謙下), 유약(幼弱)의 자세로 살아가는 것이 현명하다 하고, 그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사회 또한 도원향적 소국과민의 사회이다.
(2) 장자
장자는 노자철학을 계승 발전시킨 맹자와 동시대인 전국시대 직하학(稷下學)의 한 사람이다. 장자는 나와 만물이 하나라는 물아일체(物我一體)를 체득하여 생사를 초월하는 진인(眞人), 또는 지인(至人)의 경지에 이르는 수행을 심재(心齋), 또는 좌망(坐忘)이라 하는데, 이는마음을 가라않혀서 분별력을 잠재우는 길로서 불교에서의 선(禪)과 유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장자는 자연스러운 삶을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했다. 여기서 자연스러운 삶이란 자기 본래의 성품인 성명지정(性命之情)에 좇아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장자는 소박한 본성을 덕으로 보고 이를 유가적 인의나 인위적 교육을 통해서 함양도리 수 있는 것으로 보지를 않았다. 그는 덕을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어린아이와 같다고 함으로써 노자의 입장을 계승하고 있다.
(3) 왕필
노자에 관한 여러 해설서 중에서 왕필의 것이 가장 오래된 것일 뿐 아니라 당시 노자사상이 종교화하고 신비화하는 경향에 대해서 합리적철학적 해석을 가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단연 돋보이는 것이다. 노자에서는 발견도지 않은 이(理)라는 개념을 왕필은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그가 노장사상을 유학을 비롯한 다른 중국사상과 접목시키려는 노력으로 볼수 있다. 그는 이를 자연 속에 내재해 있는 궁극적 원리로 보면서 이에 순하면 흥하고 역하면 망하는 것으로 보았다.
왕필의 인성론 중에서 주목되는 것은 그가 성인도 감정은 있다고 한점이다. 공자가 그 제자의 죽음앞에서 슬피 운 것을 예로 들어 성인에게도 희노애락의 정은 있는 것이고 이러한 정에 순응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처사라고 함으로써 장자의 가르침과는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왕필의 이러한 입장은 노장사상을 정주의 성리학으로 연결시키는 가교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 불교사상
(1) 석가모니
석가모니의 가르침이 시행된 시기는 인도 사상사에서 각종 사상이 난무하던 소위 제교파 시대였다. 석과모니는 파니샤드의 전변록적(轉變論的) 연기설(緣起說)과 로카야타파의 유뮬론적 사대설(四大說)을 종합 지양함으로써 새로운 삶의 길을 제시한 것이다. 석가모니의 가르침은 우리들을 고(苦)로부터 벗어나서 해탈하도록 이끄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실천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시된 석가모니의 가르침은 사성제, 팔정도로 정리 될 수 있다.
① 고성제 : 생즉고(生卽苦)라는 진리에 대한 가르침이다. 나서 늙고 병들고 죽는 삶의 과정은 곧 고통 바로 그것이며, 또 싫은 사람과 함께 사는고통, 좋은 사람과 헤어지는 고통, 바라는 것을 이루지 못하는 고통등도 우리를 괴롭히는 것이다.
② 집성제 : 오온으로 구성된 고통스러운 삶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가르침이다. 12연기설이 집성제의 내용이다.
③ 멸성제 : 고는 멸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가르침이다. 12연기설에서 고의 궁극적 원인은 무명이고 맹목적 삶의 의지, 갈애, 욕심 등이기 때문에 이러한 원인들이 제거되면 고도 멸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④ 도성제 : 고를 멸하는 구체적인 8단계에 대한 가르침이다. 정견(正見), 정사유(正思維), 정업(定業), 정명(正命), 정정진(正情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의 8지(支)는 계(戒), 정(定), 혜(慧)의 삼학으로 나눌 수 있다. 도성제는 쾌락과 고행의 양극단을 피해 중도를 택해야 올바른 수행이 가능하다는 가르침도 포함하고 있다
(2) 세친
처음에는 소승의 설일체유부에 출가했다가 형 무착의 권유로 대승으로 돌아 수많은 논서를 펴고 80세에 야유다국에서 죽었다. 그는 유식이십송과 유식삼십송은 마음의 이치를 체계적으로 논술한 것으로 사회심리학적 의의가 매우 큰 것이라 할 수 있다.
(3) 원효
원효의 화쟁론(和諍論)은 일체의 대립을 초월한 진리의 경지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과학적 인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도 매우 도움이 되는 공부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전병제(2000). 인간과 사회. 경문사.
- 엄신자, 전신현 공저. 현대사회심리학. 아세아 문화사
  • 가격1,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12.0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