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시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Ⅱ-1. 백석의 모더니티와 유년의 토속 세계


Ⅱ-2. 유랑과 비극적 세계관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석음과 '나를 마음대로 굴려가는 것이 있어'와 같은 운명에 대한 체념의 순간까지도 오롯이 드러내보이는 것이다.
그런데 이 현재의 고통스러운 반추의 과정은 역전되며 하나의 정점을 형성하게 된다. 즉 의식의 매개를 통해 슬픔과 한탄으로 가라앉은 자아는 방밖의 공간으로 전이되며 나무라는 높이지향의 정점에 다다르는 것이고, 그럼으로써 자아에 대한 성찰의 결과는 '앙금으로 가라 앉히고' 한 발 더 나아가 이제 자아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로 표상되는 것이며, 또한 이것은 상실의 여로에서 고통스러운 현재의 반추를 통해 자아를 정돈하고 미래로의 삶의 태도를 설정해보는 새로운 자아의 표상이라고 볼 수 있다
윤영태, 앞의 논문, p.71
고 설명하기도 한다.
그러나 '내 뜻이며 힘으로, 나를 이끌어가는 것이 힘든 일인 것을 생각하고, 이것들보다 더 크고 높은 것이 있어서 나를 마음대로 굴려가는 것을 생각하는 것'은 이미 일종의 운명론적 세계관의 표명일 것이다. 그는 이러한 운명에 도전하지 않는다. 위의 시에서 읽을 수 있는 것은 운명에 대한 극복 의지가 아니라 오히려 체념함으로써 마음의 평정을 구하는 태도이다.
백석이 이러한 운명론을 수용하였을 때 그의 시는 주로 사념과 정서의 언어로 이루어지고 있다. 체념을 주조로 한 운명론적 세계관을 체득하고 자기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생생한 파악이 포기되었을 때 구체적인 삶을 탐구하는 서사 지향도 움츠러들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자리에 누어서 머리에 손깍지 벼개를 하고 굴기도 하면서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새김질하는 것', 이것은 작자가 무심결에 밝힌 창작 방법인 셈이다. 방안에 누워서 마음속에 떠오르는 사념이나 정서를 자꾸 되새김질함으로써 그의 시가 씌어졌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향 상실감과 운명론적 세계관은 대체로 그가 만주로 떠난 이후에 씌어진 작품에 많이 나타나는데 이처럼 변화된 그의 시세계는 민족의 생존이 의문시될 정도의 절박한 위기 상황에서 무력한 개인이 쓸 수 있는 최고의 비가라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하겠다. 또한 당대의 우리 민족 대다수의 정신 상황을 고향 상실감과 운명론적 세계관으로 규정한다면 이에 대한 가장 뚜렷하고 정직한 반응을 보인 문인의 하나가 백석이 아닐었을까 한다.
Ⅲ. 맺음말
백석의 詩作 시대는 일제 군국주의 식민지 시대로 우리 민족의 고유성이 말살되던 시기였다. 백석의 시가 우리 민족의 토속적인 삶을 방언의 효과를 살려 그려내고 있다는 사실은 식민지 현실의 피폐하고 분열되어진 삶에 대한 은밀한 대응이었음을 말해준다. 1930년대 중반에 詩作활동을 시작했던 그는 당시의 시사적 배경 가운데 모더니즘파의 경향에 영향을 받았는데 모더니즘에서도 이미지즘의 시작 방법에 영향을 받아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이의 극복으로 이야기적 상황을 끌어넣고 토속 세계로 들어간다. 백석 시는 두드러지게 방언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우리의 토속적인 풍물과 정취를 환기시키는데 적절히 이바지하고 있으며 식민지 시대의 母國語 발굴의 의미, 언어로써의 길항의 의미가 있다.
백석 시의 소재는 주로 고향 마을에서의 유년의 공동체적 생활체험, 민간 신앙·민속에 대한 것, 유랑 생활에서의 체험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체험 속에 있는 이야기, 풍경, 온갖 사물, 토속적 음식물과 俗信 등이 두드러진다. 특히 식생활에 관한 시어는 우리의 삶을 감각적이고 절실하게 환기시키는데 적절히 기여한다.
백석의 초기시에는 유년의 화해로운 세계와 토속적 세계가 그려진다. 이는 상실된 세계 속에서 아름답고 화해로운 삶에 대한 추구였다. 이러한 유년기의 재구는 순수 기억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의식의 흐름 기법이 사용된다. 또한 토속적 삶의 형상화는 우리 민족의 공동체의식과 삶의 연대감을 환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왔다.
그러나 백석은 이후 여행을 통한 기행시편에서 그의 유랑적 세계관을 드러내기 시작해 만주 시절의 시편에서는 현실의 삶에 대한 단절과 절망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들에서는 현재의 자아를 탐색하는데 自省的이고 고백적인 목소리를 들려준다. 단절과 절망에 빠진 시인은 위안적인 현실 대응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현실을 좀더 철저하게 투시하여 객관정신으로 순수 자아를 견지하려는 의지로까지 승화시킴으로써 미적 성취를 이룬다.
여기서 백석 시가 가지는 문학사적 의의를 찾아보면 첫째, 이미지즘의 세례를 받으면서도 이를 주체적으로 변용시켜 토속적 소재의 효과적 표현을 위해서 토착적인 방언을 이용한 이야기체의 運用과 독특한 기법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둘째, 일제에 의해 우리 민족의 삶이 뿌리채 뽑혀 던져지던 1930∼1940년대의 식민지 상황에서 당대의 누구보다도 보편화된 솔직한 감정으로 비극적 현실을 바로 인식하고 우리의 것을 詩化해 내었다는 점이다. 이는 우리 詩史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참고문헌
1. 기본자료
백 석, 『사슴』, 조광인쇄주식회사, 1936.
김학동 편, 『백석 전집』, 새문사, 1988.
송 준, 『시인 백석 일대기』 1·2 도서출판 지나, 1994.
이동순 편, 『여우난골족』, 솔, 1996.
2. 주요 저서 및 논문
Gaston Bachlard, la poetique de la reverie, 김현 옮김, 『몽상의 시학』, 홍성사, 1982.
고형진, 「백석시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1983
김기림, 「사슴을 안고」, 『조선일보』, 1939.
김기림,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 『인문평론』, 1939.
김미경, 「백석시 연구-시적 욕망의 전이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4.
김용직, 『한국현대시연구』, 일지사, 1976.
김점룡, 「백석 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1995.
김종한 「詩壇時評」, 『文章』, 1941.
윤영태, 「백석시 연구」, 국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6.
이동순, 「무너진 시대의 모국어와 공동체 의식-백석 시의 합일지향적 성격」,
『백민 전재호박사 화갑기념 국어학 논총』, 형설출판사, 1985.
최두석, 『우리시대의 문학』 6집, 1987.
한수영, 「백석 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5.

키워드

백석,   ,   시인,   정주성,   사슴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01.06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