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여음의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차 례
Ⅰ. 서 론

Ⅱ. 본 론
1. 여음의 개념 정의
2. 고려 속요 여음의 실태
2.1. 감탄여음(感歎的餘音)
2.2. 구음(口音)
3. 여음의 위치와 기능
3.1. 전치여음(前置餘音)
3.2. 중치여음(中置餘音)
3.3. 후치여음(後置餘音)

Ⅲ. 결 론

본문내용

어렁셩 다링디리. <서경별곡>
쳬산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청산별곡>
가시리 가시리 잇고 나다
빛리고 가시리 잇고 나다
위 증즐가 태평성대. <가시리>
위의 여음들을 보면 ①행 말에 반복하여 오는 여음 (상저가), ②속악의 장(또는 연)의 끝에 오는 여음(정읍사, 동동, 서경별곡, 청산별곡, 쌍화점, 가시리), ③한 속가의 끝에 오는 여음(나례가, 상저가, 내당) 등으로 나눌 수 있다. ①의 기능은 노동 작업을 조절하고 숨을 돌리기 위해 삽입된 후렴적 기능이고, ②의 기능은 <정읍사>, <가시리>의 경우는 악절의 분리와 동시에 정서의 확장 · 지속의 기능, <동동>, <청산별곡>의 경우는 연과 연의 분리의 기능, 그리고 <쌍화점>의 경우에는 실사가 들어감으로 인하여 악장의 분리와 동시에 앞 가사의 의미를 뒷받침하는 기능, ③의 기능은 종결의 기능이다.
이상으로서 고려 속가의 기능을 고찰한 바를 정리해 보면 전치여음은 작업의 시작과 흥을 돋우는 기능을 가졌고, 중치 여음은 정서의 고양 · 의미의 강조 · 조율성을 가졌고, 후치 여음은 노동 작업의 조절, 악절 또는 악장의 분리 · 정서의 확장과 지속 · 시가의 종결 등의 기능을 가졌다.
Ⅲ. 결 론
여음은 시가에서 되풀이 되는 일련의 소리로서, 흥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인 효과를 얻지만, 의미론적으로는 본사와 관계가 없는 시어를 가리킨다. 고려 속가는 궁중의 속악 가사로 사용되었으나, 형식적으로는 가장 원초적인 시가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반복법과 여음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전체가 여음으로 이루어진 작품도 있어서 논란이 되어 왔다. 여음은 고려속가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는데 그 성분과 형태에 따라서 감탄적 여음, 구음, 여음구로 나누어지고, 본사 가운데 놓이는 위치에 따라서 전치여음, 중치여음, 후치여음으로 나누어 진다. 고려 속가의 여음에 대한 연구는 일부 여음이 구음으로서 그 원의(原義)를 알 수 없다는 점과 오늘날까지 전하는 다른 시가 중에는 그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여음을 보여주는 작품이 적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문제를 과제로 삼아 연구한다면 여음에 대한 의구심이 풀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정경의, 「고려속가의 여음 연구」, 釜山大學校, 1997.
이남구, 「高麗俗謠의 餘音硏究」, 高麗大學校, 1982.
박춘규, 「麗代 俗謠의 餘音 硏究」, 中央大學校 國語國文學會, 1979.

키워드

고려,   속요,   고려속요,   여음,   특징,   기능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26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