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폐소생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복상위로 눕히고 흉골하반부를 척추로 향해 수직으로 규칙적으로 성인에서는 4~60cm정도 압박하면서 실시한다. 이 때 구조자의 팔꿈치와 어깨는 척추에 대하여 수직이면서 일직선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특히 유의할 점은 압박할 때 팔꿈치를 굽히지 말고 어깨와 팔이 함께 상하운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 이때 구조자의 손 위치는 매우 중요한데 한손은 손바닥을 흉골하단부에 밀착시키고 손가락은 약간 벌리게 한 후 다른 한손은 상하로 겹치게 하고 이때 위에 위치한 손의 손가락을 아래 손가락 사이에 위치케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손바닥은 흉골에서 떨어지지 않는 것이 좋다.
전흉부타법(precordial thumping)은 심정지는 발생하였으나 의식이 아직 있고 심압박법이 고통스러우리라 생각되는 환자이거나 반사성 심정지가 발생된 경우 실시 될 수 있다.
이 방법은 구조자의 주먹으로 흉골하반부부를 20~30cm 높이에서 수직으로 아래로 타격하는 것으로 2~3회 실시한다. 이렇게 하여도 별 효과가 없으면 즉시 심압박법을 실시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 이 타법으로 오히려 심실세동증을 야기하는 수도 있다. 표준적 흉곽외 심압박법으로 인위적으로 생성된 혈류량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높은 기도압을 만들 수 있는 기관 내 삽관을 함께 실시하면 혈류량을 더 많이 만들 수 있다.
(2)지혈처치(control or hemorrhage)
외부로 출혈하는 경우 출혈부위를 높이면서 손으로 압박하고, 압박붕대를 감아두는 것은 일차적인 구법처치이다. 압박대로 지혈하는 방법은 최후의 방법이어야 한다. 흉부이하의 조직에서 일어나는 출혈은 속 처치 의료용하의(MAST)를 착용시켜 비수술적으로 지혈이 가능하다. 이 하의는 출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고 지혈혈량 쇽일때 자가수혈적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아울러 골반 및 하지골절시 고정효과 및 폐쇄성 심폐소생술시에 뇌혈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MAST로서 저산소혈증과 산성화된 혈액 자체는 개선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신허혈현상을 야기 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뇌손상, 흉곽내 출혈과 폐부종에 의한 심부전증시에는 적용대상이 아니다.
ㆍ어떤 상태에서 심폐소생술이 필요한가?
1. 심폐정지 때 나타나는 상태를 확인한다.
1) 경동맥(carotid), 고동맥(femoral) 및 요골동맥(radial artery)의 맥박을 촉지할 수 없다.
2) 심음, 호흡음을 들을 수 없고 호흡운동이 없거나 발잘성으로 나타난다.
3) 갑자기 창백하거나 청색증이 나타난다.
4) 동공이 산대되어 있다.
5) 의식이 없고 불러도 반응이 없고 통증 자극에 반응이 없다.
6) 경련증과 간질 증세가 나타난다.
7) 수술중이면 수술시야에 출혈이 멎고 출혈하는 혈액색이 검다.
8) 심전도상에 심실성 무수축증(ventricular fibrillation)이나 심실성 세동증(ventricular fibrillation)이 보인다.
9) 뇌파소견에서 파장이 안 보인다.
2. 심폐정지 현상은 급성 심부전 및 폐부전증의 단일 또는 복합적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므로 이들의 가능한 원인을 분석하여 심폐소생술처치에 적용한다.
1) 호흡부전증의 원인
(1) 저산소환경을 야기한 경우
(2) 호흡기로의 폐쇄 또는 폐질환이 있는 경우
(3) 혈액의 산소 운반능 이상을 야기한 경우
(4) 중추성 호흡조절 능력이 마비된 경우
2) 심부전증의 원인
(1) 심근 수축력 억제 또는 흥분성 증가를 야기한 경우
① 저산소혈증
② 전해질 이상
③ 감전사고
(2) 관상동맥혈류량의 부족
① 심근 혈류량의 부족
② 심근 작업량과 산소 요구량의 증대
3.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어디에 있는가?
심폐정지 또는 부전에 따른 비가역성 뇌무산소증을 방지함에 있고 뇌무산소증은 심폐정지 후 4분내지 6분 이상을 방치하면 발생되므로 이 시간 이내에 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ㆍ응급검사
1. 소생술의 실시와 관련하여 효과적 소생술이 실시하고 있는지는 일차적으로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을 측정하여 정상화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2. 동공반사 및 크기, 의식정도와 환자의 반응, 심경계의 반사작용을 점검하여 환자를 평가하고 소생술의 효과를 판정한다.
3. 응급검사로서 일반적인 것으로 혈색소, 혈액가스 분석 및 혈청전해질 측정을 실시한다.
4. 심폐정지의 각종원인에 관련된 검사는 1차 및 2차소생술의 처치 결과에 따라 장기소생법과 관련하여 적절히 실시한다.
※참고자료-醫學硏修敎育叢書 第 1輯, 應急處置(醫學敎育硏修阮 지음) 서울大學校出版部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5.3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2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