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산당의 창당과 발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공산당의 창당과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릿말

2. 중국혁명의 사회적 배경

3. 중국공산주의의 발흥에 공헌한 토착적 요소들

4. 중국공산당의 창당과 발전
1) 5ㆍ4운동과 마르크스주의의 수용
2) 공산당 창당과 제1차 국공합작

5. 홍군의 결성과 대장정

6. 맺음말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 이에 공산당은 장개석의 혁명 근거지에 대한 군사적 공격을 피하기 위해 대 일본 연합전선을 제안한다. 그러나 장개석은 북벌을 통한 군벌 제압에 성공한 후 5차에 걸친 공산당 소탕작전을 전개하였다. 공산당은 이를 피하기 위해 1934년 10월, 소위 연안장정(延安長征)으로 불리는 2만5천리의 피난길에 오르게 된다.
이 장정이 중국 혁명사에서 갖는 최대의 정치적 의의는 모택동이 지도권 확립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에 있다. 1935년 1월, 귀주성의 존의에서 정치국 확대회의가 열렸는데, 이 존의회의는 모택동의 북상항일을 지지하였다. 이에 당시 중앙의 총서기였던 장국도(張國燾)는 존의회의가 전체회의가 아니므로 어떠한 결정력도 가질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회의의 결정에 승복할 수 없다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1936년 6월 10일 장국도의 군대는 섬서성에서 궤멸되어 결국 모택동에게 합류하였다. 이로써 모택동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당과 군의 지도부가 등장하였다.
모택동체제의 성립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중국공산당이 진독수로 대표되었던 신문화시대의 지식인이나 또는 실무경험이 거의 없는 소련유학생파와 같은 이론가들이 퇴진하고 농촌 혁명과정에서 단련되고 성장한 농촌 혁명근거지와 홍군의 지도자들이 당 중앙을 장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이 같은 지도부의 교체는 중국공산당의 혁명 전략이 도시중심의 대중봉기전략으로부터 본격적인 농촌혁명 전략으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중국공산당이 소련이나 코민테른의 직접적인 지도에서 벗어나 어느 정도 자율성을 획득해 나가는 계기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에 만주를 점령하여 지배하고 있던 일본은 북경을 중심으로 한 화북(華北)일대를 분리시켜 또 하나의 괴뢰정권을 수립하려고 하였다. 이에 중국인들은 일본의 이러한 기도를 반대하는 항일구국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특히 일본군에 의해 만주를 잃은 동북군은 철저한 항일구국을 원하였다. 공산당은 1935년 8월 1일 모아개(毛兒蓋)에서 코민테른의 의사에 따라 ‘항일민족통일전선’의 결성을 주장하는 ‘8ㆍ1선언’을 발표하여 장개석에게 내전중지와 일치항일(一致抗日)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장개석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일관되게 ‘선국내안정, 후항일’정책을 고수하면서 구국항일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1936년 12월 12일, 장개석의 북벌을 달갑지 않게 여겼던 장학량(張學良)은 서안에 온 장개석을 체포 구금하고 국민당정부 개조, 내전중지, 정치범석방 등 8개 항을 요구하였다. 이것이 바로 ‘서안사변(西安事變)’이다. 장학량의 부하들은 장개석을 감금해 놓고 즉시 공산당군에 연락하여 주은래(周恩來)와 장개석의 대면을 알선했다. 주은래는 만약 장개석이 내전을 그만두고 항일로 돌아선다면 그의 국가적 주도권을 인정할 것을 약속했다. 결국 이를 받아들여 서안사변은 평화적으로 해결된다.
Ⅵ. 맺음말
1915년부터 시작된 진독수ㆍ호적을 중심으로 한 신문화운동은 ‘민주주의와 과학’을 슬로건으로 유교적 질서ㆍ가치관에 의해 상실되어 있던 개인의 인간성을 회복하려는 운동이었다. 진독수는 1915년 계몽잡지 『신청년』을 발행하여 젊은 지식인들에게 새로운 충격을 안겨 주었다.
5ㆍ4운동은 이러한 신문화운동의 영향 아래, 1919년 5월 4일, 학생들에 의해 일어났다. 5ㆍ4운동은 주권국가로서 중국의 권익을 확보하려는 자주운동이었으며 민주적 정치실현을 목표로 하는 중국 최초의 근대적 의미를 지닌 반제국주의ㆍ반봉건주의 운동이었다. 5ㆍ4운동 이후 중국에는 마르크스사상이 팽배해졌고 마침내 중국에 공산당이 창당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1921년 7월 상해에서 공산당 대표 12명, '코민테른' 대표 2명이 참석한 제1기 전국대표회의에서 정식으로 창당했다. 이듬해 7월 상해에서 제2기 전국대표회의를 소집하면서 마르크스ㆍ레닌주의를 기초로 하는 볼셰비키당으로 당의 본질을 정하고, 반제국주의ㆍ반봉건 투쟁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부로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달성하기로 결정하였다. 1923년 6월 광주에서 열린 제3디 전국대표회의에서는 중국 공산당에 당적을 두고 개인자격으로 국민당에 가입하고 국공합작결의를 채택하였다. 1, 2차 국공합작과 항일 전쟁과정에서 우위를 차지한 공산당은 국민당 정부에 항복을 요구하게 되고 장개석이 이끄는 국민당 정부가 이를 거부하자 전면전쟁으로 발전하게 됐다. 결국 이 전쟁에서 공산당이 승리하자 국민당 정부는 대만으로 물러나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1949년 10월 1일 중국 공산당 정권이 수립하게 된다.
이러한 중국공산당의 창당과 발전에는 진독수, 구추백, 이립삼, 모택동 등의 공산혁명가들의 역할이 컸다. 진독수는 신문화운동을 이끌고, 『신청년』을 발행하여 청년들에게 마르크스사상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으며, 1921년 중국공산당이 창단되었을 때 당의 제1대 서기장이 되기도 하였다. 구추백은 국공합작과정에 많은 공헌을 하였으며, 제5기 전국대표회의에서 서기장이 되었다. 또한 이립삼은 제6기 전국대표회의에서 당 서기장이 되었다. 이립삼노선은 도시에서의 봉기를 통한 사회주의 혁명을 주창하였다. 그 후 정권은 소련 유학생파에게 넘어가게 된다. 한편 모택동은 ‘정강산 투쟁’을 전개하면서 농촌 혁명 전략을 전개시키고 있었다. 그러던 중 연안장정으로 모택동 지도권 확립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참고문헌
김재철, 『중국의 정치개혁』 (도서출판 한울, 2002)
최윤정, 『신중국 정치론』, (나무와 숲, 2000)
공기두.김충렬 공저, 『毛擇東思想論』, (일월서각, 1985)
정차근, 김정계 공저, 『중국정치론』, (평민사, 1997)
나. 논문
전병곤, 「中國共産黨의 凡是派와 改革派의 比較연구 : 路線 比較를 中心으 로」, 韓國外國語大 석사학위논문, 1989, 08
김지석, 「개혁이후 중국에서의 모택동 사상 재해석 : 모택동의 사회주의관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비판을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논문, 1993, 08
박철희, 「사회주의중국의 정치체제 개혁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원, 석사논문, 1996, 02
유경호,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노선투쟁을 중심으 로」, 국방대학원, 석사논문, 2000,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6.2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