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별 언어정책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남한의 언어정책
1. 들어가며
2 남한의 국어 정책 추진 기관
3. 우리말 도로 찾기 정책
4. 문맹 퇴치 정책
5. 어문 규정 정책의 변천
6. 국어 정책의 문제점

Ⅲ. 북한의 언어정책
1. 들어가며
2. 북한의 언어관
3. 북한의 언어규범 - 문화어 총칙
4. 북한의 말다듬기

Ⅳ. 프랑스의 언어정책
1. 프랑스 언어정책의 역사
2. 현대 프랑스의 언어정책
3. 불어사용법
4. 전문용어 개발과 여론조성 활동

Ⅴ. 일본의 언어정책
1. 표준어의 결정.
2. 방언배척운동
3. 현대의 일본의 언어정책

Ⅵ. 스위스 연방의 언어정책
1. 스위스 연방의 특수성
2. 스위스의 공식어 인정
3. 스위스 연방의 언어적 독창성 - 언어적 균등주의

Ⅶ. 나오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Ⅵ. 스위스 연방의 언어정책
1. 스위스 연방의 특수성
스위스는 26개의 주(깡통cantons)로 구성된 연방국가Confederation suisse이다. 26개 주 중에서 17개 주가 독일어, 4개의 주가 프랑스어, 유일하게 1개 주(Tessin)만 이탈리아어를 사용한다. 전체 6백5천만명 인구 중 73.6%가 독일어, 20.1%가 프랑스어, 4.5%가 이탈리아어, 0.8%가 로망쉬어, 0,1%가 기타 언어를 사용한다.
2. 스위스의 공식어 인정
연방 초기부터 16세기말까지 독일어는 스위스의 유일한 공식어였다. 프랑스혁명 기간에 이탈리아어권 테쌩주(1803), 프랑스어권 제네바, 발레, 뇌샤텔 등 3개 주(1815)가 가입하면서 여러 소수민족그룹들 간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이 당시 독일어의 단일언어 사용을 거부하고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를 공동 공식어로 인정하게 된 것은 프랑스의 압력에 의한 것이다.
1848년의 연방 헌법은 수차례 개정을 통하여 1999년에는 새로운 헌법이 가결되었다. 언어와 관련한 70조항의 개정안은 다음과 같다.
1) 연방의 공식어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이다. 로망쉬어 역시 연방이 로망쉬어 사용자와 접촉하기 위한 공식어이다.
2) 각 주들은 해당 주의 공식어를 결정할 수 있다. 언어공동체간의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언어속지주의를 감시하고 토착 언어소수자들을 배려한다.
3) 연방과 주는 언어공동체간의 소통과 교류를 장려한다.
4) 연방은 복수언어 사용 주들이 실천하는 특별활동들을 지원한다.
5) 연방은 로망쉬어와 이탈리아어를 보호 증진하기 위해 그리종과 테쌩주가마련하는 대책들을 지원한다.
1999년 헌법에서 주목할 것은 로망쉬어를 지역공식어로 승격시켰다는 점과 언어의 속지주의 원칙과 더불어 소수언어에 대한 우선권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방은 소수언어들을 보호하고 증진하려는 노력을 공식적으로 명시하고, 로망쉬어는 로망쉬어의 옹호단체와 신문사 등의 활동에 연방이 재정을 지원해야 하는 중요한 국가사업이 되었다. 헌법은 결국 언어의 평등주의, 언어에 관한 시민들의 자유, 언어의속지주의 원칙, 소수언어의 보호라는 4가지 원칙을 세웠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3. 스위스 연방의 언어적 독창성 - 언어적 균등주의
스위스 연방의 언어정책의 독창성은 추상적 의미의 평등성이 아니라 제한적이지만 실질적이며 효과적인 균등성을 적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진정한 평등은 모두에게 동일한 것을 주는 데 있지 않고 혜택받는 그룹의상대적인 중요성의 정도에 따라 덜 주는 데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방의회의 장관직의 7 중 2-3 자리는 비독일계 출신에게 확보해준다. 또한 이탈리아어와 로망쉬어 사용자들은 연방국으로부터 교육, 문화활동, 커뮤니케이션 수단,재정 지원에 있어 다른 언어권 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는다.
이렇듯 ‘언어적 균등주의’를 향한 제도적 노력을 통해 스위스는 분리운동이나 언어전쟁이 없는 ‘언어적 평화paix linguistique’(L.-J. Calvet 1996:98)을 끌어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Ⅶ. 나오며
지금까지 각 나라별 언어정책을 남한을 중심으로 북한, 프랑스, 일본, 스위스의 것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그 언어의 수용과 사용이 각 국의 역사적 지리적 사회적 상황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언어정책 역시 다양할 수 밖에 없다. 특히 공산주의 사회인 북한의 경우 사회주의 언어관을 수렴하여 주체언어사상으로 발전시키고 언어 정책을 철저히 당의 주도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과 큰 차이를 보인다. 그렇지만 각기 다른 언어를 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언어정책에서 유추해 볼 수 있는 동일점은 자국의 언어의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소련의 해체로 인하여 유일무이한 초강대국인 미국의 언어인 영어가 세계화의 흐름을 타고 각국에 전파되어 자국의 언어에 많은 손상을 입히는 것에 대하여 철저한 외래어 순화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이 그 중점이라 할 수 있겠다. 영어와 같은 외래어로 인한 자국어의 손상은 각국의 언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공통적 위협이기 때문이기에 그러하다. 그렇다고 해서 현재의 큰 물결인 세계화의 흐름에 역행할 수도 없는 것이고, 무조건적인 반 영어 정책을 펴서도 안 될 것이다. 수용할 것은 수용하되, 그것을 자신들만의 언어로 순화시키는 것이 현재 자국의 언어를 가진 나라들이 풀어나가야 할 큰 숙제일 것이다.
또한 나아가서 우리의 경우, 같은 민족이지만 분단되어 있는 남북한의 언어관, 언어정책(방향은 같지만 세부 조항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의 차이는 훗날 통일한국에서의 큰 어려움으로 다가올 것이다. 사전에 남북한의 언어 규범을 통일할 수 있는 범민족적 기구를 만드는 것에 정부는 물론, 민간단체들도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최용기,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박이정, 2003.
조오현 외, 『남북한 언어의 이해』, 역락, 2002.
송기형 「프랑스의 언어정책」, 세계화신자유주의와 국가와 역할, 2002.
임영철 「일본의 언어계획 및 언어정책」, 2002.
송기중「언어 정책」, 『세계의 언어정책』(국어학회 편), 태학사, 1993.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남한의 언어정책
1. 들어가며
2 남한의 국어 정책 추진 기관
3. 우리말 도로 찾기 정책
4. 문맹 퇴치 정책
5. 어문 규정 정책의 변천
6. 국어 정책의 문제점
Ⅲ. 북한의 언어정책
1. 들어가며
2. 북한의 언어관
3. 북한의 언어규범 - 문화어 총칙
4. 북한의 말다듬기
Ⅳ. 프랑스의 언어정책
1. 프랑스 언어정책의 역사
2. 현대 프랑스의 언어정책
3. 불어사용법
4. 전문용어 개발과 여론조성 활동
Ⅴ. 일본의 언어정책
1. 표준어의 결정.
2. 방언배척운동
3. 현대의 일본의 언어정책
Ⅵ. 스위스 연방의 언어정책
1. 스위스 연방의 특수성
2. 스위스의 공식어 인정
3. 스위스 연방의 언어적 독창성 - 언어적 균등주의
Ⅶ. 나오며
◎ 참고문헌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7.04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